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이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아래의 목표는 수정될 수 있다.
- 혼자 침대에 오르고 내릴 수 있다.
- 편평한 표면에서 목발이나 보행기를 이용하여 도움 없이 보행할 수 있다.
- 계단 3개를 오르고 내릴 수 있다.
-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 슬관절을 90도 굴곡 시킬 수 있다.
- 슬관절을 완전하게 신전 시킬 수 있다.
목발 혹은 보행기를 이용해 걷고 지시된 만큼 체중을 지지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는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고, 슬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다.
CPM(continuous passive motion)이 처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순히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는데 사용하며 능동운동을 대신할 수 없다. 슬관절 고정대는 적절한 지지를 해주며 슬관절을 바로 펼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① 대퇴사두근의 등척성 운동 (Quadriceps Setting)
대퇴사두근은 대퇴부의 전면에 위치한 4개의 근육으로 이뤄졌으며, 슬관절을 지지하고 움직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정상보행을 위해서 충분히 강화되어야 한다. 대퇴사두근 등장성 운동은 이러한 근육을 강화하는 가장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이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슬관절을 바로 펴고, 양팔을 편안히 옆에 붙이며, 강하게 대퇴사두근을 수축하며 슬관절을 아래로 민다. 양다리에서 동시에 수축할 수 있으며, 무릎 밑에 치료사의 손이나 수건 등을 넣고 빠지지 않게 누르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운동은 수술후 당일 시행할 수 있으며 통증의 정도에 따라 환자가 할 수 있는 양이 결정될 것이다. 매 시간마다 서너 번씩 시행하며 하는 정도에 따라 회복정도가 빨라질 수 있다.
② 슬관절의 신전 (Terminal Knee Extension)
수술한 다리 슬관절 밑에 베개나 두루마리 수건을 두어 슬관절이 30-40도 굴곡되도록 한다. 대퇴사두근을 수축하면서 뒤꿈치를 들어올리며 5초간 정지하고 천천히 내린다. 10-20회 반복한다. 이 운동은 대퇴사두근을 강화하고 슬관절을 끝까지 펴게 한다.
③ 슬관절 굴곡 (Knee Flexion)
치료사에 의해 혹은 기계(CPM)를 이용하여 매일 굽히는 정도를 늘여간다.
③ 하지 직거상 운동 (Straight Leg Raising)
수술하지 않은 발을 침대에 붙인 채 무릎을 구부리고 고정한다. 수술한 다리를 바로 편 채 그대로 20-30cm를 들어올린다. 5초를 유지하고 천천히 다리를 내린다. 10-20회 반복한다. 10-20회를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으면 발목에 모래주머니와 같은 저항을 주고, 근육이 강화되면 저항의 무게도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④ 온열치료와 냉치료
-냉치료 : 슬관절에 통증과 부종을 감소하기 위해 병원이나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증과 부종은 기능적 능력의 회복을 지연시킨다. 얼음주머니는 15-20분 동안 타울로 감싸서 적용하며, 수술후 감각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온열치료 : 부종이 가라앉고 발열과 통증이 없으면, 관절가동범위를 늘이기 위해 운동전에 온습포을 적용할 수 있다. 온습포는 15-20분 적용하며, 수술후 감각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합병증
슬관절의 통증, 인공관절의 해리현상, 경직 등은 재수술을 필요로 하고, 감염은 항생제 치료후 재수술이 이루어진다.
① 과다한 마모
관절을 너무 무리하게 사용하여 인공 관절에 과도한 마모가 생겨 헐거워지는 경우다. 이 경우는 관절을 조심해서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으며 일단 발생하면 의사와 상의하셔야 한다.
② 감염
대부분 수술시 길게 피부 절개를 하는데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인공 관절 자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운동 요법에도 영향을 주므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경우는 수술부위를 압박하거나 무릎을 고정 시키고 항생제 사용 등으로 치료 될 수 있겠다. 그러나 아주 적은 예에서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처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③ 골절
원래 환자가 고령이거나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관절염이 심한 경우는 조그마한 외력에도 쉽게 골절이 올 수 있다. 또한 심하게 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나 외상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일단 골절이 생기면 완전히 뼈가 붙을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장시간 고정으로 인해 무릎 관절운동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료로는 최근에는 환자의 빠른 거동과 재활을 위해 수술적 치료법이 선호되고 있다.
④ 혈관 합병증
피부 속 깊은 곳에 있는 정맥이 막히는 색전증이 올 수 있으며 이는 정맥에 혈액 순환이 지연되어 미세혈전이 생겨 모세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병으로서 원인으로는 장기간 병상에 누워있으므로 혈액이 잘 흐르지 않아 이로 인한 혈액이 끈끈해져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합병증의 증상은 심한 통증과 다리가 붙는 것을 호소하며 이상감각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치료 및 예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은 근육의 운동을 통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술 후 환자의 조기운동이 매우 중요하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 스스로가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수술 후 출혈
대부분의 슬관절 치환술 후는 출혈은 그리 심하지 않으나 뼈가 약하거나 장기간 질병을 앓았을 경우에 이따금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의사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
⑥ 다리가 저리는 경우
이 경우는 피를 멈추게 하기위해 수술시 허벅지에 감는 지혈대를 장시간 사용하였거나 심하게 관절이 굽는 것을 교정하였을 경우에 다리 아래로 내려가서 발가락 등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인 비골 신경이 마비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는 시간이 경과하면 회복이 되기 시작한다. 장기간 지속 할 때에는 다른 치료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⑦ 인공 관절이 부러지는 경우
드문 경우이지만 가끔 생기며 인공관절 자체에 영향을 주어서 무릎 관절에 이상을 가져온다. 또한 치료 방법은 재수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는 정기적인 통원치료와 퇴원 후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예방할 수 있겠다.
- 혼자 침대에 오르고 내릴 수 있다.
- 편평한 표면에서 목발이나 보행기를 이용하여 도움 없이 보행할 수 있다.
- 계단 3개를 오르고 내릴 수 있다.
-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 슬관절을 90도 굴곡 시킬 수 있다.
- 슬관절을 완전하게 신전 시킬 수 있다.
목발 혹은 보행기를 이용해 걷고 지시된 만큼 체중을 지지하도록 하며, 또한 환자는 다리의 근력을 강화하고, 슬관절의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다.
CPM(continuous passive motion)이 처방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순히 관절가동범위를 유지하는데 사용하며 능동운동을 대신할 수 없다. 슬관절 고정대는 적절한 지지를 해주며 슬관절을 바로 펼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① 대퇴사두근의 등척성 운동 (Quadriceps Setting)
대퇴사두근은 대퇴부의 전면에 위치한 4개의 근육으로 이뤄졌으며, 슬관절을 지지하고 움직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정상보행을 위해서 충분히 강화되어야 한다. 대퇴사두근 등장성 운동은 이러한 근육을 강화하는 가장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이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슬관절을 바로 펴고, 양팔을 편안히 옆에 붙이며, 강하게 대퇴사두근을 수축하며 슬관절을 아래로 민다. 양다리에서 동시에 수축할 수 있으며, 무릎 밑에 치료사의 손이나 수건 등을 넣고 빠지지 않게 누르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운동은 수술후 당일 시행할 수 있으며 통증의 정도에 따라 환자가 할 수 있는 양이 결정될 것이다. 매 시간마다 서너 번씩 시행하며 하는 정도에 따라 회복정도가 빨라질 수 있다.
② 슬관절의 신전 (Terminal Knee Extension)
수술한 다리 슬관절 밑에 베개나 두루마리 수건을 두어 슬관절이 30-40도 굴곡되도록 한다. 대퇴사두근을 수축하면서 뒤꿈치를 들어올리며 5초간 정지하고 천천히 내린다. 10-20회 반복한다. 이 운동은 대퇴사두근을 강화하고 슬관절을 끝까지 펴게 한다.
③ 슬관절 굴곡 (Knee Flexion)
치료사에 의해 혹은 기계(CPM)를 이용하여 매일 굽히는 정도를 늘여간다.
③ 하지 직거상 운동 (Straight Leg Raising)
수술하지 않은 발을 침대에 붙인 채 무릎을 구부리고 고정한다. 수술한 다리를 바로 편 채 그대로 20-30cm를 들어올린다. 5초를 유지하고 천천히 다리를 내린다. 10-20회 반복한다. 10-20회를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으면 발목에 모래주머니와 같은 저항을 주고, 근육이 강화되면 저항의 무게도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④ 온열치료와 냉치료
-냉치료 : 슬관절에 통증과 부종을 감소하기 위해 병원이나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통증과 부종은 기능적 능력의 회복을 지연시킨다. 얼음주머니는 15-20분 동안 타울로 감싸서 적용하며, 수술후 감각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온열치료 : 부종이 가라앉고 발열과 통증이 없으면, 관절가동범위를 늘이기 위해 운동전에 온습포을 적용할 수 있다. 온습포는 15-20분 적용하며, 수술후 감각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합병증
슬관절의 통증, 인공관절의 해리현상, 경직 등은 재수술을 필요로 하고, 감염은 항생제 치료후 재수술이 이루어진다.
① 과다한 마모
관절을 너무 무리하게 사용하여 인공 관절에 과도한 마모가 생겨 헐거워지는 경우다. 이 경우는 관절을 조심해서 사용하여 예방할 수 있으며 일단 발생하면 의사와 상의하셔야 한다.
② 감염
대부분 수술시 길게 피부 절개를 하는데 상처 치유가 지연되거나 염증이 생기면 인공 관절 자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운동 요법에도 영향을 주므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경우는 수술부위를 압박하거나 무릎을 고정 시키고 항생제 사용 등으로 치료 될 수 있겠다. 그러나 아주 적은 예에서 보존적 요법으로 치유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적 처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③ 골절
원래 환자가 고령이거나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관절염이 심한 경우는 조그마한 외력에도 쉽게 골절이 올 수 있다. 또한 심하게 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나 외상에 의해서도 올 수 있다. 일단 골절이 생기면 완전히 뼈가 붙을 때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장시간 고정으로 인해 무릎 관절운동에 많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골절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치료로는 최근에는 환자의 빠른 거동과 재활을 위해 수술적 치료법이 선호되고 있다.
④ 혈관 합병증
피부 속 깊은 곳에 있는 정맥이 막히는 색전증이 올 수 있으며 이는 정맥에 혈액 순환이 지연되어 미세혈전이 생겨 모세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병으로서 원인으로는 장기간 병상에 누워있으므로 혈액이 잘 흐르지 않아 이로 인한 혈액이 끈끈해져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합병증의 증상은 심한 통증과 다리가 붙는 것을 호소하며 이상감각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치료 및 예방법 중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은 근육의 운동을 통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술 후 환자의 조기운동이 매우 중요하며 의사의 지시에 따라 환자 스스로가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⑤ 수술 후 출혈
대부분의 슬관절 치환술 후는 출혈은 그리 심하지 않으나 뼈가 약하거나 장기간 질병을 앓았을 경우에 이따금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의사가 적절한 조치를 취하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다.
⑥ 다리가 저리는 경우
이 경우는 피를 멈추게 하기위해 수술시 허벅지에 감는 지혈대를 장시간 사용하였거나 심하게 관절이 굽는 것을 교정하였을 경우에 다리 아래로 내려가서 발가락 등을 움직이게 하는 신경인 비골 신경이 마비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는 시간이 경과하면 회복이 되기 시작한다. 장기간 지속 할 때에는 다른 치료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⑦ 인공 관절이 부러지는 경우
드문 경우이지만 가끔 생기며 인공관절 자체에 영향을 주어서 무릎 관절에 이상을 가져온다. 또한 치료 방법은 재수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는 정기적인 통원치료와 퇴원 후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예방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THRA :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인공슬관절 치환술에 대한 문헌고찰과 수술전후간호, 수술후 운동에 관...
정형외과 의학용어 및 의학약어
THRA-고관절치환술
[몸(신체), 몸의미(신체의미), 시각 및 청각]몸(신체)과 몸의미(신체의미), 몸(신체)과 시각 ...
[의학]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TKR : Total knee replacement PPT자료
[의학] THR (고관절 전치환술) & TKR (슬관절 전치환술)
[의학] 고관절인공관절전치환술[Total Hip Replacement]에 관해
고관절 전치 환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