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액수의 성금을 갖은 방법을 다해 갈취하는등 많은 사회문제를 일으켰다. 이러한 천륜파괴와 재물갈취는 90년대 들어 성주,부전,안동,서울 방면등 대순진리회 대부분 방면으로 번져 나가며 광적인 세력확산을 이뤘다. 80년대 당시,소설 ‘단‘의 인기를 이용 "도를 아십니까" "기에 관심있습니까" 등의 문구로 사람들을 현혹하고 조상 제사를 사칭하여 금품을 뜯어내자 피해사례가 전국 경찰서와 민원실에 폭주하였다. 1984 이 해에 갑자기 개벽이 된다고 하여 주부신도들이 집단 가출하고 성금명목으로 무수히 많은 돈을 갈취한 것이 사회문제가 되어 KBS TV 추적 60분에 "아내의 가출"이라는 프로로 고발되었다. 1994년 부산에서 포교를 못한다는 이유로 가출한 박모양을 폭행하여 사망게 하고, 부검결과 갈비대가 5대 부러지고 위장이 텅 비어있어 대순진리회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국가차원의 문제로 거론되었다. 1996년 서울중곡동에 자리잡은지 27년만에 교주 박한경 강원도 원주병원에서 급사.이해 3월 5일 MBC PD 수첩 '대순진리회를 아십니까'가 방송되면서 사회의 큰 경각심 불러일으켰다. 이후 각 대학교의 대순 써클이 학생들의 가출 후 실종,무리한 성금갈취,자살,자퇴종용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자 학생회에서 쫓겨나고 이후 각 학교는 대순의 교내 활동을 금지하였다. 증산도 종정이 저술한 "이것이 개벽이다"와 "증산도의 진리"를 겉장을 뜯어내고 자기네 교리책으로 둔갑하고, 심지어 증산도 종정이 원래 대순진리회 신도였다며 유언비어를 날조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서점에서 증산도 관련서적 및 동양 철학,주역 등의 서적을 구입하는 사람들을 '증산도에서 나왔다' 또는 '영대가 맑아 보이시네요' 하여 유인.증산도뿐 아니라 국내 민족종교,수행,동양철학 단체에 정신적 피해를 입혔다.
1999년 박한경의 3년상이 끝나자 주도권 쟁탈전이 시작됨.경석규파가 야밤에 200여명의 청년을 동원,무력으로 여주본부 강탈.한편 7월 16일 정대진의 부전방면 세력은 실력으로 여주에 있던 이유종의 천안방면 세력을 몰아내고 본부도장을 물리적으로 접수하였고,이로써 대순진리회는 급속히 몰락하게 되었다.
6.증산교를 조사하면서,
왜 증산은 군대를 조직해 서구 열강들과 맞서지 않았을까? 왜 근대적 정치주체들을 세워 내적 힘을 축적하지 않았을까? 왜 동학군의 외로운 항쟁을 무가치한것처럼 만류했을까? 왜 일제를 잠정적으로나마 용인하였을까? 현상적으로 볼 때, 증산의 행적들은 자주적인 근대국가 수립의 프로젝트가 아닌 신비주의적인 종교운동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난맥상을 효과적으로 풀어내지도 않은 것 같다. 그러나, 시대적 파국에 대한 종교적 해결을 결과적으로만 다뤄져셔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그 해결만을 희망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민중이 있었다는 것이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전개된 제국주의 열강의 세계지배는 당시 우리나라 민중에게는 피할 수 없는 재난이었다. 그들은 제국주의 침략을 막아낼 강력한 군대도, 근대화를 추진해 내적 개혁을 주도할 정치주체도, 현실에 탄력있게 대응하며 정신적 일체성을 부여할 기성종교의 역할도 없었다. 민중은 사면초가의 위기속에 정신적 공황상태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19세기 신종교의 출현은 정치, 사회, 경제적 무력함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으로 이해해야 한다. 19세기에 세계적으로 일었던 약소민족들의 신종교현상은 제국주의의 침략을 그 무엇으로도 극복할 수 없었던 제 3세계 민중들의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한 종교적 저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증산의 교설은 절망하고 있던 민중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민족정체성을 세우도록 한 종교적 해결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
1999년 박한경의 3년상이 끝나자 주도권 쟁탈전이 시작됨.경석규파가 야밤에 200여명의 청년을 동원,무력으로 여주본부 강탈.한편 7월 16일 정대진의 부전방면 세력은 실력으로 여주에 있던 이유종의 천안방면 세력을 몰아내고 본부도장을 물리적으로 접수하였고,이로써 대순진리회는 급속히 몰락하게 되었다.
6.증산교를 조사하면서,
왜 증산은 군대를 조직해 서구 열강들과 맞서지 않았을까? 왜 근대적 정치주체들을 세워 내적 힘을 축적하지 않았을까? 왜 동학군의 외로운 항쟁을 무가치한것처럼 만류했을까? 왜 일제를 잠정적으로나마 용인하였을까? 현상적으로 볼 때, 증산의 행적들은 자주적인 근대국가 수립의 프로젝트가 아닌 신비주의적인 종교운동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 난맥상을 효과적으로 풀어내지도 않은 것 같다. 그러나, 시대적 파국에 대한 종교적 해결을 결과적으로만 다뤄져셔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그 해결만을 희망으로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민중이 있었다는 것이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전개된 제국주의 열강의 세계지배는 당시 우리나라 민중에게는 피할 수 없는 재난이었다. 그들은 제국주의 침략을 막아낼 강력한 군대도, 근대화를 추진해 내적 개혁을 주도할 정치주체도, 현실에 탄력있게 대응하며 정신적 일체성을 부여할 기성종교의 역할도 없었다. 민중은 사면초가의 위기속에 정신적 공황상태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19세기 신종교의 출현은 정치, 사회, 경제적 무력함에 대한 대안적 해결책으로 이해해야 한다. 19세기에 세계적으로 일었던 약소민족들의 신종교현상은 제국주의의 침략을 그 무엇으로도 극복할 수 없었던 제 3세계 민중들의 자기 정체성 확립을 위한 종교적 저항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증산의 교설은 절망하고 있던 민중에게 삶의 의미를 부여하고, 민족정체성을 세우도록 한 종교적 해결노력으로 볼 수도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장법(Factory Act)이 사회복지발달에 미친 영향
플라톤의 이데아, 철인정치,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및 느낀점
골품제와 화랑도가 신라사회에 미친 영향을
엘리자베스 빈민법(1601)의 주요 원칙 및 세계 사회보장제도에 미친 영향
엘리자베스 구빈법이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자유주의(신자유+고전주의)가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긍정, 부정)
현대사회에서 과학의 역할과, 인간사회에 미치는 영향 ( A+ 맞음)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의 전개와 전쟁의 발발 원인,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과 전망.PPT자료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등장배경과 목적 및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사회복지실천에...
신자유주의가 영국과 미국의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친 이유를 서술.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장애에 대한 편견 및 관점은 무엇이었는지 서술하고, 왜 자신이 그러한...
인간과과학 공통:) 인공지능의 발달이 인류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회를 어떻게 바꿀 ...
정신분석이론의 기본가정과 구조적 관점 및 지정학적 관점 심리성적발달단계(유전학적 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