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일사례디자인의 유형
1) AB 디자인: 기본단일사례디자인
2) BA디자인
3) ABA 및 ABAB 디자인 : 반전 디자인
4) ABCD 디자인 : 복수요소디자인/다중요소디자인(multiple-component design)
5) 복수기초선디자인(multiple-baseline design)
2. 단일사례디자인의 결과분석
1) AB 디자인: 기본단일사례디자인
2) BA디자인
3) ABA 및 ABAB 디자인 : 반전 디자인
4) ABCD 디자인 : 복수요소디자인/다중요소디자인(multiple-component design)
5) 복수기초선디자인(multiple-baseline design)
2. 단일사례디자인의 결과분석
본문내용
둘 이상의 클라이언트에 대해 AB설계가
반복
- 적용대상에 따라 문제 간 복수기초선디자인, 상황 간 복수기초선디자인, 대상자간 복수기초 선디자인으로 구분
둘 이상의 기초선을 설정하고 동시에 기초선 측정을 함. 그러나 개입은 각각 다른 시점에서 시작함
=> 이처럼 개입방법을 서로 다른 시기에 적용함으로써 외부변수를 통제할 수 있게 됨: 하
나의 개입 시점에서 우연히 외부사건이 포함되어 개입에 영향을 줄 수 있지 만, 모든
사례에서 매번 개입시점마다 우연히 외부사건이 개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임
=> AB 디자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복수기초선디자인 예 : 특정한 개입방법이 같은 상황(세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다른 대상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
장점
- 인위적인 개입조작으로 인한 비윤리성의 문제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 ABAB처럼
기초선 확보를 위해 개입을 중단하고 다시 개입하는 인위적인 개입조작으로 비윤리성의
문제가 없음 -> 연구자들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
- 다양한 조건에서 개입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개입방법의 일반화 가능성
을 검증하는데도 효과적
2. 단일사례디자인의 결과분석
1) 시각적 분석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에 그려진 그래프를 보면서 개입 이전보다 개입 이후에 표적 행동에
서 눈에 띌 만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
분석의 순서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됨
2) 통계적 분석 : 평균비교, 경향선 접근
시각적 분석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들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분석
(1) 평균 비교
기초선이 비교적 안정적일 경우 기초선(A)에서 나타나는 관찰값의 평균과 개입 선(B)의 평
균을 비교
- 개입단계의 평균이 기초선의 평균에서 기초선 표준편차의 두배(+2, -2) 이상 차이가 나
면 의미 있는 변화로 인정
(2) 경향선 접근(celeration line approach)
기초선이 불안정한 경우에 사용하는 접근방법: 기초선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단
순 평균 비교가 힘듦
평균비교가 단지 기초선의 변화 폭만을 고려한 것이라면 경향선은 변화의 폭과 기울기까
지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기초선에 있는 관찰점들을 반으로 나누어 전반부와 후반부 관찰점들로 분리하고, 각각의
평균점을 구한 뒤 이 두 평균을 연결하여 경향선을 만듦. 이때 개입단계에서 관찰점이 모
두 경향선 아래 또는 위에 있다면 그 개입은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음
\
3) 실용적 분석(임상적 분석)
개입 이후에 변화가 발생하였다면, 그러한 변화들이 과연 실질적인 문제에서 얼마만큼 비중을 갖는 변화인지를 판단하는 것
- 변화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해 보는 것.
비용-효과성에 대한 문제들이 주로 이와 관련됨 : 비싼 돈 들여 겨우 그런 결과?
변화가 사회복지실천 면에서 얼마만큼 의미를 갖는 변화인지를 임상적으로 판단
(다소 주관적)
전문적인 판단을 지나치게 중시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제어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를 유의
할 것
-> 실용적 분석은 시각적, 통계학적 분석 등과 같은 분석방법들을 함께 활용하도록
⇒ 실천/연구목적에 따라 분석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다르지만, 대개 모든 3가지 분석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반복
- 적용대상에 따라 문제 간 복수기초선디자인, 상황 간 복수기초선디자인, 대상자간 복수기초 선디자인으로 구분
둘 이상의 기초선을 설정하고 동시에 기초선 측정을 함. 그러나 개입은 각각 다른 시점에서 시작함
=> 이처럼 개입방법을 서로 다른 시기에 적용함으로써 외부변수를 통제할 수 있게 됨: 하
나의 개입 시점에서 우연히 외부사건이 포함되어 개입에 영향을 줄 수 있지 만, 모든
사례에서 매번 개입시점마다 우연히 외부사건이 개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임
=> AB 디자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복수기초선디자인 예 : 특정한 개입방법이 같은 상황(세팅)에서 동일한 문제를 가진 다른 대상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
장점
- 인위적인 개입조작으로 인한 비윤리성의 문제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 ABAB처럼
기초선 확보를 위해 개입을 중단하고 다시 개입하는 인위적인 개입조작으로 비윤리성의
문제가 없음 -> 연구자들이 매우 유용하게 사용
- 다양한 조건에서 개입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개입방법의 일반화 가능성
을 검증하는데도 효과적
2. 단일사례디자인의 결과분석
1) 시각적 분석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에 그려진 그래프를 보면서 개입 이전보다 개입 이후에 표적 행동에
서 눈에 띌 만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
분석의 순서에 있어서 가장 우선시 됨
2) 통계적 분석 : 평균비교, 경향선 접근
시각적 분석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자료들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분석
(1) 평균 비교
기초선이 비교적 안정적일 경우 기초선(A)에서 나타나는 관찰값의 평균과 개입 선(B)의 평
균을 비교
- 개입단계의 평균이 기초선의 평균에서 기초선 표준편차의 두배(+2, -2) 이상 차이가 나
면 의미 있는 변화로 인정
(2) 경향선 접근(celeration line approach)
기초선이 불안정한 경우에 사용하는 접근방법: 기초선이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단
순 평균 비교가 힘듦
평균비교가 단지 기초선의 변화 폭만을 고려한 것이라면 경향선은 변화의 폭과 기울기까
지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
기초선에 있는 관찰점들을 반으로 나누어 전반부와 후반부 관찰점들로 분리하고, 각각의
평균점을 구한 뒤 이 두 평균을 연결하여 경향선을 만듦. 이때 개입단계에서 관찰점이 모
두 경향선 아래 또는 위에 있다면 그 개입은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음
\
3) 실용적 분석(임상적 분석)
개입 이후에 변화가 발생하였다면, 그러한 변화들이 과연 실질적인 문제에서 얼마만큼 비중을 갖는 변화인지를 판단하는 것
- 변화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해 보는 것.
비용-효과성에 대한 문제들이 주로 이와 관련됨 : 비싼 돈 들여 겨우 그런 결과?
변화가 사회복지실천 면에서 얼마만큼 의미를 갖는 변화인지를 임상적으로 판단
(다소 주관적)
전문적인 판단을 지나치게 중시하여 연구자의 주관성을 제어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를 유의
할 것
-> 실용적 분석은 시각적, 통계학적 분석 등과 같은 분석방법들을 함께 활용하도록
⇒ 실천/연구목적에 따라 분석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다르지만, 대개 모든 3가지 분석들이
상호보완적으로 사용
참고문헌
김 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열린교육-사회복지사1급기본서사회복지조사론
박문각-감이좋은사회복지학개론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 집, 2001
김병진,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법문사, 2006
김치영, 『사회복지조사론』, 교문사, 2007
김훈,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대왕사, 2006
박석돈, 『사회복지학개론』, 삼우사, 2004
추천자료
[사회][사회집단][사회역할][사회조사][사회규제][사회적 규제][건강한 사회와 이혼][건강한 ...
사회복지조사분류 중 시간적 분류에 따른 횡단적 조사와 종단적 조사를 비교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거주하는 지역사회 사회복지기관을 방문하여 기관에서 사용한 설문조사 수...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와 관련하여 어떤 상황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하고, 그것이 ...
[사회복지조사] 사회복지조사에 있어서 윤리적인 조사를 위한 일반적 지침에 대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욕구조사가 사회복지현장(시설, 기관, 정책 등)에서 왜 필요한지 논하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
[사회복지조사론 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사회과학 연구는 연구대상을 체계적, 경험적, 비판적으로 연구하는 것으로 사회조사 방법에는...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때...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2017 사회복지조사론 3공통]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
(사회복지조사론2017)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적 조사를 할...
방통대 중간과제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현장에서 양적 조사가 필요한 상황을 예시하고, 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