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체기관의 작용
2. 소뇌의 중추적 역할
3. 보행과 관련된 반사 작용 원리
2. 소뇌의 중추적 역할
3. 보행과 관련된 반사 작용 원리
본문내용
교차 신전반사에서 사지에 강한 자극을 가하면 그 사지는 수축하고 동시에 반대쪽 사지의 신전이 일어난다. 더 강한 자극에서는 하지에서 유발된 교차 신전반사가 반대쪽 상지의 굴곡과 같은 쪽 상지의 신전을 나타낸다. 그래서 몸 전체가 신전된 반대쪽 하지와 같은 쪽 상지를 따라 대각선방향으로 움직여 자극으로부터 몸을 피하게 된다. 이 사지간 협동작용에 의한 대각선형은 다양한 상황에서의 자세 적응이 가능하게 한다.
전반적 정적반응은 두 가지 형태를 갖는다. 첫째는 강직성 경반사(tonic neck reflex)와 미로반사(labyrinthine reflexes)로 머리가 몸통에 비해 움직일 때 자세를 적응하기 위해 서로 작용한다. 둘째는 바로잡기 반사(righting reflex)로 전정기관, 목의 고유수용체, 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되어 동물에서 떨어진 뒤에서 바른 자세를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움켜잡기 반사(grasp reflex)는 바로잡기 반사의 구성 성분이다. 전반적 정적반응의 다른 형태로는 사지 운동 동안에 몸 자세를 적응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위치 잡고 한발로 껑충껑충 뛰는 작용(placing and hopping reactions)에도 관여한다.
전반적 정적반응은 두 가지 형태를 갖는다. 첫째는 강직성 경반사(tonic neck reflex)와 미로반사(labyrinthine reflexes)로 머리가 몸통에 비해 움직일 때 자세를 적응하기 위해 서로 작용한다. 둘째는 바로잡기 반사(righting reflex)로 전정기관, 목의 고유수용체, 시각자극에 의해 유발되어 동물에서 떨어진 뒤에서 바른 자세를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움켜잡기 반사(grasp reflex)는 바로잡기 반사의 구성 성분이다. 전반적 정적반응의 다른 형태로는 사지 운동 동안에 몸 자세를 적응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위치 잡고 한발로 껑충껑충 뛰는 작용(placing and hopping reactions)에도 관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