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틴 정부의 시베리아지역 개발 주요원인
2.부틴 정부의 시베리아 개발 전략
3.전략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
4. 교통수송망 TSR의 활성화
시베리아-극동지역 철도운송 발전방향 접근 제안
1.수송중심 철도운송 발전 전략
2. 자원중심 철도운송 발전전략
3. 사회중심 철도운송 발전 전략
결론
2.부틴 정부의 시베리아 개발 전략
3.전략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
4. 교통수송망 TSR의 활성화
시베리아-극동지역 철도운송 발전방향 접근 제안
1.수송중심 철도운송 발전 전략
2. 자원중심 철도운송 발전전략
3. 사회중심 철도운송 발전 전략
결론
본문내용
도적, 기술적 장애, 막대한 투자재원이 조달 등 헤아릴 수 없는 수많은 난관이 존재
◈러시아는 서방 국가를 축으로 이루어진 해상운송 중심의 물류체계에 대항해 TSR을 중심으로 육상운송 중심의 국제 물류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현
문◈제는 북한을 설득하여 동의를 얻어내는 것인데, 러시아는 모든 외교력과 경제ㅈㄱ 자원을 동원해서라도 그것을 성사시키려고 노력할 것으로 전망
◈한국의 입장은 경원선과 동시에 TSR을 연결하는 문제도 러시아 및 북한과 3자 협의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러시아에게 일방적으로 주도권을 넘겨주기보다는 러시아의 기대를 충족시키면서도 통일 된 한반도의 지경학적 위치를 활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구성하는게 필요
남북정상회담 이후 화해와 협력 분위기, 러-북관계의 정상화, 한-러관계의 증진 등 최근 일련의 변화 속에서 남북한과 러시아간 삼각경제협력의 가능성들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기세 시베리아-극동지역의 개발에 3국이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사업들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
참고자료: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출판사 KIEP
“시베리아와 연해주의 정치경제학” 출판사:리북
◈러시아는 서방 국가를 축으로 이루어진 해상운송 중심의 물류체계에 대항해 TSR을 중심으로 육상운송 중심의 국제 물류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현
문◈제는 북한을 설득하여 동의를 얻어내는 것인데, 러시아는 모든 외교력과 경제ㅈㄱ 자원을 동원해서라도 그것을 성사시키려고 노력할 것으로 전망
◈한국의 입장은 경원선과 동시에 TSR을 연결하는 문제도 러시아 및 북한과 3자 협의를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함
러시아에게 일방적으로 주도권을 넘겨주기보다는 러시아의 기대를 충족시키면서도 통일 된 한반도의 지경학적 위치를 활용할 수 있는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구성하는게 필요
남북정상회담 이후 화해와 협력 분위기, 러-북관계의 정상화, 한-러관계의 증진 등 최근 일련의 변화 속에서 남북한과 러시아간 삼각경제협력의 가능성들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기세 시베리아-극동지역의 개발에 3국이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사업들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
참고자료: “21세기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지역 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출판사 KIEP
“시베리아와 연해주의 정치경제학” 출판사:리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