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조선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조선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족★

(1) 중국 내에서의 조선족 인구 현황
(2) 이주의 단계
① 청조에 의한 강제 이민 시기(620~1677)
② 범월잠입(犯越潛入) 시기(1677~1881)
③ 이민초간(招墾) 시기(1882~1910)
④ 망명이민시기(1911~1920)
⑤ 이민제한 시기(1921~1931)
⑥ 강제 집단이민 시기(1931~1945)
(3) 조선족의 국가 및 민족의식
①국가의식
②민족 정체의식
(4) 현재 조선족과의 관계와 앞으로 지향해야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이제는 한국인과 조선족이 불신과 갈등을 해소하고 신뢰하고 협조하여 공동 번영을 위한 적극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 시기이다. 조선족이 가진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의 융합으로 이루어진 이중 문화는 한중 교류에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귀중한 유산이다. 그 뿐만 아니라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는 남북한 정치 결합과 문화의 이질성 극복에도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중국은 21세기 세계 경제를 주도할 수 있을 만큼 거대한 잠재력과 광활한 시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조선족의 역할이 한중 양국에게 매우 중요하다. 남북한이 화해하고 동북아 지역에 평화 분위기가 만들어져서 두만강 삼각주가 경제 측면에서 중요해지면 조선족의 역할이 커질 것이다. 조선족 공동체의 보존을 위하여 그리고 21세기 무한 경쟁 시대를 대비하는 전략 차원에서 조선족 교육을 반드시 활성화해야 한다. 한글과 한국어는 물론 민족 문화와 전통, 조선족 역사를 통해 민족의식과 민족 사명감을 드높여 조선족이 민족 고유의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민간이 주도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임계순, 현암사, 2003
-. 『조선족의 오늘』 강위원, 신유, 2002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8.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