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자원동원
2. 자원동원의 전략
3. 자원동원의 매커니즘
4. 지역사회 자원개발
2. 자원동원의 전략
3. 자원동원의 매커니즘
4. 지역사회 자원개발
본문내용
호소 서신, 내용물 등
②이벤트 - 기업이나 단체가 특정기간 목적달성을 위해서 특정장소에서 사전계획을 가지고 대상이 되는 사람
들에게 물질 및 정보의 교류를 통하여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체감 정보를 쌍방으로 전달하는
비일상적인 특별한 활동
예) 전시, 공연, 방송, 기념일 등
③미디어 - TV, 라디오,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인터넷(포털사이트 배너), 이메일 등
④텔레마케팅 - 전화 신호음으로 안내하기, ARS 모금 등
2) 후원자 개발
(1) 후원사업 유형
①개인결연 후원모금 방법은 클라이언트와 후원자가 1:1 개인 결연을 맺는 방법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물질적 지원 뿐만 아니라 정신적 지원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자립을 돕는다.
②후원자와 가정 또는 소규모 집단 간의 결연 후원방식
③후원자와 시설 또는 지역사회와의 결연사업
후원자는 개인보다는 회사, 종교단체, 기관, 사회단체 등이며, 전체 사업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예) 대학의 OO관, OO시설
(2) 후원기간에 따른 유형
① 정기후원 - 정기적(월, 년)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식이지만, 구체적으로 대상자를 정하지 않고, 소액에서 고액까지 기부할 수 있다.
② 비정기후원 - 비정기적으로 후원하는 방식으로 효율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 않다.
③ 프로그램 후원 - 특정한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프로그램 운영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결식아동사업, 비행청소년 지원 사업, 알콜 중독자 치료사업 등
2) 후원자 관리 방법
①기존의 회원관리가 중요하다.
②한명의 후원자가 오랜 기간 후원할수록 후원 개발비를 절약할 수 있다.
(1) 후원자 관리의 필수 요소
①후원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주소 변경 여부, 이메일, 종교, 직장 등)
②후원기록관리(후원금액, 결연아동, 후원누계액, 최종 미납일, 자료발송 수령 여부, 생일 등)
③후원자집단의 정보 파악 등
(2) 후원자 관리의 유의점
①후원자 관리교육(전화상담, 기록 등)
②후원자의 기부내역에 따른 관리
③인센티브 도입(기념품, 공연초청 등)
④후원자 관리 전산화
⑤후원자 만족도 조사
참고문헌
- 오정수·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 장창호·고순철·김익균·김치영, 지역사회복지론, 교문사
- 강희철·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나남출판
- 고수현, 지역사회복지, 교육과학사
- 지은구, 지역복지론, 청목출판사
- 강철희, 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주)나남출판
②이벤트 - 기업이나 단체가 특정기간 목적달성을 위해서 특정장소에서 사전계획을 가지고 대상이 되는 사람
들에게 물질 및 정보의 교류를 통하여 개별적이고 직접적인 체감 정보를 쌍방으로 전달하는
비일상적인 특별한 활동
예) 전시, 공연, 방송, 기념일 등
③미디어 - TV, 라디오,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인터넷(포털사이트 배너), 이메일 등
④텔레마케팅 - 전화 신호음으로 안내하기, ARS 모금 등
2) 후원자 개발
(1) 후원사업 유형
①개인결연 후원모금 방법은 클라이언트와 후원자가 1:1 개인 결연을 맺는 방법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물질적 지원 뿐만 아니라 정신적 지원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자립을 돕는다.
②후원자와 가정 또는 소규모 집단 간의 결연 후원방식
③후원자와 시설 또는 지역사회와의 결연사업
후원자는 개인보다는 회사, 종교단체, 기관, 사회단체 등이며, 전체 사업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예) 대학의 OO관, OO시설
(2) 후원기간에 따른 유형
① 정기후원 - 정기적(월, 년)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식이지만, 구체적으로 대상자를 정하지 않고, 소액에서 고액까지 기부할 수 있다.
② 비정기후원 - 비정기적으로 후원하는 방식으로 효율적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 않다.
③ 프로그램 후원 - 특정한 사업이나 프로그램을 홍보하여 프로그램 운영비를 마련하는 것이다. 결식아동사업, 비행청소년 지원 사업, 알콜 중독자 치료사업 등
2) 후원자 관리 방법
①기존의 회원관리가 중요하다.
②한명의 후원자가 오랜 기간 후원할수록 후원 개발비를 절약할 수 있다.
(1) 후원자 관리의 필수 요소
①후원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주소 변경 여부, 이메일, 종교, 직장 등)
②후원기록관리(후원금액, 결연아동, 후원누계액, 최종 미납일, 자료발송 수령 여부, 생일 등)
③후원자집단의 정보 파악 등
(2) 후원자 관리의 유의점
①후원자 관리교육(전화상담, 기록 등)
②후원자의 기부내역에 따른 관리
③인센티브 도입(기념품, 공연초청 등)
④후원자 관리 전산화
⑤후원자 만족도 조사
참고문헌
- 오정수·류진석, 지역사회복지론, 학지사
- 장창호·고순철·김익균·김치영, 지역사회복지론, 교문사
- 강희철·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나남출판
- 고수현, 지역사회복지, 교육과학사
- 지은구, 지역복지론, 청목출판사
- 강철희, 정무성, 지역사회 복지실천론, (주)나남출판
추천자료
정신지체장애인 지역사회복지관점의 문제점과 대책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Case Study] 보건소-가족간호(지역사회간호)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구성
[지역사회보건, 보건관리, 보건의료, 보건교육, 모자보건, 사회복지활동]지역사회보건과 보건...
지역사회실천의 연계를 위한 인적 물적자원의 활용방안 제시 (의사소통 네트워크/실천모델/접...
지역사회 노인보건 사업 (A++++++간호과 탑의 자료) (노인보건사업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A+ 가정간호 케이스 , 가정간호 케이스 스터디, 가정간호 실습, 가정간호 간호과정, 보건소 ...
방문보건 케이스 스터디 A+ (방문보건 CASE, 방문보건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
의료사회사업론=우리나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의 개요, 자원 현황, 프로그램 및 개선방...
[지역사회네트워킹] 지역사회복지와 네트워킹 - 네트워크의 의의와 구축과정, 네트워크 구축전략
[지역사회공동체] 공동체의 개념과 의의 공동체의 유형과 특징 공동체의 요건 사회복지의 이...
[정신건강론]조현병을 가진 사람의 재활과 회복을 위한 지역사회 개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