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피부의 해부 생리에 관한 문헌고찰
1. 피부의 구조
2. 피부의 기능
Ⅲ.질병(욕창)에 관한 문헌고찰
1. 욕창의 정의
2. 욕창의 원인(발생기전)
3. 욕창 위험요인 대상과 호발 부위
4. 욕창의 사정
5. 욕창의 예방법
6. 욕창의 치료
Ⅳ. 욕창 사정도구
1. Norton의 욕창 사정도구
2. Barden의 사정도구
Ⅴ. 참고문헌
Ⅱ. 피부의 해부 생리에 관한 문헌고찰
1. 피부의 구조
2. 피부의 기능
Ⅲ.질병(욕창)에 관한 문헌고찰
1. 욕창의 정의
2. 욕창의 원인(발생기전)
3. 욕창 위험요인 대상과 호발 부위
4. 욕창의 사정
5. 욕창의 예방법
6. 욕창의 치료
Ⅳ. 욕창 사정도구
1. Norton의 욕창 사정도구
2. Barden의 사정도구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 BIOCLUSIVE
- 특성 :
상처부위와 주변환경 사이에 가스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흡수력이 없어 산출물이 있을 경우 상처주위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고 감염된 상처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구멍이 매우 작다.
24~72시간 정도 유지할 수 있다.
▷ 친수성 겔
- 제품 : Aquasorb, Biolex, Clearsite, Vigilon
- 특성 :
상피 세포화를 증진시키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겔 형태
세포의 이동을 위한 촉촉한 상처환경을 유지
비폐쇄적이고 감염이 있을 때도 사용
괴사 조직의 자연 분해를 촉진함
과도한 상처의 배액이 있는 경우는 사용하면 안된다.
8~48시간 유지 할 수 있다.
▷ 흡수드레싱
- 제품 : Bard Absorption Dressing, Debrisan
- 특성 :
파우더, 페이스트 등으로 되어 있고 친수성 흡수분자의 연고와 가루
형태로 산출물을 흡수한다. 상처모양과 크기에 따라 변형된다.
교환시 상처를 세척해야 한다.
24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 거즈드레싱
- 제품: Vaseline gauze, Xeroform
- 특성:
면이나 합성물질 등이 재료임
상처를 습기 있는 상태로 유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드레싱이 필요
투명드레싱으로 덮을 경우 8~24시간 정도 유지 할 수 있다.
(4)외과적 요법(수술)
수술적 치료는 보조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을 때 시행, 욕창 부위가 광범위하고 근육, 뼈까지 파급되며 치유가 지연될 때에는 외과적 중재가 필요.
수술은 다음의 경우에 시행.
① 골성 돌출 위에 있는 얇은 반흔이 있을 때,
② 압박궤양 하부에 비정상적인 점액낭이 있을 때,
③ 만성 화농 관절증,
④ 보존요법으로서는 난치인 요도 누공이나 창자누공이 있을 때,
⑤ 적당 기간내에 창상수축과 상피화로 치유되기에 너무 큰 욕창.
⑥ 수술 후의 합병증: 혈종, seroma, 창상감염 피판괴사, 압박궤양 재발 등
Ⅳ. 욕창 사정도구
1. Norton의 욕창 사정도구 ♣
범주
등급
점수
날짜
전신 신체 상태
우수
4
양호
3
불량
2
아주 불량
1
정신 상태
정상
4
무감동
3
혼돈
2
혼미
1
활동 정도
보행가능
4
보행시 도움
3
휠체어 사용
2
침대에 국한
1
가동성 정도
정상
4
약간 제한
3
상당히 제한
2
불가능
1
실금 정도
정상
4
가끔 실금
3
자주 실금
2
소변 대변 실금
1
총점
Norton의 욕창사정 도구는 14점 이하로 평가되면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이고 12점 이하로 평가된다면 위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낸다.
2. Barden의 사정도구 ♣
1. 감각기능
: 불편감에
반응하는능력
1. 전혀없음:
통증 자극에도 반응없음.혹은 신체의 대부분에
통증을 느끼는 감각이 제한되어있음
2. 매우제한됨
통증 자극에만 반응
혹은 신체의 반이상에 통증감각의 장애가 있음.
3. 약간 제한됨
언어지시에 따를 수 있으나 불편감이나 돌아눕고 싶다는 의사표현이 어려움 혹은 한군데 혹은 두군데 지체에 통증감각이 제한이 있음.
4. 장애가 없음
언어지시에 따라 반응함, 통증이나 불편감을 말로 표현하거나 느끼는데 제한되는 감각장애가 없음
2. 습기
: 피부가 습기에 노출되는
정도
1.계속적인 습기 노출
땀이나 소변 등에 의해 피부가 항상 젖어있음. 환자를 움직이거나 들려 눌힐 때 보면 항상 젖어있음.
2. 매우 습기가 있음
피부가 자주 젖어있으나 항상은 아님. 적어도 시간에 한번은 홑이불을 갈아야함
3.가끔 습기가 있음.
피부는 자주 젖어있고 하루에 한번은 과외로 홀이불을 갈아야함
4. 거의 습기가 없음
피부는 대개 마른 상태이고 홑이불을 정기적으로 가는데 갈아주면 충분함
3. 활동상태
:신체활동의 정도
1. 꼼짝못함.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함
2. 의자에 앉을 수는
있음
걷는 능력이 심히 제한되어있음. 자신의 체중을 감당하지 못하고 의자나 바퀴의자에 앉힐 때 도움이 필요
3. 가끔 걸을 수 있음.
낮동안에 가끔 짧은 거리를 걸을 수 있음. 대부분 시간를 침대나 의자에서 보냄
4. 자주 걸어다님
낮동안에 적어도 1-2시간에 한번은 걸음
4. 움직임
:신체의 자세를 바꾸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1.완전히 움직일 수 없음.
도움 없이는 신체나 사지를 전혀 움직이지 못함
2. 매우 제한됨
신체나 사지의 자세를 약간 바꿀수는 있으나 독자적으로 완전히 바꾸지는 못함
3. 약간 제한됨
자주 자세를 바꿀수는 있으나 약간 제한 있음
4. 제한이 없음
체위변경에 있어 도움없이 자주 돌아누울수 있음
5. 영양섭취
: 일상적
음식섭취상태
1. 매우 나쁨
식사의 1/2이상을 먹는 적이 거의 없음.
수분섭취도 부족, 다른 보충식도 먹지 않음. 혹은 NPO중이거나 IV만 맞음
2. 부족한 섭취
완전히 다 먹는 적이 없고 1/2정도 먹음. 단백질 섭취가 나쁨 , 다른 보충식이는 가끔함. 혹은 적은양의 미음만 먹음
3. 적당한 섭취
식사의 반이상을 먹음. 하루 1-2회. 단백질 식품 섭취. 수분 보충함. 혹은 tube feeding이나 TPN으로 대부분의 영양요구가 채워짐
4. 매우 좋음
식사를 거절하는 경우가 없고 식의 대부분을 먹음. 가끔 간식도 함. 다른 보충식이 필요없음
6.피부마찰과 쏠림
1.문제가 있음
움직이는데 도움이 필요. 홑이불에 쏠리지 않고 완전히 환자를 들기가 불가능. 자주 침대나 의자에서 밀려 내려가고 체위를 바꾸는데 많은 도움이 필요. 경련, 경직등에 의해 계속적인 마찰이 생김
2. 약간 문제
힘들게 움직이고 약간 보조가 필요. 움직일 때 피부가 약간 쏠리게됨 . 보통 의자나 침대에서 좋은 체위를 유지하나 가끔 밀려 내려감
3. 문제없음
침대나 의자에서 혼자 움직이고 움직일 때 홀이불에 쏠리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자신을 지지함. 침대나 의자에서 항상 좋은 체위를 유지
☞☞ 최대점수는 23점 , 9점이하면 high-risk 10점-16점이면 at risk상태임
Ⅴ. 참고문헌 외 재활 간호 현
보건교육 수문사 박노예저
SMC 신경외과 중환자실 매뉴얼
2003년도 보수교육 교제(상처간호)
기본 간호학 수문사
인터넷(다음. 네이버. 엠파스)
- 특성 :
상처부위와 주변환경 사이에 가스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흡수력이 없어 산출물이 있을 경우 상처주위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고 감염된 상처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구멍이 매우 작다.
24~72시간 정도 유지할 수 있다.
▷ 친수성 겔
- 제품 : Aquasorb, Biolex, Clearsite, Vigilon
- 특성 :
상피 세포화를 증진시키는 친수성 콜로이드의 겔 형태
세포의 이동을 위한 촉촉한 상처환경을 유지
비폐쇄적이고 감염이 있을 때도 사용
괴사 조직의 자연 분해를 촉진함
과도한 상처의 배액이 있는 경우는 사용하면 안된다.
8~48시간 유지 할 수 있다.
▷ 흡수드레싱
- 제품 : Bard Absorption Dressing, Debrisan
- 특성 :
파우더, 페이스트 등으로 되어 있고 친수성 흡수분자의 연고와 가루
형태로 산출물을 흡수한다. 상처모양과 크기에 따라 변형된다.
교환시 상처를 세척해야 한다.
24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 거즈드레싱
- 제품: Vaseline gauze, Xeroform
- 특성:
면이나 합성물질 등이 재료임
상처를 습기 있는 상태로 유지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드레싱이 필요
투명드레싱으로 덮을 경우 8~24시간 정도 유지 할 수 있다.
(4)외과적 요법(수술)
수술적 치료는 보조요법으로 치료할 수 없을 때 시행, 욕창 부위가 광범위하고 근육, 뼈까지 파급되며 치유가 지연될 때에는 외과적 중재가 필요.
수술은 다음의 경우에 시행.
① 골성 돌출 위에 있는 얇은 반흔이 있을 때,
② 압박궤양 하부에 비정상적인 점액낭이 있을 때,
③ 만성 화농 관절증,
④ 보존요법으로서는 난치인 요도 누공이나 창자누공이 있을 때,
⑤ 적당 기간내에 창상수축과 상피화로 치유되기에 너무 큰 욕창.
⑥ 수술 후의 합병증: 혈종, seroma, 창상감염 피판괴사, 압박궤양 재발 등
Ⅳ. 욕창 사정도구
1. Norton의 욕창 사정도구 ♣
범주
등급
점수
날짜
전신 신체 상태
우수
4
양호
3
불량
2
아주 불량
1
정신 상태
정상
4
무감동
3
혼돈
2
혼미
1
활동 정도
보행가능
4
보행시 도움
3
휠체어 사용
2
침대에 국한
1
가동성 정도
정상
4
약간 제한
3
상당히 제한
2
불가능
1
실금 정도
정상
4
가끔 실금
3
자주 실금
2
소변 대변 실금
1
총점
Norton의 욕창사정 도구는 14점 이하로 평가되면 욕창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이고 12점 이하로 평가된다면 위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낸다.
2. Barden의 사정도구 ♣
1. 감각기능
: 불편감에
반응하는능력
1. 전혀없음:
통증 자극에도 반응없음.혹은 신체의 대부분에
통증을 느끼는 감각이 제한되어있음
2. 매우제한됨
통증 자극에만 반응
혹은 신체의 반이상에 통증감각의 장애가 있음.
3. 약간 제한됨
언어지시에 따를 수 있으나 불편감이나 돌아눕고 싶다는 의사표현이 어려움 혹은 한군데 혹은 두군데 지체에 통증감각이 제한이 있음.
4. 장애가 없음
언어지시에 따라 반응함, 통증이나 불편감을 말로 표현하거나 느끼는데 제한되는 감각장애가 없음
2. 습기
: 피부가 습기에 노출되는
정도
1.계속적인 습기 노출
땀이나 소변 등에 의해 피부가 항상 젖어있음. 환자를 움직이거나 들려 눌힐 때 보면 항상 젖어있음.
2. 매우 습기가 있음
피부가 자주 젖어있으나 항상은 아님. 적어도 시간에 한번은 홑이불을 갈아야함
3.가끔 습기가 있음.
피부는 자주 젖어있고 하루에 한번은 과외로 홀이불을 갈아야함
4. 거의 습기가 없음
피부는 대개 마른 상태이고 홑이불을 정기적으로 가는데 갈아주면 충분함
3. 활동상태
:신체활동의 정도
1. 꼼짝못함.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함
2. 의자에 앉을 수는
있음
걷는 능력이 심히 제한되어있음. 자신의 체중을 감당하지 못하고 의자나 바퀴의자에 앉힐 때 도움이 필요
3. 가끔 걸을 수 있음.
낮동안에 가끔 짧은 거리를 걸을 수 있음. 대부분 시간를 침대나 의자에서 보냄
4. 자주 걸어다님
낮동안에 적어도 1-2시간에 한번은 걸음
4. 움직임
:신체의 자세를 바꾸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1.완전히 움직일 수 없음.
도움 없이는 신체나 사지를 전혀 움직이지 못함
2. 매우 제한됨
신체나 사지의 자세를 약간 바꿀수는 있으나 독자적으로 완전히 바꾸지는 못함
3. 약간 제한됨
자주 자세를 바꿀수는 있으나 약간 제한 있음
4. 제한이 없음
체위변경에 있어 도움없이 자주 돌아누울수 있음
5. 영양섭취
: 일상적
음식섭취상태
1. 매우 나쁨
식사의 1/2이상을 먹는 적이 거의 없음.
수분섭취도 부족, 다른 보충식도 먹지 않음. 혹은 NPO중이거나 IV만 맞음
2. 부족한 섭취
완전히 다 먹는 적이 없고 1/2정도 먹음. 단백질 섭취가 나쁨 , 다른 보충식이는 가끔함. 혹은 적은양의 미음만 먹음
3. 적당한 섭취
식사의 반이상을 먹음. 하루 1-2회. 단백질 식품 섭취. 수분 보충함. 혹은 tube feeding이나 TPN으로 대부분의 영양요구가 채워짐
4. 매우 좋음
식사를 거절하는 경우가 없고 식의 대부분을 먹음. 가끔 간식도 함. 다른 보충식이 필요없음
6.피부마찰과 쏠림
1.문제가 있음
움직이는데 도움이 필요. 홑이불에 쏠리지 않고 완전히 환자를 들기가 불가능. 자주 침대나 의자에서 밀려 내려가고 체위를 바꾸는데 많은 도움이 필요. 경련, 경직등에 의해 계속적인 마찰이 생김
2. 약간 문제
힘들게 움직이고 약간 보조가 필요. 움직일 때 피부가 약간 쏠리게됨 . 보통 의자나 침대에서 좋은 체위를 유지하나 가끔 밀려 내려감
3. 문제없음
침대나 의자에서 혼자 움직이고 움직일 때 홀이불에 쏠리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자신을 지지함. 침대나 의자에서 항상 좋은 체위를 유지
☞☞ 최대점수는 23점 , 9점이하면 high-risk 10점-16점이면 at risk상태임
Ⅴ. 참고문헌 외 재활 간호 현
보건교육 수문사 박노예저
SMC 신경외과 중환자실 매뉴얼
2003년도 보수교육 교제(상처간호)
기본 간호학 수문사
인터넷(다음. 네이버. 엠파스)
추천자료
의학적 간병 & 간호 기술 이해
중환자실 데일리
고위험가족 간호과정 사례연구
석고붕대의 목적과 종류 및 합병증과 간호중재
임상영양간호사의 역할
MI 간호과정 A+
[간호관리 직무분석] 신경외과 간호사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성인간호학][뇌졸중][CV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관리 직무분석] 신경외과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무기술서+직무...
♡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가진 환자의 간호 Ⅰ♡ - 무의식 환자 간호, 두개내압 상승, 두통, 감염...
경막외혈종케이스(간호과정:두개내 혈종과 관련된 뇌조직관류장애,두통과 관련된 통증,수술과...
경막외혈종 케이스(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A+++++
방문간호 사례연구, 가족사정, 가족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