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장수 전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기장수 전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본형의 설정

2. 아기장수 전설의 사회성 검토

3. 아기장수 전설의 구조 분석: 단절된 민초들의 민중의식

4. 생과 죽음의 반복

5. 비극의 주인공들; 희망과 좌절의 줄다리기

6. 결론

본문내용

저 뒤편에 서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닫힌 역사 속에서 스스로의 존재적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고 찾는 시대의 생활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평가를 요구받는 시대에 탄생한 영웅이란 세계와의 대결에서 실패한 나약한 영웅일 수밖에 없다. 역사란 관념이 아니고 너무도 생생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 삭막한 전설의 시대에는 인간 자신만 있을 뿐 인간을 돌바줄 아무런 신도 없는 것이다.
그 어린것을 자신들의 대변자로 내세우고 스스로 살인한 사람들은 그 삭막한 시대의 주인공들이고 자신들이 내세운 영웅이 그러했듯 세계의 무게, 역사의 무게에 눌리고 함몰되면서 신음했던 것이다.
6. 결론
〈아기장수 전설〉은 신화가 전설로 변모해 가는 과정과 인류가 분열해 가는 과정을 함축하여 조망하면서 피지배 계층의 기성세대인 부모에 서사의 촛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구성에서 아기장수는 전반부에만 등장하고(기본형의 경우) 용마는 후반부에만 등장하는 데에 반해서 부모는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한다. 그리고 서사적 거리에서 통치자가 가장 멀고 아기장수와 용마는 중간이고 부모가 가장 가깝다. 즉 통치자는 외면과 내면을 다 보여 주지 않고, 아기장수와 용마는 외면만 보여 주고, 부모는 외면과 내면을 다 보여 준다. 이처럼 이 전설은 부모에 촛점을 맞추어 그들의 어리석음을 비판하고 있다. 부모의 근시안적 태도, 개방적이지 못하고 가정의 테두리 안에 갇혀서 당장의 생명 유지에만 집착하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많은 변의가 되었어도 '미천한 혈통→탁월한 능력→비극적 죽음'이라는 기본 뼈대는 동일하다. 좌절과 파국으로 끝을 맺는 이 비극적 설화는 기존 질서의 장벽 때문에 패배할 수밖에 없는 민중적 영웅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아기장수는 천상에서 점지 받아 미래의 변화 가능성을 지닌 존재로 태어난다. 그러나 아기장수의 이 가능성은 기존의 질서와의 갈등을 예고하는 것인데, 국가 정치 권력과의 대결에서 번번이 패배를 맛본 민중들에게는 현실과의 적절한 타협에 안주하는 경향이 생겨났고, 이러한 성향이 이야기에 반영된 결과로 아기장수는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최내옥, 한국 구비전설의 연구, 일조각, 1981.
박인구, 아기장수 전설의 유형 연구,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1990.
전신제, 아기장수전설의 갈등구조, 한림대교수, 1991
한국구비문학대계 2-2(강원 춘천시 춘성군편), 670-673면에 수록된 자료
싸이월드, “민속문화의 이해”
http://www.uw21.net/uiwang_html/sub5/4-1-3.html
http://kkucc.konkuk.ac.kr/~shindh/
http://home.hanmir.com/~ouroboros/
http://www.withkr.co.kr/index5/data/124agi.htm
http://kkucc.konkuk.ac.kr/%7Eshindh/tale/agi01.htm
http://powerpoint.njoyschool.net/club/service/clubbbs/club
http://www.solbit.net/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1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