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두 가지의 경우의 결과를 명기한다.
8. 채점 방법
-각 문항은 1점씩 배점한다.
원점수 = 최고한계선 문항번호 - 틀린 문항 수
언어장애인의 경우
이중기초선의 경우
이중 최고한계선의 경우
연령에 따른 시작문항 번호보다 15문항 이전부터 시작한다.
높은 번호를 기초선으로 간주한다.
낮은 번호를 최고한계선으로 한다.
<표현어휘검사 채점기준>
정답으로 처리하는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는 경우
오답 반응 후 스스로 정답으로 수정 산출한 경우
그림판 그림의 일부 또는 사물의 일부를 말한 경우
어간은 맞고 어미 활용을 한 경우
유아어 형태로 반응한 경우
나이가 어리거나 조음장애로 인해 목표어를 상관속 정도로 대치하거나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의 조음오류의 경우(단, 음절수가 목표어와 동일)
발음이 매우 불명확해 목표어를 말한 것인지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단, 유사하게 발음하여도 음소가 목표어와 30%이상 다르거나 음절 수가 다른 경우)
의미없는 매개모음이 삽입되는 오류가 있어도 목표어휘임을 알수 있게 반응한 경우
목표어휘를 포함하지 않고 목표어휘를 구나 문장으로 풀어 설명한 경우
목표어를 구나 절에 포함하여 반응한 경우
그림상황을 설명한 경우
목표어에 접두사나 접미사를 붙여 파생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개별 사물/생물의 이름인데 범주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 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본래의 의미가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합성어 형태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범주어인데 목표어 범주에 해당하는 개별 사물/생물 이름으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와 다른 형태이나 동일한 의미의 사투리나 동의어로 반응한 경우
검사자가 다시 한번 기회를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어근+하다’형태의 경우 하다를 생략하고 어근만으로 반응한 경우
복합어의 경우, 어간을 생략한 경우
동사를 명사형으로 반응한 경우
복합명사에서 낱말의 일부분만을 말한 경우
9. 검사 결과 처리 및 해석
어휘능력 발달 정상성
규준과 해석
-대상자의 어휘 발달 정상성 판별
-‘정상발달’, ‘약간 지체/유의 요망’, ‘어휘능력 발달지체’
* 생활연령대의 평균으로부터 -1SD 이내의 경우 정상발달.
* -1~-2SD의 경우 유의요망.
* -2SD 넘은 경우 어휘능력 발달지체.
어휘능력 발달연령
규준과 해석
-어휘력 발달이 문제가 되는 경우 정상발달 연령 수준과 어느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해석.
어휘능력 발달
백분위 규준
-연령대별 백분위 규준을 통해 해석 가능
8. 채점 방법
-각 문항은 1점씩 배점한다.
원점수 = 최고한계선 문항번호 - 틀린 문항 수
언어장애인의 경우
이중기초선의 경우
이중 최고한계선의 경우
연령에 따른 시작문항 번호보다 15문항 이전부터 시작한다.
높은 번호를 기초선으로 간주한다.
낮은 번호를 최고한계선으로 한다.
<표현어휘검사 채점기준>
정답으로 처리하는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는 경우
오답 반응 후 스스로 정답으로 수정 산출한 경우
그림판 그림의 일부 또는 사물의 일부를 말한 경우
어간은 맞고 어미 활용을 한 경우
유아어 형태로 반응한 경우
나이가 어리거나 조음장애로 인해 목표어를 상관속 정도로 대치하거나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의 조음오류의 경우(단, 음절수가 목표어와 동일)
발음이 매우 불명확해 목표어를 말한 것인지 확신하기 어려운 경우(단, 유사하게 발음하여도 음소가 목표어와 30%이상 다르거나 음절 수가 다른 경우)
의미없는 매개모음이 삽입되는 오류가 있어도 목표어휘임을 알수 있게 반응한 경우
목표어휘를 포함하지 않고 목표어휘를 구나 문장으로 풀어 설명한 경우
목표어를 구나 절에 포함하여 반응한 경우
그림상황을 설명한 경우
목표어에 접두사나 접미사를 붙여 파생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개별 사물/생물의 이름인데 범주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 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본래의 의미가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합성어 형태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범주어인데 목표어 범주에 해당하는 개별 사물/생물 이름으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와 다른 형태이나 동일한 의미의 사투리나 동의어로 반응한 경우
검사자가 다시 한번 기회를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어로 반응한 경우
목표어가 ‘어근+하다’형태의 경우 하다를 생략하고 어근만으로 반응한 경우
복합어의 경우, 어간을 생략한 경우
동사를 명사형으로 반응한 경우
복합명사에서 낱말의 일부분만을 말한 경우
9. 검사 결과 처리 및 해석
어휘능력 발달 정상성
규준과 해석
-대상자의 어휘 발달 정상성 판별
-‘정상발달’, ‘약간 지체/유의 요망’, ‘어휘능력 발달지체’
* 생활연령대의 평균으로부터 -1SD 이내의 경우 정상발달.
* -1~-2SD의 경우 유의요망.
* -2SD 넘은 경우 어휘능력 발달지체.
어휘능력 발달연령
규준과 해석
-어휘력 발달이 문제가 되는 경우 정상발달 연령 수준과 어느정도 차이를 보이는지 해석.
어휘능력 발달
백분위 규준
-연령대별 백분위 규준을 통해 해석 가능
키워드
추천자료
Huntington’s Disease 분자유전학적 검사방법
임상에서의 심리검사 종류와 해석에 대한 연구 - 투사적 그림 검사를 중심으로 -
발효빵 (식빵) 제조 방법 및 관능/외관 평가, 물성검사
심리검사 연구보고서-HTP 그림검사
재료시험과 검사방법 (경도시험)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의 도입배경, 기능, 채용선발,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와 SK인적...
[아동수학교육] 아동수학교육의 평가 중에서 작품수집, 검사, 포트폴리오 중에 한가지를 선...
[정신지체] 정신지체의 원인(발병요인)과 분류(유형), 정신지체의 전형적인 특징(특성), 정신...
[미술치료-풍경구성법] 풍경구성기법(LMT) - 풍경구성기법의 개념과 실시방법, 풍경구성법의 ...
[주요 성인병] 성인병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성인병 치료방법 - 고혈압, 동맥경화증, 뇌동...
[알레르기성 질환] 알레르기의 종류와 증상, 알레르기와 체질의 관계, 식품 알레르기(식사성 ...
SCT검사 (문장완성검사) & KFD검사(동적 가족화 검사) & HTP검사
아동용 지능검사 [K-WISC-Ⅲ & K-WPPSI & KISC]
[노년기 정신건강문제] 노인 우울증의 증상과 치료방법 치매의 원인별 분류와 치매진단 및 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