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Ⅹ. 선교 변혁의 신학적 모델
1. 인류학적 모델
2. 상징주의 적 모델
3. 역동적 등가의 모델
4. 초문화 신학의 모델
(1) 브루스 플레밍의 신학모델
(2) 통 문화 신학 또는 교리신학의 모델
(3) 개혁주의 입장의 성경적 상황 화 모델
1. 인류학적 모델
2. 상징주의 적 모델
3. 역동적 등가의 모델
4. 초문화 신학의 모델
(1) 브루스 플레밍의 신학모델
(2) 통 문화 신학 또는 교리신학의 모델
(3) 개혁주의 입장의 성경적 상황 화 모델
본문내용
토착 신학이 형성
(3) 개혁주의 입장의 성경적 상황 화 모델
이것은 성경계시의 완전 영감설과 유기적 영감 설을 전제로 한다. 성경은 다양한 문화를 계시 도구로 사용하되, 어느 특정 문화를 옹호하거나 문화에 대한 특별한 편견이 없다. 복음 전달자는 자신의 모국문화를 이상적인 문화로 여기지 않고, 항상 성경을 통해서 개혁하고 끊임없이 성찰한다. 복음전달시 수용자의 문화를 무조건 거부하고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속에서 보통 은총의 접촉점을 찾고, 하나님이 예비하신바 된 선교의 다리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문화변혁을 일으킴으로, 성경적 토착 교회와 토착 신학을 형성한다. 이렇게 세워진 토착교회는 자신의 삶의 정황 속에서의 하나님의 주권을 철저히 인식하고 영적으로 성장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열매를 맺되 우주적 교회의 지체가 되어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에 기여하는 성숙화를 이룩한다. 이 모델은 성경계시와 복음전달자 그리고 수용자의 관계를 철저히 성찰하여 성경을 중심으로 한 끊임없는 문화변혁을 전제로 하고 있고, 우주적 교회의 지체 의식과 개체 교회가 갖는 하나님이 주신 고유의 은사와 신학적 깨달음이 전체교회에 기여하는 통로를 열어놓는다.
(3) 개혁주의 입장의 성경적 상황 화 모델
이것은 성경계시의 완전 영감설과 유기적 영감 설을 전제로 한다. 성경은 다양한 문화를 계시 도구로 사용하되, 어느 특정 문화를 옹호하거나 문화에 대한 특별한 편견이 없다. 복음 전달자는 자신의 모국문화를 이상적인 문화로 여기지 않고, 항상 성경을 통해서 개혁하고 끊임없이 성찰한다. 복음전달시 수용자의 문화를 무조건 거부하고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 속에서 보통 은총의 접촉점을 찾고, 하나님이 예비하신바 된 선교의 다리를 사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문화변혁을 일으킴으로, 성경적 토착 교회와 토착 신학을 형성한다. 이렇게 세워진 토착교회는 자신의 삶의 정황 속에서의 하나님의 주권을 철저히 인식하고 영적으로 성장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열매를 맺되 우주적 교회의 지체가 되어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에 기여하는 성숙화를 이룩한다. 이 모델은 성경계시와 복음전달자 그리고 수용자의 관계를 철저히 성찰하여 성경을 중심으로 한 끊임없는 문화변혁을 전제로 하고 있고, 우주적 교회의 지체 의식과 개체 교회가 갖는 하나님이 주신 고유의 은사와 신학적 깨달음이 전체교회에 기여하는 통로를 열어놓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 교회의 갱신을 위한 한 모델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교육 모델 연구
청소년발달과 청소년상담 및 청소년상담의 이론적 모델 정리 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모델 별 주요 개입기술 정리 보고서
[학교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관점 및 접근 모델에 대한 상세 분석 발표[2012년 A+추천 레...
Transgenerational Model (다세대적 모델 - 보웬 Bowen 가족치료를 중심으로)
우리의 고전 흥부와 놀부를 심리사회모델에 적용하여 개입하여 보시오
[리더십연구] 막스 베버의 세가지 리더십 모델(카리스마적 리더십, 합리적 리더십, 관찰적 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 심리사회치료모델 (심리사회이론의 기본적 가정, 심리사회이론의 ...
[가족상담및치료] 경험적 가족 치료 모델의 치료 기법을 조사하여 정리 하시오 [경험적 가족...
사회복지실천의 다양한 관점중 '생태체계적 모델'에 대한 주요 개념과 특성을 설명하고, 사회...
[사회복지실천론] 생태체계 모델에 대해 논하시오 : 생태체계
단기치료와 장기치료의 예를 모델과 함께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