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지수와 글로벌 금융위기,해외[미국]의 산업생산지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생산지수와 글로벌 금융위기,해외[미국]의 산업생산지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산업생산지수
전(全)산업생산지수
해외[미국]의 산업생산지수
산업생산지수

본문내용

산업생산지수
_ 일정 기간 동안 이뤄진 산업생산활동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광공업 생산량의 시간적 변화를 통계비례수로 나타낸 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
서비스업 전체 및 개별업종의 생산활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개별업종의 상대적 중요도인 가중치를 적용하여 나타낸 지수
전(全)산업생산지수?
_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분류된 한국 경제전체의 모든 산업을 대상으로 단기(월별)에 국내에서 일어나는 재화와 용역에 대한 생산 활동의 흐름과 변화를 나타낸 지수(기준시점 2005년, 계속통계)
도입이유_Why?
GDP등의 기존 종합 거시변수는 자료생성주기가 너무 길다!
[현재 경제상황에 대응하기에는 민첩성이 낮다]
기존의 광공업생산지수는 서비스부문을 반영 하지 않았다
[전체 경제 동향 및 산업 상호간 영향 분석 한계]
전산업생산지수의 장점
1) 산업별 및 산업 간의 생산동향을 경기변동에 맞게,
시의성있게 파악
각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
모든 재화와 용역의 생산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종합지표로 표현
업종별로 생산증감의 방향이 다를 때 전체산업의
방향 파악이 가능
3) 일정시점의 전체산업에 대한 산업별 기여도를
파악하는데 도움
적용할 때의 주의사항
1) 계절조정지수는 매년 초 전년도 시계열을 추가하여 계절인자 등이 변동이 되어 계절조정지수를 새로 작성하기 때문에 과거 전 기간의 계절조정지수가 수정됨
당해 계절조정지수가 전년도 자료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
2) 매월 발표되는 지수는 잠정치로서 연1회 실시되는 연간 보정 시 전년도 12개월의 원지수가 수정됨
확정치가 아니기 때문에 완벽히 실제 경기동향 반영한다고
보기 어려움
기준년도와 멀어질수록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산업간 가중치 구조(산업별 부가가치)가 변화하는데 반해, 지수는 기준년도의 가중치를 그대로 사용함으로 현실의 반영도 감소기준년도 개편 전까지 기준년도와 멀어질수록 현실반영도 감소
4)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21개중 2개 대분류(T.가구내 고용 활동 및 자가활동, U.국제 및 외국기관)는 제외하여 작성
생산가능 노동에서 가사 노동 등은 제외
5) 월간 및 분기 전산업생산지수는 농림어업부문을 제외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9.0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77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