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들의 인간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부들의 인간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주장
3. 논증과정
4. 평가
5. 토론주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끼친 영향을 볼 수 있다. 다니엘루는 그리스도교에 의해 노예들이 버려진 존재가 아님을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예를 통해 지적한다. 4세기 초기 교부들에게서 노예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음을 보여주며 이처럼 모든 사회적 질서와 관련하여 인간 인격의 초월성에 대한 사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니엘루는 인격에 대한 인간학적 의미의 발전에서 강조되는 역사성에 초점을 둔다. “시간이 더 이상 영원성의 불완전한 반영이 되지 않고 하느님의 행동 장소가 되면서, 자유의 결단이 중요한 가치를 가지게 되었고, 동시에 책임의 의미가 심화되었다.” J. Danielou, 위의 글,120.
인간의 편에서 수덕적 노력을 통해 구원에 대한 보상을 희망해야 했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볼 때 초대 교부들은 페르소나의 인간학적 측면은 점진적으로 발전되어 나갈 것으로 본다.
IV. 결론 및 평가
곽진상 신부님의 논문『초세기 교부들의 저서에 나타난 ‘인격’의 신학적 의미-페르소나, 프로소폰, 히포스타시스의 용어를 중심으로』를 통하여 특히 초세기 그리스 교부들의 인간 이해를 위한 ‘인격’ 용어의 사용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그리스도교의 인격개념이 오늘날의 인간의 존엄성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초석이 되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가 어떤 의미를 현대에 제공해 주는가?
첫째, 대답을 예수 그리스도의 육화신비로, 그리스도가 인간뿐 아니라 온 인류와 한몸을 이룬 사건을 통하여 제시한다. 이것은 신비적인 차원으로 인간이 새로운 존재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유일 무이성, 대체 불가능성을 넘어 성삼위 하느님께 자신을 개방할수 있는 초월적인 존재로 그리스도교 신앙이 인류에 부여해준 기여 중의 하나이다.
둘째로, 타종교(고대 그리스)에서 아직 언급되지 못한 하느님(神)으로서 그리스도교의 전적인 새로운 표현 ‘인격적 하느님’이라는 것이다. 화자話者로서 말씀하시는 하느님은 인간과 대화의 상대자로 오신다. 하느님의 말씀은 역사 안에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며 그 말씀을 받아들인 공동체 안에서 함께 거처하신다. 교회는 성사 안에서 매일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일치를 이루게 된다.
V. 토론주제
인격 개념을 한 학기 동안 배우면서 중세 교부철학 시대에 이르러서야 인격 개념이 활발히 언급되고 논의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 텍스트를 통해 삼위일체와 육화의 신비에 관한 신학적 논쟁들이 인격 개념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고, 더 나아가 인격 형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게 됨을 통해 그리스도교의 인간 인격에 대한 기여를 알리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를 엿보게 된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교는 인격이라는 개념을 인간에게만이 아니라 하느님으로부터 출발하여 개념화하였다는 것을 증명한다.
그래서 저자도 초세기의 관점에서 세세하게 연구하여 그리스도교의 공헌을 드러낸다. 이미 초세기 부터 교회의 용어로 시작되었으나 결국 하느님과 인간에게 공용되는 언어로 현대인들에게 제시한다. 이렇게 볼때 저자가 서론에서 문제제기로 두었던 현대학자들의 인격문제에 있어 ‘인간에게만’ 국한 시키려는 한계 앞에서 인격은 곧 神性의 본질이 있음을 드러내 준다. 그리스도교 신관은 인간을 하느님 안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예수님의 인격이 인간의 인격과 긴밀히 일치되어 있음을 신앙인들은 믿어 고백한다.
<토론 내용>
① 예수 그리스도가 신앙의 대상으로 믿는이들 공동체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인류 에게 인격의 존엄에 대한 근거를 실현할 수 있는지 방법적인 실천적 차원에서 의 숙고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② 페르소나, 프로소폰, 휘포스타시스는 본래 성자 하느님의 나타남을 위해 애초 에 씌어지던 용어인 인격이라는 단어가 점진적으로 발전되어 인간에게 부여되 었다고 할때, 인격 개념의 진정한 기여는 하느님 자신이 아니실까!
③ 타종교 안에서의 연구도 또한 그리스도교의 인격 개념을 이해하는데 더욱 풍요 로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VI. 부록
“이제 인간의 인격은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본성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종말론적 선취로 말미암아 진정한 인격의 완성을 희망하게 되었다.” 곽진상, ‘초세기 교부들의 저서에 나타난 ’인격’의 신학적 의미 -페로소나, 프로소폰, 히포스타시스의 용어를 중심으로. 이성과 신앙 제 50호, 2012.봄 p.67
인간 인격은 “유일하다든가 대치될 수 없다는 것 뿐 아니라 다른 페르소나에게 또 신께 - 그리스도교인에게 있어서 세 인격체인 성삼위 하느님께 - 자신을 열 수 있다는 것이다.” Pierre Teilhard de Chardin, 떼이야르 신부가 쟝따 여사에게[lettres a Leonitine Zanta], 최인영 역주, 분도출판사, 2002,146-151
“인격이 인간의 본성을 이루고 개별성을 지니며 고유하기 때문에 존엄할 뿐 아니라 하느님께 열려진 존재로서 하느님 안에서 완성을 이루도록 창조된 존재이기 때문에 존엄한 것이다.” 곽진상, 초세기 교부들의 저서에 나타난 ‘인격’의 신학적 의미, 이성과 신앙, 50호. 2012, 75.
<참고문헌>
곽진상, ‘초세기 교부들의 저서에 나타난 ’인격’의 신학적 의미 -페로소나, 프로소폰, 히포스타시스의 용어를 중심으로. 이성과 신앙 제 50호, 2012.봄 p. 41-83.
J. Danielou, La notion de personne chez les Peres grecs", Bulletin des amis du cardinal Danielou, n. 19, 1993년 10월, 3-10, pp. 113-121. 본래 이 글은 Problemes de la personne. Exposes et discussion reunis et prseentes par Iagnace Meyerson .
Jean-Noel aletti 외, Vocabulaire raisonne de l'Exegese Biblique, Cerf, 2005
Jean-Yves Lacoste, Dictonnaire critique de theologie, Quadrige/PUF, 2002.
진교훈 외, 인격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인격의 의미,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9.05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7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