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분석-동작분석] 동작분석의 개요(개념)와 동작분석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업분석-동작분석] 동작분석의 개요(개념)와 동작분석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작분석

Ⅰ. 동작분석의 개요

1. 동작분석의 시조, 길브레스
2. 동작분석의 목적
1) 동작계열의 개선
2) 동작계열의 설계
3) 동작개선 의식의 체득

Ⅱ. 동작분석의 수법과 개요

1. 동작의 대상과 정밀도
2. 동작분석수법
1) 서블릭 분석법
2) PTS법
3) 기타분석법
4) 동작수법 선택상의 주의

본문내용

서 연구 개발된 것이다.
PTS법의 대표적인 것은 WF와 MTM이며, 이들 모두 동작시간을 결정할 때에는 우선 결정된 동작분석의 규칙에 따라 세분화한다. 이 분석을 동작개선에 이용하려는 것이다.
1> 동작 분할
WF와 MTM은 길브레스의 동작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동작분할 방식은 기본적으로 같으며 동작의 목적 및 성격별로 규칙에 따라 분할한다. 분할의 세밀함에 있어서는 이것도 서블릭과 거의 일치하며, 상세법 등에서 세부적인 분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2> PTS법의 특징
WF 및 MTM은 PTS법으로서는 세계적으로 권위가 있는 것이며, 동작개선의 도구로서 다음의 같은 장점과 단점이 있다.
* 장점
동작을 세밀한 단위로 분할한다.
동작의 미세한 변화를 시간 변화로 파악할 수 있다.
동작시간의 변동 요인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시간 정밀도가 높기 때문에 표준시간 설정에 직결시킬 수 있다.
* 단점
상세한 분석 규칙을 마스터하지 않으면 분석을 할 수 없다.
아주 세밀하게 분할하기 때문에 분석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3. 기타분석법
동작 연구상 주목해야 할 것은 필름분석과 VTR(Video Tape Recorder)이다. 다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앞에서 설명한 요소동작 분석법 및 미세동작 분석법과 전혀 이질적인 연구방법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실제의 작업을 육안으로 직접 관측하고 동작 분할을 한 뒤, 일단 필름 또는 비디오테이프에 넣고 이것을 재현하여 관측하게 된다. 이 분석 순서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4. 동작분석수법 선택상의 주의
동작계열을 개선하는 경우에 동작분석을 하게 되는데, 모든 작업에 동작분석을 한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또 동작분석에서도 요소동작분석으로 해야 하는가, 미세동작분석이 좋은가를 결정해야 한다. 그 판단은 다음과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리는 것이 좋다.
1> 사람의 동작을 주로 하는 작업
사람의 동작에 대한 분석수험이기 때문에, 사람의 동작이 많은 작업을 개선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반복성이 높은 작업
동작 개선은 미세한 동작의 개선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므로 개선 효과의 절대치는 작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반복효과가 높지 않다면 분석 및 개선에 필요한 비용이 보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3> 사이클 타임이 짧은 작업
일반적으로 사이클 타임이 짧은 작업에는 미세동작이 많다. 짧은 시간 안에 세밀한 동작을 정확히 파악하고 개선하는 데는 동작분석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동작 시간을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PTS법에 따를 필요가 있다. 사이클 타임의 한계시간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일정한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 수준으로서 아래의 그림에 그 한계를 둔다.
4> 중요한 작업
위의 2> 및 3>에 해당되지 않는 작업이라도 특히 중요한 작업이 경우 등에는 필름 분석법에 의해 세밀한 분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중요 설비의 보전작업이나 수리작업 등과 같이 작업 그 자체의 단축도 물론이지만 조업정지의 손실이 대단히 큰 경우가 그 경우이다.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10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8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