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특성을 살펴 볼 수가 있다. 우선, 주목해야 할 지점은 유학의 전래 이전에 한반도에는 固有한 문화와 사회제도가 있었다는 점이다. 古朝鮮에 대한 기록들이나 ‘8조법금’등을 통해 볼 수가 있듯이 이미 나름대로 국가의 형태를 지니고 사회제도적인 틀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삼국유사’에 나오는 古朝鮮의 建國神話나 高句麗의 建國神話는 상당히 유의미한 내용들이다. 檀君神話에 대하여 살펴보면 곰을 토템으로 하는 부족과 호랑이를 토템으로 하는 부족의 모습을 찾아볼 수가 있으며, 弘益人間이라는 建國理念까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주몽 신화에서는 天神과 바다의 神의 자손으로 주몽을 설정하고 있으며 주몽이 金蛙에게 쫓기어 세 명의 부하를 이끌고 도망치다가 다른 세 명을 만나서 국가를 건설한다는 것은 고구려의 6부족 지배와 같으며, 이미 그 당시의 권력투쟁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토템적이거나 신화적인 형태이지만 당시에 이미 나름대로의 상부 구조로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국가의 형태, 그리고 그와 결부되는 사회와 문화를 지니고 있었음을 엿볼 수가 있다.
둘째, 유학의 수용에 있어서 자주적인 면을 지닌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까지 유학이 전일적인 지배 사상이 되지 못했다는 점과 고구려를 중심으로 대륙의 국가들과 투쟁하고 있었다는 점은 존재하고 있겠지만, 中華 事大主義적인 면을 찾아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유학을 받아들임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선진적인 문물의 형태로 받아들일 뿐 小中華라고 하는 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히려 유학이 발달된 朝鮮에서 中國에 대한 事大主義가 深化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면과 관련되어서 유학의 전개와 도입에서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유학의 도입 이전에 우리 나름의 문화와 사상들이 있었고 이에 外來 思想들인 佛敎, 道敎들과 함께 편협하지 않게 소화되었다는 것이다. 삼국 시대 각 나라들의 공통성이 유, 불, 도의 三道가 공히 공존을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유교는 다른 두 사상과 달리 정치철학적인 면을 뚜렷이 함에 의해 統治의 사상으로 선호되었고 다른 두 가지의 입장은 生活的인 면에서 선호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에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신라의 花郞道이다. 화랑도는 固有의 사상에 儒家와 佛家의 사상인 世俗五戒가 결합된 것이다. 殺生을 엄히 다루는 불교의 사상과 효와 충을 중히 하는 유가의 입장이 서로 결합, 조화를 이룩하고 있다.
6. 마치며.
사실 삼국 시대 유학의 전개와 특색에 관한 자료들은 찾기가 쉽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그 시기의 사상들을 보여주는 1차 자료가 아니고 제3국의 사료를 참고로 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를 간과할 수는 없다. 왜냐면 오늘날까지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학(유교)의 開始期라는 시간적인 유의미성과 함께, 새로운 외부의 이념과 사상을 받아들이고 수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라고 하는 학문적인 고민의 지점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서도 이야기했듯이 유학을 현실 사회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 해낼 것인가? 라는 현실적인 면의 고민을 푸는데 있어서도 유학이 삼국 시대에 어떠한 의미로 수용이 되고 각 국가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되었는가? 라고 하는 지점은 그 의미성을 지닐 수가 있을 것이다.
모든 사상이나 철학은 그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이며, 現實과 理想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이야기이지만 ‘영원한 제국’에서 보이는 노론(율곡의 사상을 견지한 당파)과 그에 대해 왕권 강화를 꿈꾸는 남인(퇴계의 사상을 견지한 당파)의 투쟁은 결코, 기득권이라는 협소한 측면이나 논쟁을 위한 논쟁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이고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당시의 철학과 사회적 실천이라는 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한 시대의 사상을 공부한다고 하는 것은 단지 몇몇 사상가의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 사회의 모든 것이 되어야 한다. “이때까지의 철학은 세상을 단지 해석만 한 것이 아니라, 이때까지의 모든 철학은 세상을 변혁해 왔다.” 라는 루이 알튀세르의 말은 유학에 있어서도 유의미하다.
*참고 도서*
1.한국의 유교, 류 승국,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2.한국 사상사 대계,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3.한국 철학사, 한국 철학회, 동명사.
4.한국 사상의 심층 연구, 조 명기외, 우석.
둘째, 유학의 수용에 있어서 자주적인 면을 지닌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 까지 유학이 전일적인 지배 사상이 되지 못했다는 점과 고구려를 중심으로 대륙의 국가들과 투쟁하고 있었다는 점은 존재하고 있겠지만, 中華 事大主義적인 면을 찾아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유학을 받아들임에 있어서 단지 하나의 선진적인 문물의 형태로 받아들일 뿐 小中華라고 하는 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오히려 유학이 발달된 朝鮮에서 中國에 대한 事大主義가 深化되었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셋째, 앞의 두 가지 면과 관련되어서 유학의 전개와 도입에서 조화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유학의 도입 이전에 우리 나름의 문화와 사상들이 있었고 이에 外來 思想들인 佛敎, 道敎들과 함께 편협하지 않게 소화되었다는 것이다. 삼국 시대 각 나라들의 공통성이 유, 불, 도의 三道가 공히 공존을 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유교는 다른 두 사상과 달리 정치철학적인 면을 뚜렷이 함에 의해 統治의 사상으로 선호되었고 다른 두 가지의 입장은 生活的인 면에서 선호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에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신라의 花郞道이다. 화랑도는 固有의 사상에 儒家와 佛家의 사상인 世俗五戒가 결합된 것이다. 殺生을 엄히 다루는 불교의 사상과 효와 충을 중히 하는 유가의 입장이 서로 결합, 조화를 이룩하고 있다.
6. 마치며.
사실 삼국 시대 유학의 전개와 특색에 관한 자료들은 찾기가 쉽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는 그 시기의 사상들을 보여주는 1차 자료가 아니고 제3국의 사료를 참고로 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를 간과할 수는 없다. 왜냐면 오늘날까지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유학(유교)의 開始期라는 시간적인 유의미성과 함께, 새로운 외부의 이념과 사상을 받아들이고 수용함에 있어서 어떠한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인가라고 하는 학문적인 고민의 지점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서도 이야기했듯이 유학을 현실 사회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 해낼 것인가? 라는 현실적인 면의 고민을 푸는데 있어서도 유학이 삼국 시대에 어떠한 의미로 수용이 되고 각 국가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되었는가? 라고 하는 지점은 그 의미성을 지닐 수가 있을 것이다.
모든 사상이나 철학은 그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이며, 現實과 理想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소설 속에서 나타나는 이야기이지만 ‘영원한 제국’에서 보이는 노론(율곡의 사상을 견지한 당파)과 그에 대해 왕권 강화를 꿈꾸는 남인(퇴계의 사상을 견지한 당파)의 투쟁은 결코, 기득권이라는 협소한 측면이나 논쟁을 위한 논쟁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가 운영에 대한 전반적이고 현실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당시의 철학과 사회적 실천이라는 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한 시대의 사상을 공부한다고 하는 것은 단지 몇몇 사상가의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 사회의 모든 것이 되어야 한다. “이때까지의 철학은 세상을 단지 해석만 한 것이 아니라, 이때까지의 모든 철학은 세상을 변혁해 왔다.” 라는 루이 알튀세르의 말은 유학에 있어서도 유의미하다.
*참고 도서*
1.한국의 유교, 류 승국,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
2.한국 사상사 대계,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
3.한국 철학사, 한국 철학회, 동명사.
4.한국 사상의 심층 연구, 조 명기외, 우석.
추천자료
유니클로 기업소개,SPA브랜드 소개,유니클로패션마케팅,SPA,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뚜레주르, 제빵산업, 시장분석, 파리바게뜨, 브랜드마케팅, 서비스마케팅, 글로벌경영, 사례...
스타벅스,커피산업,커피시장분석,스타벅스코리아,감성마케팅,카페베네,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화장품시장분석,아모레퍼시픽-라네즈,중국 화장품 시장의 미래,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소셜네트워크,sns,마케팅사례,스마트폰, 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
호스피탈리티 산업,대한항공,진에어,에어코리아,한진그룹,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TGIF레포트-패밀리 레스토랑,TGI 프랜차이즈 송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바비브라운 런칭,바비브라운 마케팅전략,바비브라운 화장품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카페베네 마케팅 전략- 카페베네 4P,스타벅스 4P,커피시장분석,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한국타이어 금호타이어,타이어 시장 현황,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
도요타 기업분석,도요타 마케팅,도요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
삼성전자 VS 애플,애플 스티브잡스,삼성 이건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아모레퍼시픽 마케팅,아모레퍼시픽 성공,해외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소니 인적자원관리사례,소니 기업분석 마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