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보화시대 도서관의 변화
1) 정보환경의 변화
2) 도서관전산화에 대한 이해
3) 디지털 도서관
4) 도서관 업무의 변화
2.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역할 모델
1) 도서관시스템 개발 설계자
2) 정보기술자
3) 정보제공자
4)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및 정보교육자
5) 학습자원제공자
6) 저작권 관리 전문가
7) 정보중개자
3. 맺음말
4. 참고문헌
1) 정보환경의 변화
2) 도서관전산화에 대한 이해
3) 디지털 도서관
4) 도서관 업무의 변화
2.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역할 모델
1) 도서관시스템 개발 설계자
2) 정보기술자
3) 정보제공자
4)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및 정보교육자
5) 학습자원제공자
6) 저작권 관리 전문가
7) 정보중개자
3. 맺음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이버 도서관도 확장되고 있다. 도서관 전용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이버 도서관에서는 보유 도서 목록과 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사전 대출 예약도 할 수 있다. 또 독서 표현 마당, 토론방 등이 있어 때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독후활동을 할 수 있다.
일주일에 한번 있는 재량활동을 의무적으로 독서활동 시간으로 활용하는 천안 백석초등학교도 올해 초 디지털 도서관을 개관했다.
△ 부용초등학교 디지털 도서관에서 아이들이 읽고 싶은 책을 컴퓨터로 찾고 있다.
사이버도서관 독서토론 활발
이곳은 책 소식, 전자책 등 다양한 코너가 있지만 특히 토론방이 활성화돼 있다. 교사가 주제를 제시하면 아이들은 릴레이식으로 의견을 올려 진지한 토론을 이어간다. 저마다 감동있게 읽은 책의 소감을 올리면서 좋은 책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이 학교 최지영(26) 교사는 “디지털 도서관이 마련된 뒤부터 아이들이 스스로 즐겁게 책 읽는 버릇이 생기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강의 정보>
1) 강의자료
국내/해외의 학술 교육기관에서 교육되는 과학기술분야 강의 관련 자료의 인터넷상 위치 정보를 제공해 준다. 주제별로 구분이 되어 있다. 또한 국내학교, 해외학교 별로 자료를 모아 놓았다.
2) 학술 비디오
세계 유수 석학들의 강연, 학술회의 실황, 최고 권위의 대학 강의를 검색할 수 있다. 자료는 온라인대출시스템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3) 과학 eBook
주제별로 카테고리가 나눠져 있다. 또한 신착자료, 인기자료 목록도 별도로 구성해 두었다.
4) 전문용어사전
정보통신, 컴퓨터 공학, 기술공학 분야 등 30여개의 사전 및 용어집의 정보를 통합검색할 수 있다. 각각의 분야마다 관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창을 도서관 홈페이지에 달아 놓아서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5) 추천도서
과학분야 추천 도서 및 구매 시스템을 Yes24와 연계하여 제공하고 있다.
6) 학술사이트 정보원
인터넷으로 학술정보를 찾는 유용한 검색기법과 학술사이트 정보원을 가르쳐준다.
‘협력수업’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하나이다.
도서관의 시설자료와 학교 수업이 만나고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가 손을 잡는 것이다. 협력수업을 위해 교과교사는 수업 계획안이나 토론수업 주제를 사서교사에게 미리 알려주고 사서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자료를 준비해 교과교사에 제시한다. 또 아이들에게도 수업에 필요한 독서 자료와 탐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자료를 안내해준다.
6) 저작권 관리 전문가
저작권 아카데미 - 사서과정
디지털자원은 인쇄자원보다 사용 및 도용이 용이하여 저작권 문제에 신중해야 한다. 사서는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정보접근권의 양측 면에서 이를 적절히 대처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7) 정보중개자
새로운 정보기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시스템과 디지털 자원 검색 등 사서는 이용자 사이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정보중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수 만 건의 디지털 자원에서 적합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자원을 필터링하는 정보여과자의 역할 수행해야 한다.
전자도서관의 기술개발로 검색률이 계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긴 하지만 정확성과 최신성 있는 자료의 선택은 사서 전문성으로 가능한 것이다.
[사례 - 맞춤정보서비스]
SDI /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이용자가 필요한 주제를 사전에 선정, 등록하여 놓고 최신정보가 입수될 때마다 탐색하여 해당정보를 E-Mail을 통해 자동적,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맺음말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와 사서들에게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도서관 업무의 자동화에 따른 변화는 이용자에게 풍부한 정보와 부가가치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도서관과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 원문 및 화상정보 등을 대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신속한 문헌정보의 획득과 자료활용의 극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인터넷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세계의 많은 전문화된 도서관에 접근하여 문헌을 탐색하고 각종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이용자의 요구 또한 다양하게 변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사서의 역할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도서관 사서들의 역할은 기술적인 업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정보화와 기계화가 도래함에 따라 이러한 사서역할의 일정부분이 자동화 되었다. 때문에 이제는 기술적인 업무보다는 이용자 서비스측면 업무의 비중이 점점 커져가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기술적인 업무 보다는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로 그 초점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미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많은 부분은 정보화를 이룩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사서자신들의 마인드를 변화시키고,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의 사서 역할은 단순한 형태의 정보와 문헌들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첨단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일련의 종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과학자로서 또 도서관의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정보 중개자, 정보교육자 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의 중추적 존재로 자리매김하여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1. 윤동원, 21세기를 대비한 대학도서관과 사서의 역할:디지털 도서관과 관련하여,
안동대학교도서관
2. 이혜령, 정보통신기술에 따른 도서관의 환경변화 :
업무변화 및 사서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사례
- 저작권 아카데미
http://academy.copyright.or.kr
- 한겨례 함께하는 교육기획
http://www.hani.co.kr/section-005006001/2005/06/005006001200506191739045.html
- 학도넷
http://www.hakdo.net/policy.html?Table=edu2
- LG 상남도서관
http://www.lg.or.kr/index.jsp
일주일에 한번 있는 재량활동을 의무적으로 독서활동 시간으로 활용하는 천안 백석초등학교도 올해 초 디지털 도서관을 개관했다.
△ 부용초등학교 디지털 도서관에서 아이들이 읽고 싶은 책을 컴퓨터로 찾고 있다.
사이버도서관 독서토론 활발
이곳은 책 소식, 전자책 등 다양한 코너가 있지만 특히 토론방이 활성화돼 있다. 교사가 주제를 제시하면 아이들은 릴레이식으로 의견을 올려 진지한 토론을 이어간다. 저마다 감동있게 읽은 책의 소감을 올리면서 좋은 책 정보를 공유하기도 한다. 이 학교 최지영(26) 교사는 “디지털 도서관이 마련된 뒤부터 아이들이 스스로 즐겁게 책 읽는 버릇이 생기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강의 정보>
1) 강의자료
국내/해외의 학술 교육기관에서 교육되는 과학기술분야 강의 관련 자료의 인터넷상 위치 정보를 제공해 준다. 주제별로 구분이 되어 있다. 또한 국내학교, 해외학교 별로 자료를 모아 놓았다.
2) 학술 비디오
세계 유수 석학들의 강연, 학술회의 실황, 최고 권위의 대학 강의를 검색할 수 있다. 자료는 온라인대출시스템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3) 과학 eBook
주제별로 카테고리가 나눠져 있다. 또한 신착자료, 인기자료 목록도 별도로 구성해 두었다.
4) 전문용어사전
정보통신, 컴퓨터 공학, 기술공학 분야 등 30여개의 사전 및 용어집의 정보를 통합검색할 수 있다. 각각의 분야마다 관련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 창을 도서관 홈페이지에 달아 놓아서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5) 추천도서
과학분야 추천 도서 및 구매 시스템을 Yes24와 연계하여 제공하고 있다.
6) 학술사이트 정보원
인터넷으로 학술정보를 찾는 유용한 검색기법과 학술사이트 정보원을 가르쳐준다.
‘협력수업’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하나이다.
도서관의 시설자료와 학교 수업이 만나고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가 손을 잡는 것이다. 협력수업을 위해 교과교사는 수업 계획안이나 토론수업 주제를 사서교사에게 미리 알려주고 사서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자료를 준비해 교과교사에 제시한다. 또 아이들에게도 수업에 필요한 독서 자료와 탐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자료를 안내해준다.
6) 저작권 관리 전문가
저작권 아카데미 - 사서과정
디지털자원은 인쇄자원보다 사용 및 도용이 용이하여 저작권 문제에 신중해야 한다. 사서는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이용자의 정보접근권의 양측 면에서 이를 적절히 대처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7) 정보중개자
새로운 정보기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시스템과 디지털 자원 검색 등 사서는 이용자 사이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정보중개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수 만 건의 디지털 자원에서 적합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자원을 필터링하는 정보여과자의 역할 수행해야 한다.
전자도서관의 기술개발로 검색률이 계속적으로 개선되고 있긴 하지만 정확성과 최신성 있는 자료의 선택은 사서 전문성으로 가능한 것이다.
[사례 - 맞춤정보서비스]
SDI /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이용자가 필요한 주제를 사전에 선정, 등록하여 놓고 최신정보가 입수될 때마다 탐색하여 해당정보를 E-Mail을 통해 자동적,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맺음말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정보화 사회의 도래는 도서관 환경의 변화와 사서들에게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도서관 업무의 자동화에 따른 변화는 이용자에게 풍부한 정보와 부가가치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전통적인 도서관과 비교했을 때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자료에 대한 서지정보, 원문 및 화상정보 등을 대다수의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신속한 문헌정보의 획득과 자료활용의 극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셋째, 인터넷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세계의 많은 전문화된 도서관에 접근하여 문헌을 탐색하고 각종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이용자의 요구 또한 다양하게 변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새로운 사서의 역할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도서관 사서들의 역할은 기술적인 업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나, 정보화와 기계화가 도래함에 따라 이러한 사서역할의 일정부분이 자동화 되었다. 때문에 이제는 기술적인 업무보다는 이용자 서비스측면 업무의 비중이 점점 커져가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기술적인 업무 보다는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로 그 초점이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미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많은 부분은 정보화를 이룩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사서자신들의 마인드를 변화시키고,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의 사서 역할은 단순한 형태의 정보와 문헌들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첨단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일련의 종합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과학자로서 또 도서관의 새로운 정보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정보 중개자, 정보교육자 로서의 핵심적인 역할의 중추적 존재로 자리매김하여야 할 것이다
4. 참고자료
1. 윤동원, 21세기를 대비한 대학도서관과 사서의 역할:디지털 도서관과 관련하여,
안동대학교도서관
2. 이혜령, 정보통신기술에 따른 도서관의 환경변화 :
업무변화 및 사서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사례
- 저작권 아카데미
http://academy.copyright.or.kr
- 한겨례 함께하는 교육기획
http://www.hani.co.kr/section-005006001/2005/06/005006001200506191739045.html
- 학도넷
http://www.hakdo.net/policy.html?Table=edu2
- LG 상남도서관
http://www.lg.or.kr/index.jsp
추천자료
행정정보화의 실태와 그 개선방향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 및 특징 (정보화시대,정보화 시대)
지식정보사회와 정보전문가(지식 정보화 사회,지식 정보 사회의 정보 전문가
정보화 고속도로
현시대의 정보화사회에 대해서
정보화 시대에서 HRM(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과
파놉티콘-정보사회 정보감옥
소득과 정보격차 관계
정보화 시대의 유아교육 - 정보화사회의 장단점, 유아교육의 방향, 정보화 교육
정보사회의 빛과 그늘을 읽고
[IT산업][정보기술산업]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IT...
초등학교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도입과 방향, 초등학교 국어과와 영어과 ICT(정보통신기...
[정보통신기술(ICT)]정보통신기술(ICT)의 정의, 특징, 정보통신기술(ICT)의 혁신과 확산,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