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재활간호] 호흡재활에 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재활간호] 호흡재활에 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번 튜브의 종류나 사이즈를 바꾸는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기관 튜브 교체는 시간을 들여 진행될 것이다.
한가지 방법은 튜브를 더 작은 사이즈로 바꾼 후 제거하는 것이다. 튜브를 제거하고 떼어내는 것을  decannulation 이라 한다. 다른 방법은 튜브를 창이 있는 기관절개 관으로 바꾸는 것이다. 유창 기관절개관은 입으로 호흡할 수 있고, 말할 수도 있으며 필요하다면 그것을 통해 빨아 낼 수도 있는 튜브이다. 기관 절개 관은 기관 절개 버튼으로 교체 될 수 있다. 기관 절개 버튼은 실제로 튜브가 아니고 목에 있는 구멍을 열 수 있게 하는 간단하고 작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버튼이다. 만약 어떤 이유로든 기관 절개 관이 없이 지낼 수 없다면, 그 버튼을 제거함으로써 쉽게 대체될 수 있다. 만약 기관 절개 관 없이 지낼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면 기관 절개 버튼은 제거 될 수 있고 며칠 후 목에 있는 구멍은 닫힐 것이다.
4)기관 절개 튜브의 관리
① 기관 절개 흡인-기도가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분비물을 제거한다. 이는 기침으로 기관절개 부분이나 입을 통해 분비물이 나오지 않을 때만 행해져야 한다.
준비물은 멸균장갑, 윤활제 , 흡인 기계, 흡인 카테터, 끓이거나 소독된 물,
생리식염수, bowl이나 bottle 이다.
< 방법 >
ⓐ 비누와 물로 손을 씻는다
ⓑ병안에 생리식염수나 물을 붓는다.
ⓒ흡인하기 전 내부 삽관은 기관 절개 튜브 내에 있어야 한다.
ⓓ흡인기의 튜브로 깨끗한 흡인 카테터를 연결한다.
ⓔ기관 튜브로 분비물이 나올 수 있도록 기침을 해서 뱉도록 한다. (어떤 사람들은 흡인전 여분의 산소를 필요로 한다.-의사, 간호사, 치료사들과 산소를 더 필요로 하는 것은 상담한다.)
ⓕ기관 튜브내로 카테터를 3-4인치 밀어 넣는다. 카테터를 넣는 동안에는 흡인하지 않는다.
ⓖ흡인하고 천천히 카테터를 뺀다. 한번에 15초 이상흡인하지 않는다.
ⓗ만약 다시 흡인 해야한다면, 흡인 카테터의 기관지로 삽입할 부분을 끓이거나 소독된 물로 세척한다.
ⓘ카테터를 다시 삽입한다.
ⓙ 흡인이 끝나면, 내부 삽관을 세척한다. 흡인 카테터를 세척한다.
② 흡인 카테터 세척- 기관 절개 튜브 안에서 번식하는 세균을 방지한다.
Ⅵ. 호흡재활 중재
1. 잠재적인 호흡기 합병증
문제
무엇인가
증상
무엇을 해야하나
울혈
폐의 점액성 분비물과잉
가슴의 시끄러운 답답함
시끄러운 호흡
마른기침
약하거나 피로감
수액섭취증가
의사처방에 따른
호흡기 치료
ambulation과 자세변경
호흡기 운동
폐렴
폐에 감염이나 염증
짧은 호흡
분비물의 과다
가슴의 답답함
체온상승
창백
Quad coughing
필요시 suction
ambulation과 자세변경
수액섭취 증가
점액질의 막힘
진한 점액질에 의해
기도가 막힘
갑자기 호흡곤란
기도청소의 효율성을 위해 즉시 도움요청
응급전화
폐색전
혈관에 붙은 혈괴가
폐까지 이동, 폐의 한
부분을 막음
짧은 호흡
갑작스럽게 날카로운
흉부통증
피가 섞인 분비물

빠른 맥박
빠른 호흡
응급전화
( 정상 폐 ) ( 폐 렴 )
2. 합병증의 예방
호흡기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해야 할 일이 있다. 이런 예방책은 생활을 통해서 문제를 예방하는 도움을 받아야 할 일들이다.
⑴ 기침
기침은 호흡기에 있는 진한 분비물을 없애는데 도움을 준다.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고반좌위( high fowler's position)로 머리를 숙이고 어깨에 힘을 빼고 double coughing을 한다.
알고 이해한 정확한 기침에 대한 과정을 믿는다.
이는 quad assist cough와 incentive spirometer를 포함한다.
⑵ 호흡운동
심호흡은 하루 4번 실행해야 한다.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 숨을 내쉬는데 입술을 오므려 천천히 공기를 뱉어낸다. 매일 같이 그것을 행하고 일상화하면 도움을 받을 것이다. incentive spirometer가 사용되어진다.
⑶ 움직임
침대에서도 좌우로 움직이는 것은 기도나 기관지내에 있는 분비물이 이동하여 가래가 배출되는 데 용이하다.
한 곳의 울혈에서 기인되는 점액물질을 예방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이 돌아다닌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은 분비물을 묽게 하는데 능동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다.
⑷ 수액섭취
액체는 호흡기를 축축하고 습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도움은 분비물이 너무 진하게 되는 것을 예방한다.
방광관리 프로그램에서 허락하는 한 1600ml에서 2000ml정도의 많은 수액을 마시는 게 좋다.
소변색을 관찰함으로써 수액섭취가 충분한 지 아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소변이 엷은 노란색이고 투명해야 한다.
⑸ 금연
담배연기를 들여 마시면 구강, 인후, 기관지, 및 폐에 암을 일으키게 하고 일부는 혈액에 흡수되어 방광, 위, 식도 등에 암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폐암에 의한 사망률은 흡연 시작 나이가 빠를수록 높아진다. 니코틴은 체내에 흡수되기 쉬운 물질로 계속 피우게 하는 중독성이 있다. 일산화탄소는 산소의 운반을 방해함으로써 물질 대사의 장애를 일으키게 하는 기체이다.
흡연은 점액세포를 자극하여 점액을 증가시키며 섬모운동을 저하시키고 호흡기 감염을 유발한다. 따라서 반드시 호흡기 문제가 있는 경우는 금연해야 한다.
⑹ 가습
습기는 호흡기의 건조함을 막는다. 주변의 공기가 건조하면 찬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을 줄 것이다.
⑺ 건강
건강을 상기함으로 당신은 호흡기를 회복시킬 뿐 아니라 당신 전체를 건강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좋은 식습관, 수면과 규칙적인 운동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해마다 아픈 사람들이 유행성 독감예방접종을 하거나 폐렴백신을 해야 하는 것에서 멀어질 수 있고 건강하도록 도움을 준다.
(8) 영양과 수면: 고단백, 고칼로리로 소화 잘 되는 음식이 좋고 고탄수화물
음식은 co2정체를 가져와 호흡기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다.
호흡곤란을 유발하지 않도록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게 필요하다. 수면하기
전에 가래나 분비물을 제거하여 충분한 산소공급이 되는 자세로 수면하도록
하고 음악이나 독서 혹은 명상 요법으로 수면에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31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