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류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류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작품 분석의 두 가지 전제

1. 상투성과 원형의 차이
2. 장소의 혼, 혹은 물질적 상상력


겨울과 아이러니의 뮈토스, 그리고 요나 코플렉스 : <겨울연가>

1.비극적 아이러니의 뮈토스 : 준상과 유진의 사랑
2. 요나 콤플렉스, 혹은 집 없는 사람의 집짓기
(1) 작품 내적 분석의 필요성
(2) 집에 대한 강박, 그리고 모성애
3.장님 모티프와 근친상간 금기


사계 드라마의 공통점

1. 자기동일성(identity)찾기로서의 사랑
(1) 형재에와 성애의 공통점과 차이점 : 준서와 은서
(2) 준상의 통합적 자아 찾기 : 기억 되살리기
(3) 혜원과 민우의 통합적 자아 찾기 : 은혜와 정재의 그림자
(4) 수호의 통합적 자아 찾기 : 자기애(self-love)
2. 연애의 디테일 반복, 개인사에 집착
(1) 소나기 모티프
(2) 자전거 타기
(3) 신발 신겨주기
(4) 버스 뒷자석에 같이 타기
(5) 머리 묶어주기
(6) 동일한 등장 배우
(7) 방자와 향단이
(8) 남녀 안타고니스트

본문내용

등장한다.
(5) 머리 묶어주기
남성이 사랑하는 여성의 머리를 묶어주는 장면 또한 상당히 낭만적인 풍경이 될 것이 틀림없으나 그 또한 연애의 디테일이며 하나의 취향일 것이다.
· 여름향기 : 장미로 천장을 장식하는 작업을 하던 혜원은 자꾸 흘러내리는 긴 머리를 추슬려 올린다. 이때 방에 도착한 민우와 혜원은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긴 머리가 환상적으로 비춰지면서 천천히 묶여지는 장면은 사랑하는 사람의 정성스런 손길이 느껴지게 하는 명장면이다.
· 봄의왈츠 : 이 장면이 반복되면서 과거와 현재, 수호와 재하의 정체성을 이어주는 축으로서 작동하고 있다. 유년 시절, 유채꽃밭에서 수호는 은영의 긴 머리를 묶어준다. 15년의 세월이 흐른 후 통영의 음악회 참석 때 이 장면은 되풀이된다.
(6) 동일한 등장 배우
네 드라마의 주연 배우는 물론 다르다. 그러나 이 계절 연작 드라마에서 조연은 놀랄 정도로 동일한 인물이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이상하게도 부모님 배역은 고집스럽게 동일 인물을 내세우고 있음이 이채롭다.
ex. 김혜숙 - <가을동화>에서 은서의 어머니역. <겨울연가>에서 유진 어머니역. <여름향기>에서 민우 어머니역. <봄의왈츠>에서 은영의 이모인 조양순 역.
정동환 - <가을동화>에서 신애의 친아버지이자 은서의 길러준 아버지역. <겨울연가>에서 상혁과 준상의 아버지. <봄의왈츠>에서 재하의 아버지 역.
(7) 방자와 향단이
<춘향가>의 방자와 향단이는 조연이면서 춘향과 이도령의 심각한 사랑에 대비되어 재미있고 가벼운 사랑의 양상을 표출하여 극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이 네 드라마에는 방자와 향단이형의 인물들이 모두 등장하는 특성이 있다.
(8) 남녀 안타고니스트
사계절 연작 드라마의 주제는 물론 진정한 사랑이다. 남녀 주인공이 온갖 어려움을 물리치고 첫사랑을 성취한다는 내용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이 공통적인 주제를 항상 뒷받침해주는 존재는 두 사람을 각각 진정 사랑하는 두 남녀이다. 그들의 사랑이 너무 진지하고 진실해서 시청자들은 오히려 이 안타고니스트들에게 매력을 느낄정도이다.
이처럼 사랑함으로써 둘 사이를 방해하는 이상한 안타고니스트들의 등장은 역설적으로 첫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그들이 아무리 그들을 사랑한다 하더라도 첫사랑이 그들을 부르면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다.
둘째로, 이런 배역은 공생적 사랑을 부인하는 작품 전체의 세계관 때문이기도 하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9.1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7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