상호 텍스트성-서사의 상업화 관점에서 『춘향전』의 경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호 텍스트성-서사의 상업화 관점에서 『춘향전』의 경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여 눈물방죽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또한 버선밭은 이별의 슬픔을 못 이긴 춘향이가 이도령의 말 등을 붙들고 매달릴 때 버선이 벗겨져 생겨난 버선 모양의 밭을 일컫는 말이다. 김지영, 남원의 춘향제의 연구: 의례조직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소, 1999, p17
『춘향전』의 줄거리에 기초한 상업화된 서사의 창조는 관광객들로 하여금 남원을 춘향과 동일시하게 된다. 올해 제 78회째를 맞는 남원 춘향제 역시 춘향의 절개와 사랑을 모든 국민에게까지 확대시켜 “불멸의 춘향사랑”으로 명명하여 행복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 세계적인 춘향제로 발돋음 하자는 주제를 내걸고 있다.
남원이 『춘향전』을 이용하여 관광도시로 변하면서 광한루 확장공사, 오작교 복원, 월매집 신축, 춘향관 신축, 광한루 연못 확장 등이 1980년대에 이미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자연스레 기념품 판매업소, 상가, 음식점, 주차장 등의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제반 시설 조성이 이루어졌음은 당연하겠다.
3. 결론
이렇게 『열녀춘향수절가』84장본을 선행텍스트로 삼아 영화 <춘향뎐>과 드라마 <춘향전>을 놓고 서로간의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속에 내포된 상업화전략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려고 노력했다. 이후 여러 매체에서 나타난 춘향전의 변용은 상업화된 서사를 보여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두 작품의 서사 내용의 차이는 두 작품이 집중하고 있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드라마 <춘향전>은 수용자를 중심에 두어 대중의 관념 속에 있음직한 춘향 이야기를 형상화시키는 데 주력한다. 그렇기에 김희선, 이민우 등의 당시 대표적인 선남선녀를 캐스팅하여 춘향전을 세대의 성격에 맞게, 춘향의 사랑을 중심으로 서사를 이끌어 나간다.
반면, 영화 <춘향뎐>은 판소리를 영화화하는데 충실하려 노력하며 수용자 보다는 제작자 입장에서 관객에게 가르치려는 의도를 보인다. 이는 영화 도입부에서 판소리 공연을 관람하라는 과제를 부여 받은 대학생들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판소리에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한 학생들이다. 그러나 이 학생들은 판소리가 진행됨에 따라 판소리를 들으며 울고 웃는 몰입된 관객으로 변하며, 영화를 보는 관객들 역시 이러한 제작자의 의도된 변화를 겪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변학도를 옹호하는 방향으로 서사를 변용하는 것은 그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여지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춘향의 저항에 대한 기존의 통념 또한 변화시킨다. 즉, 춘향은 몽룡에 대한 절개를 깨뜨리려는 호색한에 대해 사적인 저항을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조선의 신분질서를 뒤흔들려는 국사범으로 만들어 버리는 더 큰 사회구조적 문제에 맞서 저항하는 것이다.
『춘향전』이 많은 매체를 통해 현대적으로 변용되는 사례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고여 있는 물도 자꾸 새 물로 갈아주어야 하듯이 고정되고 정형화된 상태를 벗어나 장르를 넘나들며 유영하는 『춘향전』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서사가 가져야 할 태도를 보여주는 듯하다. 새 옷으로 갈아입고 다가 올 『춘향전』들이 기대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1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1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