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일사례디자인에 대한 기본 이해
2. 개념정의와 측정
3. 단일사례디자인의 주요 과정
2. 개념정의와 측정
3. 단일사례디자인의 주요 과정
본문내용
표적행동이 나타나서 지속된 시간의 길이
⑤ 강도 (magnitude) : 각 행동이 발생하는 동안에 표적행동의 양, 수준 혹은 정도들에 대해
기록
⑥ 항구산물 절차(permanent product procedures) : 표적행동의 발생여부에 대해 직 접적으
로 관찰하지 않음. 대신 표적행동의 발
생은 그 행동이 나타난 결과로서 발생한 산출물을 관찰함.
(예) 서비스 기관에 자발적으로 방문하는 행동 -> 방문했 는지를 알아보면 측정됨
표적행동의 기록방법은 다양하게 선택, 조합될 수 있음
자료기록은 대개 외부 관찰자가 수행하지만, 대상자가 스스로 작성하는 방법(self- report)도
있음.
>>측정 및 기록방법 선택 시 반응성 문제 유의
- 반복측정에서 대상자의 반응은 자료의 타당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으므로 반 응성 문
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
문제
구체적인 표적행동
명확한 개입목표 설정
학교 결석
일주일에 2~3일
무단결석
일주일에 6일 모두 등교
아버지와의
나쁜 관계
일주일에 전혀 대화 없음
일주일에 한 번씩
2시간 이상 함께 보냄
3. 단일사례디자인의 주요 과정
>>표적행동의 선정
- 변화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표적문제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것 선정 -> 조작화된 개입목표 설정
>>기초선 단계 관찰
기초선 단계 : 개입하기 전의 단계
기초선(baseline)
- 개입이전의 경향. 개입이 도입되기 전에 반복측정. 일반적으로 ‘A’로 표시
- 개입 후의 변화와 비교할 수 있는 개입 전의 상황으로 기초선은 집단실험에서 통제집
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제단계
기초선의 종류
① 회고적 기초선 : 과거의 기억에 기초, 기존의 자료에 의해 설정
② 동시적 기초선 : 인테이크 사정 후 곧바로 문제를 측정하여 설정
기초선 출처
- 업무일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공식적 기록, 주변 사람에게서 수집한 정보, 클라이언
트의 기억 등
기초선 체크
- 대상문제가 기초선 기간에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기에 충분할 정도로 많은 측정을 함
-> 기초선과 개입이후의 경향이 명확히 비교될 수 있음
- 경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적어도 셋 이상의 측정 필요. 5-10번 정도의 기초선 측정 계
획이 합리적임
- 기초선의 안정된 경향을 보인다 하더라도 그 경향이 개선을 의미할 때는 개선의 경향
이 없어질 때까지 기초선 측정을 계속하는 것이 좋음
개입단계 관찰
- 개입단계는 표적행동에 대한 개입활동이 이루어지는 기간. 일반적으로 ‘B’로 표시
- 이 기간 동안 표적행동의 상태에 대한 관찰이 병행되어야 함
- 기초선 단계의 관찰기간(횟수)과 개입단계의 관찰기간(횟수)은 보통 동일하게 함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⑤ 강도 (magnitude) : 각 행동이 발생하는 동안에 표적행동의 양, 수준 혹은 정도들에 대해
기록
⑥ 항구산물 절차(permanent product procedures) : 표적행동의 발생여부에 대해 직 접적으
로 관찰하지 않음. 대신 표적행동의 발
생은 그 행동이 나타난 결과로서 발생한 산출물을 관찰함.
(예) 서비스 기관에 자발적으로 방문하는 행동 -> 방문했 는지를 알아보면 측정됨
표적행동의 기록방법은 다양하게 선택, 조합될 수 있음
자료기록은 대개 외부 관찰자가 수행하지만, 대상자가 스스로 작성하는 방법(self- report)도
있음.
>>측정 및 기록방법 선택 시 반응성 문제 유의
- 반복측정에서 대상자의 반응은 자료의 타당성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으므로 반 응성 문
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
문제
구체적인 표적행동
명확한 개입목표 설정
학교 결석
일주일에 2~3일
무단결석
일주일에 6일 모두 등교
아버지와의
나쁜 관계
일주일에 전혀 대화 없음
일주일에 한 번씩
2시간 이상 함께 보냄
3. 단일사례디자인의 주요 과정
>>표적행동의 선정
- 변화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표적문제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것 선정 -> 조작화된 개입목표 설정
>>기초선 단계 관찰
기초선 단계 : 개입하기 전의 단계
기초선(baseline)
- 개입이전의 경향. 개입이 도입되기 전에 반복측정. 일반적으로 ‘A’로 표시
- 개입 후의 변화와 비교할 수 있는 개입 전의 상황으로 기초선은 집단실험에서 통제집
단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통제단계
기초선의 종류
① 회고적 기초선 : 과거의 기억에 기초, 기존의 자료에 의해 설정
② 동시적 기초선 : 인테이크 사정 후 곧바로 문제를 측정하여 설정
기초선 출처
- 업무일지,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공식적 기록, 주변 사람에게서 수집한 정보, 클라이언
트의 기억 등
기초선 체크
- 대상문제가 기초선 기간에 안정적인 경향을 보이기에 충분할 정도로 많은 측정을 함
-> 기초선과 개입이후의 경향이 명확히 비교될 수 있음
- 경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적어도 셋 이상의 측정 필요. 5-10번 정도의 기초선 측정 계
획이 합리적임
- 기초선의 안정된 경향을 보인다 하더라도 그 경향이 개선을 의미할 때는 개선의 경향
이 없어질 때까지 기초선 측정을 계속하는 것이 좋음
개입단계 관찰
- 개입단계는 표적행동에 대한 개입활동이 이루어지는 기간. 일반적으로 ‘B’로 표시
- 이 기간 동안 표적행동의 상태에 대한 관찰이 병행되어야 함
- 기초선 단계의 관찰기간(횟수)과 개입단계의 관찰기간(횟수)은 보통 동일하게 함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추천자료
[사회][사회집단][사회역할][사회조사][사회규제][사회적 규제][건강한 사회와 이혼][건강한 ...
사회복지조사분류 중 시간적 분류에 따른 횡단적 조사와 종단적 조사를 비교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거주하는 지역사회 사회복지기관을 방문하여 기관에서 사용한 설문조사 수...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와 관련하여 어떤 상황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하고, 그것이 ...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조사에 있어서 윤리적인 조사를 위한 일반적 지침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욕구조사가 사회복지현장(시설, 기관, 정책 등)에서 왜 필요한지 논하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사회과학 연구는 연구대상을 체계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사회조사 방법에는...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때...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2017 사회복지조사론 3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방통대 중간과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