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다문화가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남 다문화가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선정이유

문제와 표적집단의 이해

지역사회문제

지역사회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문제의 분석

지역사회실천개입

다문화 가정 정책

본문내용

론 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고, 문화와 전통의 차이로 모든 것이 생소한 한국에서의 정착을 돕기 위해서는 이를 전담할 기구의 필요성을 절감한 때문이다.
강릉문화원은 향후 한국어교육을 비롯해 문화교육, 가족교육 등 교육사업과 이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사업, 결혼여성이민자가족 자녀들의 학습도우미, 자녀정서 지원 등 자녀보호사업, 이주여성 네트워크 구축 지원 등 자조집단사업 등을 펼칠 계획이다.
▷중앙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보건복지부는 이달부터 결혼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 해소와 형평성 제고를 위해 무료건강검진과 복지상담 등의 사업을 시행한다. 여성가족부는 또 산하 40개의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실력이 부족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이주여성긴급전화 1366 통역 서비스'도 운영하며, 다문화가족 및 아동의 사회·학교생활 적응 지원,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등 이벤트성 행사가 아닌 실질적 대책을 추진하겠다며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법무부는 다문화가정의 법적 제도적인 절차 개선에 초점을 맞춰 여러 정책을 입안해 시행하고 있다.
가장 먼저, 여성 결혼이민자가 배우자의 귀책사유 등으로 인해 혼인을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 체류자격 때문에 불리한 입장에 처했던 점 등을 개선코자 2년 이상 거주자에게 영주(F-5) 자격을 부여하는 한편, 거주(F-2) 자격을 계속 유지할 경우 별도의 허가 절차 없이 자유로운 취업을 허용하고 나선 점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법무부는 또 과거와 달리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상호 정보 교류 및 상호 권익 활동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국제결혼이주여성네트워크'의 결성을 후원하는 등 다문화가정의 권익 증진을 위한 연대 및 조직적인 활동에도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IT를 활용해 우리말을 쉽게 배우고, 가족 간의 갈등과 문화적 충돌을 해소하도록 돕기 위해 교재를 개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여성결혼이민자 정보화교육기관 10개 소를 추가 선정해 맞춤형 교육을 펼칠 계획.
무엇보다도 행자부의 경우, 국내거주 및 장기체류 외국인에게도 지방선거 참정권을 부여하고 교육 및 사회복지 분야에서 내국인과 차별없는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획기적인 방향으로 정책을 개선한 후 관련 예산을 확대 편성해 지원에 나서는 등 대다수 중앙 부처가 경쟁하듯 새로운 정책을 내놓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20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