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3장 교육목적의 설정과 진술 요약
1. 교육목적의 개념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3) 교육의 구체적 목표
2. 교육목적의 설정 과정
1) 설정 과정
2) 설정 자원
3) 설정 원칙
3. 교육목적의 영역
1) 교육목적의 주요 영역
2) 교육목표분류학
3) 새로운 교육목표분류학
4. 교육목적의 진술
1) 교육목표 이원분류표
2) 행동적 목표 진술
3) 비행동적 목표 진술
1. 교육목적의 개념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3) 교육의 구체적 목표
2. 교육목적의 설정 과정
1) 설정 과정
2) 설정 자원
3) 설정 원칙
3. 교육목적의 영역
1) 교육목적의 주요 영역
2) 교육목표분류학
3) 새로운 교육목표분류학
4. 교육목적의 진술
1) 교육목표 이원분류표
2) 행동적 목표 진술
3) 비행동적 목표 진술
본문내용
규정되어 왔다.
교육의 목적은 국가와 사회가 지닌 교육적 의도를 알려주고 교육활동의 일반적인 방향을 표현해 주는 구실을 한다.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1) 학교급별 목표
학교급별 목표는 국가수준에서 결정하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교육목표를 가리킨다. 학교급별 목표는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과 사회적 요구가 어우러진 학교의 단계별 특성을 염두에 두고 결정되며 각급 학교의 학생들에게만 적용된다.
(2) 기관별 교육목표
기관별 교육목표는 현재 각 교육청이나 개별 학교에서 설정하는 교육목표들을 가리킨다. 교육청과 개별 학교는 자체의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들 기관은 교육의 목적이나 상기한 학교급별 교육목표를 토대로 하고 해당 지역이나 학교의 특수한 여건과 요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교육목표를 결정하게 된다.
기관별 교육목표는 기관이 처한 특수한 사정에 따라 특정한 교육목적을 구체화하거나 학교급별 목표 중 일부를 선택하여 만들어지는데, 적용 범위와 적용 기간의 한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암시 등이 상기한 교육의 목적이나 학교급별 교육목표와는 구별된다.
그런데 학교라는 기관에서 교육의 목표를 제시할 때는 기관의 비전이나 중점과업의 방식, 학교 교육철학의 제시방식, 학교의 교육목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이들은 각기 장점과 단점을 지닌다. 학교의 교육목표를 학교의 교육철학으로 진술하는 것은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학교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교육철하은 교육적으로 가치있는 교육목적을 제시하며, 교육목표와 학습활동을 명확히 해 주고,
교육의 목적은 국가와 사회가 지닌 교육적 의도를 알려주고 교육활동의 일반적인 방향을 표현해 주는 구실을 한다.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1) 학교급별 목표
학교급별 목표는 국가수준에서 결정하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교육목표를 가리킨다. 학교급별 목표는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과 사회적 요구가 어우러진 학교의 단계별 특성을 염두에 두고 결정되며 각급 학교의 학생들에게만 적용된다.
(2) 기관별 교육목표
기관별 교육목표는 현재 각 교육청이나 개별 학교에서 설정하는 교육목표들을 가리킨다. 교육청과 개별 학교는 자체의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이들 기관은 교육의 목적이나 상기한 학교급별 교육목표를 토대로 하고 해당 지역이나 학교의 특수한 여건과 요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교육목표를 결정하게 된다.
기관별 교육목표는 기관이 처한 특수한 사정에 따라 특정한 교육목적을 구체화하거나 학교급별 목표 중 일부를 선택하여 만들어지는데, 적용 범위와 적용 기간의 한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암시 등이 상기한 교육의 목적이나 학교급별 교육목표와는 구별된다.
그런데 학교라는 기관에서 교육의 목표를 제시할 때는 기관의 비전이나 중점과업의 방식, 학교 교육철학의 제시방식, 학교의 교육목표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이들은 각기 장점과 단점을 지닌다. 학교의 교육목표를 학교의 교육철학으로 진술하는 것은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학교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다. 교육철하은 교육적으로 가치있는 교육목적을 제시하며, 교육목표와 학습활동을 명확히 해 주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