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류문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류열풍과 경제적 효과.
3. 경제적 효과 이외의 한류열풍이점.
4. 쇠락의 길 위 한류.
5. 나아가야할 방향.
6. 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反)한류에 대한 이해와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그 과정과 원인을 고찰하여, 관련기업이나 기관이 콘텐츠 개발과 정책 수립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반(反)한류 재발방지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박상현, 앞의 책, p.173.
6. 나오며.
지금까지 한류문화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류열풍은 언제까지고 지속되는 영원한 열풍이 아니다. 현재 한류가 드라마라는 한 장르에만 국한되어있고, 일본과 중국이라는 장소에 국한되어있는 점으로 보아 심도있는 논의를 통한 구체적 대안이 없으면 향후 몇 년이 지나, 한류열풍이라는 이름은 한때의 얘기로 묻혀버릴 것이다. 사람은 항상 새로운 것에 목마르다. 신선하면서도 친근한 장르를 개척해야하며 폭넓은 장르에 걸쳐 전반적인 문화콘텐츠의 다양화가 시급하다. 또한 중국과 일본을 넘어 아시아에의 한류의 정착이 필요하다. 현실 직시와 함께 경각심을 갖고, 수준 높은 연구와 논의를 병행하여 대책을 강구했을 때, 한류열풍은 그 이름을 지속해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김미주, 「홍콩, 대만, 태국 잠재한류관광객들의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가 선호하는 한류문화관광상품,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 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관광학회, 2009. 2.
김상배, 「기획주제 (콜론) 문화와 국제정치 ; 한류의 매력과 동아시아 문화네트워크」, 『세계정치(구 국제문제연구)』, Vol.28, No. 1,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07.
박광해, 「2004년 국제한국학학술대회 (콜론) 주제 (콜론) 두드림, 한국문화의 원형을 찾아서 ; 중국에서의 '한류'열풍 및 그 전파 원인」, 『한국학논집』, Vol.31, No.0,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4.
박상현, 「한류 문화산업의 반(反)한류 재발방지에 관한 연구 - 문화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중심으로 -」, 『생산성논집(구 생산성연구)』, Vol.21, No.2, 한국생산성학회, 2007.
유병혁, 「'한류' 지속, 확산 방안 -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심포지움』, 인문콘텐츠학회, 2005. 9.
정수영, 「열성 한류 팬을 통해 본 한류의 의미 및 한일관계 전망」, 『미디어,젠더&문화』 제11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4.
「동방신기, 일본 최고 온라인 판매」, 『세계일보』, 2009. 11. 30

「‘아내의 유혹’ 대만서 시청률1위」, 『스포츠조선』, 2009. 8. 3

「세계가 좁다.. 한국게임 활약상」, 『이데일리』, 2009. 12. 16

「장서희 ‘아내의 유혹’, 몽골서도 ‘국민드라마’」, 『아시아경제 연예』, 2009. 07. 21

「[한류의 진화] 이란 ‘대장금’ 시청률 90%...阿·중남미에도 한국드라마물결」, 『한국경제』, 2009. 10. 24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2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