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집단 따돌림의 개념
Ⅲ. 집단 따돌림의 실태
Ⅳ.집단 따돌림의 해결방안 및 정책
Ⅴ.결 론
Ⅱ. 집단 따돌림의 개념
Ⅲ. 집단 따돌림의 실태
Ⅳ.집단 따돌림의 해결방안 및 정책
Ⅴ.결 론
본문내용
현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서울에서부터 제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상담이 신청되었으나 정확히 파악된 곳은 불과 25% 가량밖에 되지 않았다. 2004년도에 실시할 예정인 홈페이지 개편을 통하여 내담자의 정보에 관해 보다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공개상담실에도 적용한다면 이러한 문제점도 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④ 의뢰자 구분
금번 분기에도 피해자가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하였다. 10월에는 84건으로 70%를, 11월에는 48건으로 54.5%, 12월에는 25건으로 46.3%를 기록하였다. 다음은 기타가 차지하였는데 자신의 경험을 살려 왕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글들이 많았다. 가해자나 부모, 교사의 글은 매우 작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⑤ 왕따 유형별 현황
10월에서 12월 모두 따돌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괴롭힘이 차지하였는데 10월에는 놀림에 따른 상담글이 괴롭힘과 마찬가지로 21건을 기록하여 17.5%를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성격고민, 폭력, 교사체벌 등의 순서였다.
4) 만족도
금년 12월에 처음으로 pop-up창 개설을 통하여 실시된 만족도 조사는 기존 사이버상담실의 욕구 및 만족도조사의 미비함과 비교하여 볼 때,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06명이 응답하였으며, 문항은 3가지로 구성되었다.
먼저 상담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48.1%가 매우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19.8%가 만족한다고 답하여 총 67.9% 이상이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다음으로 답변이 올라오는 시간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38.7%가 매우 만족함에, 그리고 12.3%가 만족함에 답하여 51%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불만족과 매우 불만족에 답한 이가 총 24명으로 22.6%라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담실 운영에 있어 계속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부분으로 실시간 상담의 어려움으로 내담자들에게 시기적절한 상담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내년에는 관련 전공생들의 보다 왕성한 활동을 유도하여, 내담자들이 원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문항인 off-line상의 왕따예방 프로그램 및 내방상담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서는 매우 필요함이 67.9%, 필요함이 10.4%로 총 78.3% 가량이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4년에 실시 예정인 ‘왕따없는 학교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하여 잠재된 ct에게 예방차원의 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왕따 학생에 대한 다각적(교사-학부모) 접근을 시도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청예단(청소년 폭력예방재단)
청예단이 2001년 10월 서울의 한 고등학교 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따돌림 조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반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이 몇 명이나 되는가?
현재 반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이 몇 명 있는가? 에 대한 질문에 1명 154명(26.6%), 2명 140명(24.2%), 3명 96명(16.6%), 4명 11명(1.9%), 5명이상 22명(3.8%), 없다 155명(26.8%)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1명 이상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73.2%로 나타나 학교에서 따돌림 당하는 학생이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친구를 따돌림 시킨 경험이 있는가?
친구를 따돌림을 시킨 경험에 대한 질문에 “있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211명(36.5%), “없다” 라고 응답한 학생이 367명(63.5%)으로 나타나 10명중 약 4명이 친구를 따돌림 시킨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친구를 따돌림 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친구를 따돌림 시킨 이유에 대해 따돌림을 시킨 경험이 있는 학생 211명 중 65.4%(138명)이 “친구가 따돌림 당할 만한 행동을 해서”라고 응답을 하였으며, “친구들이 따돌려서” 23명(10.9%), “친구가 바보 같아서”29명(13.7%)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심해서 따돌렸다”는 응답도 1.9%로 나타나 따돌림을 하는 학생들은 특별한 이유가 있기보다는 다분히 자신의 마음에 맞지 않을 때 따돌림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④ 따돌림을 시킨 후의 느낌을 어떠했는가?
따돌림을 시킨 후의 느낌에 대해 따돌림을 시킨 경험이 있는 학생 중 “후회 했다” 86명(29.4%), “미안한 느낌이 들었다.”66명(27.5%),“죄책감이 들었다.”라고 21명(13.3%)이 응답을 한 반면에 “재미있었다” 17.1%, “기분이 좋았다” 1.9%, “별 느낌이 없다.” 10.9% 등 별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청소년도 30%로 나타나 따돌림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4) 1999년도 한국청소년개발원 집단따돌림 예방 및 지도대책연구 결과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57개 초·중·고생 6천8백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중·고생 가운데 4명중 1명(24%)이 따돌림 대상이 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돌림 피해 경험은 중학교가 27%로 가장 많았고 초등하교가25%, 고등학교가 21%순이었다. 남녀별로는 남학생이 28%로 여학생이 20%보다 많았고, 지역별로는 서울 24%, 광역시 23%, 읍면지역 30%였다. 성적하위집단 27%와 집안사정 좋은(월수입3백만원 이상)학생이 29%로서 중하위층이22∼25%보다 높았다. 따돌림 당한 학생은 소극적이 되거나 아이들에게 잘 보이려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 해 정 도
비율(%)
상처날 정도는 아님
48.6
멍이나 상처
15.9
약으로 치료
5.1
병원치료·입원
1.3
신체장애·불구
0.7
응답 거부
27.4
피해자의 감정
비율(%)
복수하고 싶다
30.6
아무 감정 없다
15.0
죽이고 싶다
13.9
증오한다
12.1
기타
7.3
응답거부
15.0
정신적 충격
비율(%)
불안감
42.6
학교가기 싫음
16.6
휴학·전학 희망
4.9
자살 충동
2.6
자살 시도
1.3
정신과 치료
0.4
응답 거부
31.4
또한 이러한 피해접수후 사회적으로 신고후 처리결과는 우리가 얼마나 무관심한지에 대해보여주고 있다.
④ 의뢰자 구분
금번 분기에도 피해자가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하였다. 10월에는 84건으로 70%를, 11월에는 48건으로 54.5%, 12월에는 25건으로 46.3%를 기록하였다. 다음은 기타가 차지하였는데 자신의 경험을 살려 왕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글들이 많았다. 가해자나 부모, 교사의 글은 매우 작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⑤ 왕따 유형별 현황
10월에서 12월 모두 따돌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은 괴롭힘이 차지하였는데 10월에는 놀림에 따른 상담글이 괴롭힘과 마찬가지로 21건을 기록하여 17.5%를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성격고민, 폭력, 교사체벌 등의 순서였다.
4) 만족도
금년 12월에 처음으로 pop-up창 개설을 통하여 실시된 만족도 조사는 기존 사이버상담실의 욕구 및 만족도조사의 미비함과 비교하여 볼 때,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06명이 응답하였으며, 문항은 3가지로 구성되었다.
먼저 상담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48.1%가 매우 만족한다고 답하였고, 19.8%가 만족한다고 답하여 총 67.9% 이상이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다음으로 답변이 올라오는 시간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38.7%가 매우 만족함에, 그리고 12.3%가 만족함에 답하여 51%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불만족과 매우 불만족에 답한 이가 총 24명으로 22.6%라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상담실 운영에 있어 계속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부분으로 실시간 상담의 어려움으로 내담자들에게 시기적절한 상담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내년에는 관련 전공생들의 보다 왕성한 활동을 유도하여, 내담자들이 원하는 시기에 적절하게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문항인 off-line상의 왕따예방 프로그램 및 내방상담의 필요성에 관한 질문에서는 매우 필요함이 67.9%, 필요함이 10.4%로 총 78.3% 가량이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004년에 실시 예정인 ‘왕따없는 학교만들기 프로젝트’를 통하여 잠재된 ct에게 예방차원의 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왕따 학생에 대한 다각적(교사-학부모) 접근을 시도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청예단(청소년 폭력예방재단)
청예단이 2001년 10월 서울의 한 고등학교 학생 5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따돌림 조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반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이 몇 명이나 되는가?
현재 반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이 몇 명 있는가? 에 대한 질문에 1명 154명(26.6%), 2명 140명(24.2%), 3명 96명(16.6%), 4명 11명(1.9%), 5명이상 22명(3.8%), 없다 155명(26.8%)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1명 이상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의 비율이 73.2%로 나타나 학교에서 따돌림 당하는 학생이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친구를 따돌림 시킨 경험이 있는가?
친구를 따돌림을 시킨 경험에 대한 질문에 “있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211명(36.5%), “없다” 라고 응답한 학생이 367명(63.5%)으로 나타나 10명중 약 4명이 친구를 따돌림 시킨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친구를 따돌림 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친구를 따돌림 시킨 이유에 대해 따돌림을 시킨 경험이 있는 학생 211명 중 65.4%(138명)이 “친구가 따돌림 당할 만한 행동을 해서”라고 응답을 하였으며, “친구들이 따돌려서” 23명(10.9%), “친구가 바보 같아서”29명(13.7%)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심해서 따돌렸다”는 응답도 1.9%로 나타나 따돌림을 하는 학생들은 특별한 이유가 있기보다는 다분히 자신의 마음에 맞지 않을 때 따돌림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④ 따돌림을 시킨 후의 느낌을 어떠했는가?
따돌림을 시킨 후의 느낌에 대해 따돌림을 시킨 경험이 있는 학생 중 “후회 했다” 86명(29.4%), “미안한 느낌이 들었다.”66명(27.5%),“죄책감이 들었다.”라고 21명(13.3%)이 응답을 한 반면에 “재미있었다” 17.1%, “기분이 좋았다” 1.9%, “별 느낌이 없다.” 10.9% 등 별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는 청소년도 30%로 나타나 따돌림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4) 1999년도 한국청소년개발원 집단따돌림 예방 및 지도대책연구 결과
한국교육개발원이 전국 57개 초·중·고생 6천8백9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초·중·고생 가운데 4명중 1명(24%)이 따돌림 대상이 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돌림 피해 경험은 중학교가 27%로 가장 많았고 초등하교가25%, 고등학교가 21%순이었다. 남녀별로는 남학생이 28%로 여학생이 20%보다 많았고, 지역별로는 서울 24%, 광역시 23%, 읍면지역 30%였다. 성적하위집단 27%와 집안사정 좋은(월수입3백만원 이상)학생이 29%로서 중하위층이22∼25%보다 높았다. 따돌림 당한 학생은 소극적이 되거나 아이들에게 잘 보이려는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 해 정 도
비율(%)
상처날 정도는 아님
48.6
멍이나 상처
15.9
약으로 치료
5.1
병원치료·입원
1.3
신체장애·불구
0.7
응답 거부
27.4
피해자의 감정
비율(%)
복수하고 싶다
30.6
아무 감정 없다
15.0
죽이고 싶다
13.9
증오한다
12.1
기타
7.3
응답거부
15.0
정신적 충격
비율(%)
불안감
42.6
학교가기 싫음
16.6
휴학·전학 희망
4.9
자살 충동
2.6
자살 시도
1.3
정신과 치료
0.4
응답 거부
31.4
또한 이러한 피해접수후 사회적으로 신고후 처리결과는 우리가 얼마나 무관심한지에 대해보여주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분석/조사] 집단따돌림 [사회과학]
집단따돌림 [분석/조사]
집단따돌림에 대한 보고서
학교폭력 및 집단따돌림 예방을 위한 상담역할에 관한 고찰
집단따돌림에 대한 나의 생각
학교 왕따문제 현황과 해결방안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사범/법학] 집단따돌림
집단따돌림, 그 실태와 해결책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예방대책
집단따돌림 [인문과학]
집단따돌림 원인 유형
학교사회복지론(집단따돌림)
사랑, 타인존중 예화자료 사례, 집단따돌림예방(왕따예방), 자주 예화자료 사례, 인성교육, ...
[예화자료]예화자료 사례1(환경보호), 사례2(절약), 예화자료 사례3(집단따돌림예방교육, 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