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발생배경, 활동, 진행과정, 성격, 한계점, 효과, 의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발생배경, 활동, 진행과정, 성격, 한계점, 효과,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 - COS)
1) 자선 조직 협회의 발생 배경
2) 활동
3) 자선조직협회의 빈곤관 과 한계점
4) 효과 및 의의

2. 인보관(隣保館)운동
1) 인보관 운동의 배경
2) 인보관 운동의 진행과정
3) 인보관 운동의 목적, 의의와 성격

본문내용

, 보건교육, 소년소녀들에 대한 기술교육, 문명퇴치, 성인교육 등의 교육적 사업을 실시했다.
체육관을 설치하여 옥외활동을 장려하고, 오락, 예술활동을 권장했다.
인보관을 설립하여 주택, 도서관, 시민회관 등으로 활용했다.
(4) 인보관 운동이 전개한 구체적 사회개혁활동
공립학교에서 탁아사업, 급식, 심신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 뿐 아니라 직업교육과 지도를 하도록 요구하였다.
지역마다 공원을 조성하고 주택법규를 개선하고 도시 계획을 통해 밀집 주거지역 현상을 해소하며 공립학교를 지역사회센터로 활용하는 것 등을 요구하였다.
해외이민들의 사회적응을 돕기 위해 이민보호연맹을 조직하기도 하였다.
근로여성을 보호하고 아동노동을 폐지하기 위한 입법을 위해 투쟁했고 전국아동노동위원회와 여성노조 등을 결성하는데 참여하였다.
시와 구 단위의 개혁활동에 참여했고 1912년에 창당된 진보당의 정강의 작성과 조직에 참여하였다.
자선조직협회(COS)와 인보관은 모두 지역사회복지관에 영향을 미쳤으므로 따로 놓고 생각할 수 없다. 인보관과 마찬가지로 자선조직협회도 지금의 지역사회복지관에 영향을 미쳤다. 처음에는 시혜적인 자원봉사로 시작하였지만, 점점 체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고, 지역사회복지관을 건립하여 빈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영국은 인보관의 발달로, 미국은 자선조직협회의 발달로 지금의 지역사회복지관이 생기게 되었고, 우리나라는 인보관보다는 자선조직협회의 발전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이 생기게 되었는데, 빈곤의 원인을 개인에게 두고, 박애사업적인 서비스들을 한곳으로 모아 조정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9.24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13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