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폭력 성향으로서의 알렉스
2. 폭력 거부로서의 알렉스
3. 폭력 성향으로 다시 돌아온 알렉스
2. 폭력 거부로서의 알렉스
3. 폭력 성향으로 다시 돌아온 알렉스
본문내용
급했듯 피상적인 효과에 그칠 뿐이다. 알렉스가 처벌을 받았으나 그의 친구들이 경찰이 되어 마음껏 폭력을 휘두르는 것은 몇몇의 죄인들에 대한 처벌이 나머지 개인들에게 경각심을 준다거나 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알렉스의 의식개조 - 루도비코법은 적절한 교화인가? 그렇지 않다. 이것은 인간의 의식에 영향을 주어 그의 도덕적 판단을 올바른 쪽으로 이끄는류의 교화가 아니다. 이것은 국가의 통제를 인간의 신체에 그대로 이식한 수준이다. 따라서 이 영화에서 죄를 지은 개인에 대해 국가가 행하는 해결책은 처벌과 통제뿐이다. 죄에 대한 교화, 그것은 국가의 폭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알렉스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고, 잘못된 사회구조로 생겨난 병마일 수도 있다. 하지만, 덮어놓고 그런 사회와 정부만을 탓하고 이야기하는 것은 지독한 방관주의자의 방법일 뿐이다.
즉, 덮어놓고 개인의 범죄가 모두 사회가 만든 것이라는 해석은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당국이 행한 짓이 범죄가 아니라는 말은 하지 않겠다. 그들 역시 자신의 이기심과 공명심으로 한사람의 인생을 허물어 놓았는지도 모르니까.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알렉스는 범죄자이며, 정신병자라는 것이다.
이렇듯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고 가정하는 성악설에 의거해서는 근본적으로 사회의 안전을 추구할 수 없다. 통제와 처벌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 효과 또한 미약하기 그지없다. 그리고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면 규범에 의한 교화라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무엇보다도 - 그것이 사회의 안전이라 해도 - 소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알렉스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고, 잘못된 사회구조로 생겨난 병마일 수도 있다. 하지만, 덮어놓고 그런 사회와 정부만을 탓하고 이야기하는 것은 지독한 방관주의자의 방법일 뿐이다.
즉, 덮어놓고 개인의 범죄가 모두 사회가 만든 것이라는 해석은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당국이 행한 짓이 범죄가 아니라는 말은 하지 않겠다. 그들 역시 자신의 이기심과 공명심으로 한사람의 인생을 허물어 놓았는지도 모르니까.
하지만 우리가 알아야할 것은 알렉스는 범죄자이며, 정신병자라는 것이다.
이렇듯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고 가정하는 성악설에 의거해서는 근본적으로 사회의 안전을 추구할 수 없다. 통제와 처벌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 효과 또한 미약하기 그지없다. 그리고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면 규범에 의한 교화라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 인간의 자유의지는 무엇보다도 - 그것이 사회의 안전이라 해도 - 소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