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교와 사찰
2. 한국의 사찰 : <불국사(佛國寺)>
3. 중국의 사찰 : <정안사(静安寺)>
4. 일본의 사찰 : <동대사(東大寺)>
5. 한·중·일 사찰의 특징 비교
2. 한국의 사찰 : <불국사(佛國寺)>
3. 중국의 사찰 : <정안사(静安寺)>
4. 일본의 사찰 : <동대사(東大寺)>
5. 한·중·일 사찰의 특징 비교
본문내용
율의 계통 또한 소멸하게 되었고 더 이상 도다이지에서 수례식이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
4) 초기의 건설
종루743년에 쇼무 천황은 일본 곳곳에 새로운 사원을 설립하라는 칙령을 반포했다. 이것은 부처의 힘을 빌려 국가를 더 이상의 재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승려 교키는 일본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기부를 요청했다. 도다이지의 기록에 따르면 도다이지의 불상과 대불전을 건설하는데 260만 명 이상이 도움을 주었다. 16m 높이의 불상은 3년 넘게 8번의 주조를 통해 만들어졌고 머리와 목은 별도로 주조되었다. 불상의 제작은 시가라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몇 번의 화재와 지진을 견딘 후, 제작은 745년에 나라에서 다시 시작되어 751년에 마침내 완성되었다. 1년 후인 752년에 불상의 완성을 기념하는 의식에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 무렵에 이용 가능한 청동의 대부분을 소모해버리는 바람에 일본의 경제를 파탄 지경에 이르게 만들었다.
5. 한·중·일 사찰의 특징 비교
한·중·일은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특성도 지니고 있다. 한·중·일의 불교와 사찰 역시 기본적인 틀은 비슷하나 각 국의 특색에 맞게 다소 다르게 발전하였다. 그 중 삼국 사찰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건축형태일 것이다. 위의 제시된 세 개의 절이 한·중·일 삼국을 완전히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각 국의 특성을 읽을 수 있는 건축물들이라 생각한다.
중국의 사찰은 대륙에 위치한 만큼이나 장대함과 웅장함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또한 중국 황제의 강력한 통치권을 표현이나 하듯 권위적이고 인위적인 면도 볼 수 있다. 한국의 사찰은 지형 그대로를 활용하여 자연에 순응하는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인간적인 스케일과 전체적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단아한 미가 잘 나타난다. 또한 부드러운 선이 삼국 중에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일본의 사찰은 절제된 화려함을 보여준다. 금, 은 등의 색채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 중국과 달리 기계적 날카로움과 섬세함을 지니고 있다.
이렇듯, 한·중·일 사찰은 각 국의 문화와 정서, 지형 등에 따라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한 사찰의 특징은 결국 각 국의 전체적인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다. 한·중·일은 오랜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동맹, 대립, 종속 등의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한 가운데 발전한 삼국의 불교는 전래과정, 전래시기 등의 다양한 요소가 차이점으로 작용해서 오늘날의 불교로 정착되었다. 앞으로 한·중·일은 불교의 발전을 위해 서로를 대립의 문화, 경쟁의 문화로 생각하기보다 이점과 유사점을 찾아내서 더욱 발전된 불교문화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1. 손혜경(2002). 한국사찰의 이해. 남두도서
2. 리 소테츠(2010).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기파랑
3. 곽동석, 김상현, 김동현(2010). 불국사. 대원사
4. 자타니 미사히로, 나카자와 게이코(2010). 세계문화유산 45. 터닝포인트
5. 조창완, 하경미(2010). 오감만족 상하이. 성하
4) 초기의 건설
종루743년에 쇼무 천황은 일본 곳곳에 새로운 사원을 설립하라는 칙령을 반포했다. 이것은 부처의 힘을 빌려 국가를 더 이상의 재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승려 교키는 일본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기부를 요청했다. 도다이지의 기록에 따르면 도다이지의 불상과 대불전을 건설하는데 260만 명 이상이 도움을 주었다. 16m 높이의 불상은 3년 넘게 8번의 주조를 통해 만들어졌고 머리와 목은 별도로 주조되었다. 불상의 제작은 시가라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몇 번의 화재와 지진을 견딘 후, 제작은 745년에 나라에서 다시 시작되어 751년에 마침내 완성되었다. 1년 후인 752년에 불상의 완성을 기념하는 의식에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석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 무렵에 이용 가능한 청동의 대부분을 소모해버리는 바람에 일본의 경제를 파탄 지경에 이르게 만들었다.
5. 한·중·일 사찰의 특징 비교
한·중·일은 비슷한 문화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특성도 지니고 있다. 한·중·일의 불교와 사찰 역시 기본적인 틀은 비슷하나 각 국의 특색에 맞게 다소 다르게 발전하였다. 그 중 삼국 사찰의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건축형태일 것이다. 위의 제시된 세 개의 절이 한·중·일 삼국을 완전히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각 국의 특성을 읽을 수 있는 건축물들이라 생각한다.
중국의 사찰은 대륙에 위치한 만큼이나 장대함과 웅장함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또한 중국 황제의 강력한 통치권을 표현이나 하듯 권위적이고 인위적인 면도 볼 수 있다. 한국의 사찰은 지형 그대로를 활용하여 자연에 순응하는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인간적인 스케일과 전체적으로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단아한 미가 잘 나타난다. 또한 부드러운 선이 삼국 중에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일본의 사찰은 절제된 화려함을 보여준다. 금, 은 등의 색채를 많이 사용하고 한국, 중국과 달리 기계적 날카로움과 섬세함을 지니고 있다.
이렇듯, 한·중·일 사찰은 각 국의 문화와 정서, 지형 등에 따라 그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한 사찰의 특징은 결국 각 국의 전체적인 특징을 대변하는 것이다. 한·중·일은 오랜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동맹, 대립, 종속 등의 관계를 맺어왔다. 그러한 가운데 발전한 삼국의 불교는 전래과정, 전래시기 등의 다양한 요소가 차이점으로 작용해서 오늘날의 불교로 정착되었다. 앞으로 한·중·일은 불교의 발전을 위해 서로를 대립의 문화, 경쟁의 문화로 생각하기보다 이점과 유사점을 찾아내서 더욱 발전된 불교문화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1. 손혜경(2002). 한국사찰의 이해. 남두도서
2. 리 소테츠(2010). 한중일 한자문화 어디로 가는가. 기파랑
3. 곽동석, 김상현, 김동현(2010). 불국사. 대원사
4. 자타니 미사히로, 나카자와 게이코(2010). 세계문화유산 45. 터닝포인트
5. 조창완, 하경미(2010). 오감만족 상하이. 성하
추천자료
일본과 중국의 개항과정과 러일전쟁,청일전쟁,일본의침략사
[경제협력]경제협력의 개념, 북중경제협력(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 미중경제협력(미국과 중...
[과학기술][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발전][과학][기술][영국][일본][독일][중국]영국의 과학기...
[요리][음식][서양요리][동양음식][향신료]서양의 향신료와 동양의 향신료 및 프랑스요리(프...
[방송산업][방송환경][일본진출][중국진출][멕시코진출][해외진출]방송산업(방송환경)의 변화...
북한문학(북한의 문학), 독일문학(독일의 문학), 프랑스문학(프랑스의 문학), 영국문학(영국...
[동사][품사][국어][힌디어][독일어][중국어][일본어]국어 품사 동사의 정의, 국어 품사 동사...
[국어 부사][국어 부사절][일본어 부사][영어 부사][중국어 정도부사]국어 품사 부사 특징, ...
[종교][한국의 종교][북한의 종교][중국의 종교][일본의 종교][필리핀의 종교][인도의 종교][...
한중일간 역사 갈등 - 한국과 일본, 그리고 한국과 중국 간의 역사 갈등 ‘일본과 중국의 역사...
[근대의식][일본문학][중국문학][1980년대][영화문화][사회운동][실학사상]근대의식과 일본문...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
<글로벌시장조사 및 STP전략> 성공한 사례 분석(진로 일본진출, 현대자동차 중국진출, 도요타...
[유아교육사와 보육] 아시아의 유아교육(중국과 일본) - 중국의 유아교육과 일본의 유아교육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