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떨어져 사는 부부 가족
2. 독신가족
3. 자발적 무자녀 가족
4.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프로그램
5. 한 부모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실제
6.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7. 가족생활 교육의 전문성
2. 독신가족
3. 자발적 무자녀 가족
4. 맞벌이 가족을 위한 가족생활프로그램
5. 한 부모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실제
6.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7. 가족생활 교육의 전문성
본문내용
’(여성가족부,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2006)
- 한 부모 가족의 부모용 프로그램
6.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이혼이나 사별로 전혼관계가 해체된 후 또 다른 혼인관계를 맺어 새롭게 형성되는 가족
자녀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소한 한쪽 배우자가 재혼인 경우
계부모가족(stepfamily) :자녀와의 동거 여부에 관계없이 부부 중 어느 쪽이든 전혼에서 얻은 자녀가 최소한 한명 이상 있는 경우
재혼 준비교육 필요성
- 재혼의 재 이혼율이 초혼 이혼율의 4배
- 재혼가족이 초혼가족보다 훨씬 복잡한 가족체계를 가지고 있고, 특히 자녀들이 포함된 경 우에는 문제가 더 복잡해짐
- 재혼을 준비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재혼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 할 수 있음
-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적절하게 대처 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재혼준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
재혼 준비 프로그램의 실제
-정현숙, 유계숙, 임춘희, 전춘애, 천혜정(2000)의 ‘준비된 재혼, 또 다른 행복)
- 총 4회기 구성: 재혼 바로보기, 새로운 관계를 위한 홀로서기, 배우자 역할 준비하기, 부모역할 검점하기
- 4회기 ‘ 재혼가족에서의 부모역할 점검하기’ 프로그램 실제 p320(표 10-6 참조)
7.가족생활 교육의 전문성
전문직으로서의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필요요건
‘가족생활교육사가 정규직으로 활동하고 있는가?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로 활동
가족생활 교육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와 교과과정이 마련되어 있는가?
‘전문협회가 발족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과 가족생활교육사에 대한 정의와 역할, 가족생활교육사의 목적 및 등급별 가족교육생활교육사의 역할 규정이 마련되어 있는가?
조직 내에서 뿐 아니라 유사한 목적을 지닌 조직과의 외적 갈등으로 인해 독특한 역할 정의가 요구되는가?
가족생활교육과 관련된 필요성이나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있는가?
자격증이 법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사의 윤리강령이 제정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과제
이론에 기초한 체계적인 가족연구
가족학의 연구와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체계적이며 다양한 수요자 및 교육자 중심의 요구도 분석 연구
교육적 원리와 효과적인 교육책략 개발을 위한 연구 필요
교과과정의 정비
자격증의 체계화
대중을 위한 홍보 활동
정책적 지원
- 한 부모 가족의 부모용 프로그램
6.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실제
이혼이나 사별로 전혼관계가 해체된 후 또 다른 혼인관계를 맺어 새롭게 형성되는 가족
자녀의 유무에 관계없이 최소한 한쪽 배우자가 재혼인 경우
계부모가족(stepfamily) :자녀와의 동거 여부에 관계없이 부부 중 어느 쪽이든 전혼에서 얻은 자녀가 최소한 한명 이상 있는 경우
재혼 준비교육 필요성
- 재혼의 재 이혼율이 초혼 이혼율의 4배
- 재혼가족이 초혼가족보다 훨씬 복잡한 가족체계를 가지고 있고, 특히 자녀들이 포함된 경 우에는 문제가 더 복잡해짐
- 재혼을 준비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재혼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 할 수 있음
-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적절하게 대처 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는 재혼준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
재혼 준비 프로그램의 실제
-정현숙, 유계숙, 임춘희, 전춘애, 천혜정(2000)의 ‘준비된 재혼, 또 다른 행복)
- 총 4회기 구성: 재혼 바로보기, 새로운 관계를 위한 홀로서기, 배우자 역할 준비하기, 부모역할 검점하기
- 4회기 ‘ 재혼가족에서의 부모역할 점검하기’ 프로그램 실제 p320(표 10-6 참조)
7.가족생활 교육의 전문성
전문직으로서의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필요요건
‘가족생활교육사가 정규직으로 활동하고 있는가?
- 건강가정사, 가족생활교육사로 활동
가족생활 교육사를 양성하기 위한 학교와 교과과정이 마련되어 있는가?
‘전문협회가 발족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과 가족생활교육사에 대한 정의와 역할, 가족생활교육사의 목적 및 등급별 가족교육생활교육사의 역할 규정이 마련되어 있는가?
조직 내에서 뿐 아니라 유사한 목적을 지닌 조직과의 외적 갈등으로 인해 독특한 역할 정의가 요구되는가?
가족생활교육과 관련된 필요성이나 역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있는가?
자격증이 법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사의 윤리강령이 제정되어 있는가?
가족생활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과제
이론에 기초한 체계적인 가족연구
가족학의 연구와 이론에 기초한 다양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개발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체계적이며 다양한 수요자 및 교육자 중심의 요구도 분석 연구
교육적 원리와 효과적인 교육책략 개발을 위한 연구 필요
교과과정의 정비
자격증의 체계화
대중을 위한 홍보 활동
정책적 지원
추천자료
각국의 가족생활교육 역사
자신이 개발하고 싶은 가족교육생활 프로그램 계획안을 작성해 보세요.
가족생활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가족생활교육의 윤리와 전망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가족생활교육 전문직의 이해
가족생활교육의 기초이론인 여성학적 이론에 대해 서술 [여성학적 이론]
가족생활교육-가족생활교육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되는 조건들을 생각해 보고, 가족생활교육사...
[가족생활교육] 가족생활교육으로서 밥상머리교육에 대해 기술하시고 장애아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의 형태-유형] 다양한 가족생활양식(동거 부부, 무자녀 부부, 한부모 가족, 재혼가족, ...
[가족생활교육]본인이 가족생활교육사로서 활동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가족생활교육사 자격증] 미국의 가족생활교육사 자격증 취득 목적 및 방법 한국 가족생활교...
[가족생활교육과 가치] 가족생활교육에서 가치의 역할 가족생활교육자의 가치관 가치교육에 ...
[가족생활교육과 성역할] 성역할 문제의 전제와 가정 가족에 대한 페미니스트 관점 가족생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