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급성 설사 전반에 대한 검토 (의약학)
1. 설사의 정의
2. 급성 설사 전반의 연구
3. 급성 감염성 설사
4. 급성 감염성 설사의 치료
1. 설사의 정의
2. 급성 설사 전반의 연구
3. 급성 감염성 설사
4. 급성 감염성 설사의 치료
본문내용
문에 일어나므로, 수분과 전해질 결핍을 교정하는데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심하게 탈수된 환자, 특히 유아와 노인에서 정맥내 수액 치료가 필요하다. 콜레라 환자의 치료에 성공적으로 밝혀진 경구 당-전해질 용액의 사용은 다른 장독소-생성 세균 때문에 생긴 급성 설사 환자에서도 마찬가지로 고려되어질 수 있다. 세균성 설사에서 항생제 치료에 대해서는 논쟁이 되고 있고, 경하거나 나아가는 환자에서는 대개 필요치 않지만, 이질, 여행자 설사, 위막성 장관염, 콜레라, 기생충 질환 등의 환자에서는 고려되어져야 한다. 감염성 설사의 원인이 무엇이든, 면역결핍자, 악성 종양, 비정상 심장 판막, 혹은 혈관, 혹은 정형외과적 보철(prosthesis), 용혈성 빈혈, 어린이나 노인 등의 경우라면 치료되어져야만 한다. 설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항콜린성 약제와 아편제(opiate)를 사용하는 것은 장관침습성 병원체가 의심될 때 군집화(colonization)의 지연이나 장마비의 위험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피해져야만 한다. 그러나, 고열이 없거나, 대변에 혈액이나 농이 없는 여행자 설사환자에서는 loperamide와 bismuth subsalicylate는 안전하게 여겨져왔다.
키워드
추천자료
- 소아과(med)
- 병리학 - 순환장애
- 약물조사
- 국민건강증진법.흡연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뇌졸중 환자가 계속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뇌졸중...
- 패혈증(sepsis) 환아에 대한 간호 사례 연구
- 2008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A형(영양사업)
- (간호) 무의식환자 간호
- 보건소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호텔 & 외식업체주방의 식품위생과 HACCP.ppt
- [결핵, 병태생리학, 결핵균, 예방접종, 치료]결핵의 증상, 결핵과 병태생리학, 결핵과 결핵균...
- 무의식 환자 간호.
- 간호과정-소아과 (쯔쯔가무시병)
- (식품위생) 식품위생학, 식품위생, 방통대, 방송대, 식중독 세균, 식중독, 감염형, 독소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