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과정의 이론적 기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과정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과제는 아동의 모든 흥미와 욕구에 따른
창조적 활동에 따라 교육되어야 한다.
셋째, 놀이(play) 및 작업의 원리이다.
놀이에는 운동적인 놀이와 작업적인 놀이가 있다. 운동적 놀이는 행진, 뛰기, 무용 등을
말한다. 작업적 놀이는 은물(Gifts of God : 아동이 신으로부터 받은 선물)을 가지고 여러
가지 형태를 구성하는 탁상놀이이다. 아동들은 이 은물을 통하여 감각기관을 훈련하고
우주의 이법을 깨닫고 신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프뢰벨은 '은물'을 통하여 아동의 신성을
계발하려 했기 때문에 후세의 학자들은 그의 사상을 "상징주의"라고 명명하였다.
넷째, 연속적인 발달의 원리이다.
연속적인 발달의 원리란 인간의 생활 성장은 각 단계에 있어서 끊임없는 연속과 계속이지
단절이나 비약이 없다는 것이다. 유년다운 생활을 함으로써 소년이 괴고, 청년으로서의
생활을 영위함으로써 성인이 되는 것이다. 프뢰벨은 아동의 생활은 어른들의 생활이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둘러싼 생활임을 강조함으로써 교육의 미래생활에 대한 준비설을
부정하였다.
다섯째, 노작교육의 원리이다.
아동의 모든 단순한 생산활동을 노작으로 보고 생명 그 자체를 활동·노작·창조라고 보았다.
인간의 사명은 행동을 통하여 신성(神性)을 표현하는 것이며, 이 신성이 숨겨져 있는
인간은 노동을 함으로써 그리고 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내적 본질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인간의 사명을 신성의 표현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그의 노작의 원리는
인간 생명의 원리이며 생명의 발전을 위한 교육원리라는 것이다. 그 생명 발전의 과정이
노작이기 때문에 노작 교육이 곧 인간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사상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다.
* 교육사적 의의와 후세에 끼친 영향
첫째, 유치원의 창시자이다.
프뢰벨에 의하면 유치원은 아동시대의 '자유공화국'으로 유치원의 목적은 성인들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고 잘못 이해된 자유의 무법학교로부터 진실한 학교를 수하는 것이다.
둘째, 유치원의 전신인 1839년 장난감 중심의 '유아교육 지도자 강습소'를 개설하여 유아
40명을 모아 '조그마한 어린이 작업소'를 만든 것이 유치원의 전신이 되었다.
셋째, 교수의 기본원칙으로서 사회화의 의의를 인정한 최초의 교육사상가이다.
넷째, 자기표현의 활동을 중시한 것으로 아동교육에 있어서 유희의 본질적 요소와
자기활동을 중시한 점이 교육에 공헌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28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5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