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단따돌림의 현황
2. 집단따돌림의 원인
3. 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
2. 집단따돌림의 원인
3. 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
본문내용
로의 노력에 의해 반복되지 않도록 고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한편, 집단따돌림의 가해자는 누구든지 집단따돌림을 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봐야한다. 내성적이거나 소심한 친구들이 가진 숨은 장점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집단따돌림의 피해가 자신에게 되돌아올 수도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학생들이 쓰는 왕따의 은어 중에 '업따'라는 것이 있다. 이는 초등학교 선생님들 대부분이 '우리 학급에는 왕따가 없다.'라고 말하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학생들은 집단따돌림을 당하고 그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지만 교사는 그러한 현상이 우리 교실에는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빗댄 말이다. 집단따돌림은 옛날부터 있었던 것이고, 아이들이 성장하는 시기에 흔히 일어나는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쉽게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 반에는 집단따돌림이 없다.'라고 낙관하거나 맹목적으로 무시하는 태도는 올바르지 못하다. 왜냐하면 집단따돌림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한 가운데서도 조직적이고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에 와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