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종골을 잡고 발을 받쳐서 환자의 다리를 들어올린다. 이때 환자의 무릎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검사자의 다른 한손으로 무릎을 고정해준다. 운동범위는 불쾌감이나 동통없이 정상적으로 하지와 진찰대의 각도는 약 80도이다.
만일 동통이 있으면 좌골 신경에 병변이 있는 것인지, 대퇴후근의 긴장 때문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대퇴후근의 동통은 단순히 대퇴후면에만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좌골신경통은 신경주행에 따라 하퇴까지 뻗칠 수가 있다. 또한 요통과 반대편 하지의 동통을 함께 호소하기도 한다.(교차성 SLR 양성반응) 환자가 동통을 느끼는 지점에서 다리를 약간 내린 다음 족관절을 배측 굴곡시켜 좌골 신경을 신장시키면 좌골신경통을 재현시킬 수 있다. 이때 통증이 없으면 단지 대퇴후근의 긴장이다.
건측하지신전검사: 환자의 건측 다리를 들어올린다. 환자가 반대측의 요통, 자골신경통을 호소할 경우에는 요추부위의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공간점거성 병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검사는 반대편 하지 거상검사또는 교차성 하지 신전검사에 서도 양성으로 나타날 것이다.
Femoral stretch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L2, L3, L4 level의 disc탈출 검사(요추의 상위 level disc 검사)
방법 : 환자를 복와위로 자세를 취하게 한 뒤, 무릎이 굽혀진 상태로 해서 고관절을 신전시킨다.
양성반응 : 하지방산통이 나타난다.
Hoover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58)
환자가 다리를 들 수 없다고 호소할 때 꾀병으로 그러는 것인지 정말 다리를 들 수 없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검사이며 하지신전검사와 병행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환자가 다리를 들어올릴 때 한 손으로 반대측 하지의 종골 밑을 감싸쥔다. 환자가 자신의 다리르 들어 올리려면 반대편 다리의 뒷꿈치 위에 압력을 주게 된다. 검사자는 종골을 감싸고 있는 손바닥에서 아래쪽으로 눌려지는 압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다리를 들어 올리려고 할 때 아래로 눌려지는 느낌이 없을 경우에는 환자 자신이 실제로 애쓰고 있지 않다는 증거이다.
Kernig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58)
척수를 신장시켜 동통을 재현하기 위한 또하나의 방법이다. 환자는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누운 자세로 양손을 머리 뒤에서 깍지를 끼고 머리를 가슴 쪽으로 힘차게 구부리도록 한다. 이때 환자는 경추 또는 허리나 하퇴에 동통을 호소하게 된다. 뇌막 자극증상, 신경근의 손상, 신경근을 포함한 경막자극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환자에게 동통이 일어나는 부위의 위치를 정확히 묻고 그 장소를 정확히 결정한다.
Naphziger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0)
척수내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척수강 내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검사이다. 환자의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약 10초 동안 경정맥을 가볍게 누른다. 그 다음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한다. 환자가 기침을 할 때 동통을 일으키면 수막에 압력을 줄만한 병변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aenslen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1)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게 한 다음 환자에게 양쪽 다리를 잡아당겨 가슴까지 닿도록한다. 그 다음 몸을 진찰대 가장자리로 옮겨 한 쪽 엉덩이는 진찰대 가장자리에 반쯤 걸쳐놓고 다른 한쪽의 엉덩이는 진찰대 위에 그대로 유지한다. 반쯤 걸쳐놓은 쪽의 다리를 펴서 진찰대 아래로 내려뜨리고 반대편 다리는 굴곡한 채로 유지한다. 이때 천장관절부위에 동통이 발생하면 그 부분에 병변을 의심할 수 있다.
Patrick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2)
이 검사는 천장관절뿐 아니라 고관절에 대한 병변을 알아내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게 한 다음 환자의 환측발을 반대편 건측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그 다음 고관절을 굴곡, 외전, 외회전 시킨다. 이 자세에서 서혜 부분의 동통은 고관절 또는 그 주위 근육에 병변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굴곡, 외전, 외회전의 마지막 지짐에 도달했을 때 대퇴골은 골반에 고정된다.(그 때의 양다리의 모양은 4자와 비슷해진다.) 운동범위를 넓혀 천장관절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의 굴곡된 슬관절 위에 놓고 다른 한 손은 반대편의 전상장골극(ASIS) 위에 올려놓는다. 검사자는 이 두지점에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때 통증이 증가하게 되면 천장관절에 병변이 있는 것이다. 천장 관절의 병변은 일반적으로 흔히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 병변이 있을 때는 보통 골반의 심한 외상이나 결핵과 같은 감염성 질환과 관계가 있다.
Walking on toe, walking on heel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walking on toe는 gastrocnemius & soleus(S1, S2) 검사
walking on heel은 tibialis anterior(L4, L5)검사
방법 : walking on toe는 한쪽 발씩 up-down 시킨다.
walking on heel은 뒷꿈치로 걷게 한다.
양성반응 : 제대로 서거나 걷지 못함.
Lasegue's sign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SLR이 양성일 때 슬괵근에 문제인지 디스크병변인지 구분하는 검사
방법 : 환자를 앙와위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슬관절과 고관절을 90°로 하게 한 뒤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양성반응 : 하지방산통이 재현되면 디스크일 가능성이 높다.
<기타>
T4, T10, T12, S5 level에 있어서의 감각지배영역을 설명하시오.(p33, 163)
T4 : 유두부위, T10 : 배꼽부위, T12 : 전상장골능, S5 : 항문
Schber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요추만의 순수한 굴곡의 정도를 판단. 강직성척추염시 진단.
방법 : 후상장골극(PSIP)의 움푹들어간 곳(dimple)의 이은 선과 척추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을 줄자의 10cm부위에 대고 0cm부위를 손으로 잡는다. 환자를 전방으로 굴곡시킨 후 dimple의 위치의 수치를 읽는다.
양성반응 : 정상은 15cm이상. 15cm미만은 비정상
Jendrassik maneuver에 대해 설명하시오.
하지 DTR검사시 검사촉진시키기 위해
만일 동통이 있으면 좌골 신경에 병변이 있는 것인지, 대퇴후근의 긴장 때문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대퇴후근의 동통은 단순히 대퇴후면에만 관련되어 있는 반면에 좌골신경통은 신경주행에 따라 하퇴까지 뻗칠 수가 있다. 또한 요통과 반대편 하지의 동통을 함께 호소하기도 한다.(교차성 SLR 양성반응) 환자가 동통을 느끼는 지점에서 다리를 약간 내린 다음 족관절을 배측 굴곡시켜 좌골 신경을 신장시키면 좌골신경통을 재현시킬 수 있다. 이때 통증이 없으면 단지 대퇴후근의 긴장이다.
건측하지신전검사: 환자의 건측 다리를 들어올린다. 환자가 반대측의 요통, 자골신경통을 호소할 경우에는 요추부위의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공간점거성 병변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검사는 반대편 하지 거상검사또는 교차성 하지 신전검사에 서도 양성으로 나타날 것이다.
Femoral stretch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L2, L3, L4 level의 disc탈출 검사(요추의 상위 level disc 검사)
방법 : 환자를 복와위로 자세를 취하게 한 뒤, 무릎이 굽혀진 상태로 해서 고관절을 신전시킨다.
양성반응 : 하지방산통이 나타난다.
Hoover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58)
환자가 다리를 들 수 없다고 호소할 때 꾀병으로 그러는 것인지 정말 다리를 들 수 없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검사이며 하지신전검사와 병행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환자가 다리를 들어올릴 때 한 손으로 반대측 하지의 종골 밑을 감싸쥔다. 환자가 자신의 다리르 들어 올리려면 반대편 다리의 뒷꿈치 위에 압력을 주게 된다. 검사자는 종골을 감싸고 있는 손바닥에서 아래쪽으로 눌려지는 압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다리를 들어 올리려고 할 때 아래로 눌려지는 느낌이 없을 경우에는 환자 자신이 실제로 애쓰고 있지 않다는 증거이다.
Kernig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58)
척수를 신장시켜 동통을 재현하기 위한 또하나의 방법이다. 환자는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누운 자세로 양손을 머리 뒤에서 깍지를 끼고 머리를 가슴 쪽으로 힘차게 구부리도록 한다. 이때 환자는 경추 또는 허리나 하퇴에 동통을 호소하게 된다. 뇌막 자극증상, 신경근의 손상, 신경근을 포함한 경막자극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환자에게 동통이 일어나는 부위의 위치를 정확히 묻고 그 장소를 정확히 결정한다.
Naphziger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0)
척수내압을 상승시킴으로써 척수강 내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검사이다. 환자의 얼굴이 붉어질 때까지 약 10초 동안 경정맥을 가볍게 누른다. 그 다음 환자에게 기침을 하게 한다. 환자가 기침을 할 때 동통을 일으키면 수막에 압력을 줄만한 병변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Gaenslen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1)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게 한 다음 환자에게 양쪽 다리를 잡아당겨 가슴까지 닿도록한다. 그 다음 몸을 진찰대 가장자리로 옮겨 한 쪽 엉덩이는 진찰대 가장자리에 반쯤 걸쳐놓고 다른 한쪽의 엉덩이는 진찰대 위에 그대로 유지한다. 반쯤 걸쳐놓은 쪽의 다리를 펴서 진찰대 아래로 내려뜨리고 반대편 다리는 굴곡한 채로 유지한다. 이때 천장관절부위에 동통이 발생하면 그 부분에 병변을 의심할 수 있다.
Patrick 검사에 대해 설명하시오.(p262)
이 검사는 천장관절뿐 아니라 고관절에 대한 병변을 알아내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게 한 다음 환자의 환측발을 반대편 건측 무릎 위에 올려놓는다. 그 다음 고관절을 굴곡, 외전, 외회전 시킨다. 이 자세에서 서혜 부분의 동통은 고관절 또는 그 주위 근육에 병변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굴곡, 외전, 외회전의 마지막 지짐에 도달했을 때 대퇴골은 골반에 고정된다.(그 때의 양다리의 모양은 4자와 비슷해진다.) 운동범위를 넓혀 천장관절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검사자의 한 손은 환자의 굴곡된 슬관절 위에 놓고 다른 한 손은 반대편의 전상장골극(ASIS) 위에 올려놓는다. 검사자는 이 두지점에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한다. 이때 통증이 증가하게 되면 천장관절에 병변이 있는 것이다. 천장 관절의 병변은 일반적으로 흔히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 병변이 있을 때는 보통 골반의 심한 외상이나 결핵과 같은 감염성 질환과 관계가 있다.
Walking on toe, walking on heel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walking on toe는 gastrocnemius & soleus(S1, S2) 검사
walking on heel은 tibialis anterior(L4, L5)검사
방법 : walking on toe는 한쪽 발씩 up-down 시킨다.
walking on heel은 뒷꿈치로 걷게 한다.
양성반응 : 제대로 서거나 걷지 못함.
Lasegue's sign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SLR이 양성일 때 슬괵근에 문제인지 디스크병변인지 구분하는 검사
방법 : 환자를 앙와위로 자세를 취하게 하고, 슬관절과 고관절을 90°로 하게 한 뒤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양성반응 : 하지방산통이 재현되면 디스크일 가능성이 높다.
<기타>
T4, T10, T12, S5 level에 있어서의 감각지배영역을 설명하시오.(p33, 163)
T4 : 유두부위, T10 : 배꼽부위, T12 : 전상장골능, S5 : 항문
Schber test에 대해 설명하시오.
의의 : 요추만의 순수한 굴곡의 정도를 판단. 강직성척추염시 진단.
방법 : 후상장골극(PSIP)의 움푹들어간 곳(dimple)의 이은 선과 척추가 수직으로 만나는 점을 줄자의 10cm부위에 대고 0cm부위를 손으로 잡는다. 환자를 전방으로 굴곡시킨 후 dimple의 위치의 수치를 읽는다.
양성반응 : 정상은 15cm이상. 15cm미만은 비정상
Jendrassik maneuver에 대해 설명하시오.
하지 DTR검사시 검사촉진시키기 위해
추천자료
장애인복지에 대하여 - 의료재활부문
의료사회사업의 발달과정과 재활의료사회사업의 기능 및 역할
[간호학] 뇌졸중 예방, 치료, 재활
잦은 상해부분과 그 재활프로그램 과정
간질과 간질간호 및 재활
척추(척수)손상환자의 재활 간호
[뇌졸중]뇌졸중의 개념,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병태생리, 뇌졸중의 분류와 뇌졸중의 증상,...
절단 - 지체 절단 환자의 재활치료 [Rehabilitation of Amputee]
[Dankook Sports Medicine] 01.스포츠재활의 원리.ppt
장애인복지 - 개념, 장애유형, 현황, 발생원인, 장애인의 재활, 장애인복지정책, 접근권, 자...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개념, 장애인재활, 장애인복지관련법, 장애인복지정책, 복지시설과서비스)
[생활과건강 공통] 1) 뇌졸중을 예방 위한 환자 교육내용, 2) 편마비로 인해 기동성과 활동...
[사회복지사 장애인복지론]총체적 재활의 정의와 사례 및 분석
뇌졸중 - 뇌졸중의 개요, 뇌졸중의 병기와 간호, 뇌졸중의 재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