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편찬의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편찬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들어가며

2.조선사편찬위원회

3. 조선사편수회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 나오며

본문내용

하였으며, 625 때에 적상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이 분실되는 수난을 겪었다.
1981년에는 소장 전적의 대부분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도서관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이 때부터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국유문화재 관리단체로 지정받아 보관 관리업무를 맡고 있다.
장서각 도서는 일제 때 이왕가가 소장하던 전적과 장서각사무소가 구입한 전적을 골간으로 하되, 625 피난에서 환도한 직후에는 낙선재에 간직되어 오던 낙선재본소설을 합쳤으며, 1964년에는 칠궁비장본을 인수하고, 1969년에는 선원전 도서와 규장각 존각인 봉모당 도서들을 인수함으로써, 소장 전적이 증가되었다. 또한 장서각 도서에는 종묘를 비롯한 영릉, 유릉, 명릉, 온릉, 건릉 등의 릉재실에서 이관된 전예서가 추가되었다.
장서각 도서는 고서 80,921책, 고문서 720점, 서화류 642점에 달하며, 다른 도서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일본도 많다.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에서는 전국에 산재해 있는 한국학 관련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장서각 자료를 확충해 나가고 있다.
5. 나오며
오늘날 우리 사회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하여 많은 귀중한 자료들이 파손되거나 유실되고 있습니다. 현재 각 문중이나 개인들이 소장하고 있는 고서·고문서 등의 자료들 중에는 관리 소홀로 유실되거나 자연 손상되는 것이 적지 않습니다.
우리의 문화를 우리 스스로 지키며 우리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것이 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김성민,「朝鮮史編修會의 組織과 運用」, 국민대 대학원, 1993
2. 국사편찬위원회 , http://kuksa,nhcc.go.kr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8.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