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 데카르트의 철학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가 오류를 범하지 않기 위하여 이 규칙들을 따르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우리의 자유재량(자유의지) 때문이다. 만일 오류를 범한다면, 그것은 우리의 의지(판단하는 우리 능력)가 무한하여, 유한한 오성(entendement)의 명석 판명한 인식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데카르트 철학의 현대적 의의
서양 철학사에서 데카르트의 위치는 형상철학과 질료철학 사이에서 중간적 위치에 있다. 즉 기하학과 논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고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그리고 생물학과 심리학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을 추구하는 베르그송 철학 사이에 있다. 그는 자아의 확실성으로부터 보편수학과 물리학의 토대를 정립하면서 인간이 주체적으로 외적 세계의 주인임을 선언하였다. 그리고 신에 종속된 인간을 자유의지에 의해 스스로 자치적 능력이 있음을 증거 하려고 한다. 따라서 데카르트의 업적은 자아의 관념의 정립으로 인식의 확실성을 확립하였고, 확실성을 바탕으로 학문의 보편성을 세우며, 인간의 의지의 자유를 강조하였다. 그러나 데카르트 사상이 인식론과 형이상학, 그리고 인간론에 대한 새로운 정립이 근대 이성을 정립하게 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는 현대에 와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사실 데카르트 철학의 장점 그 자체가 현대철학에서 약점으로 등장한다. 근대의 이성의 탈피가 현대철학의 한 모습이기도 하다. 데카르트는 방법적 회의를 통하여 자아의 정립을 한 다음, 수학의 관념에 대한 확실성에 따라 모든 진리가 보편성을 지닌다고 한다. 이런 근대적 사유는 자연이나 생명 있는 존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자연자체의 통일성과 생명 있는 존재의 생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시대적 한계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정신이 자기 한계 내에 있다는 것이다. 모든 학문은 하나의 보편적 진리 위에 성립한다는 점에서는 사실상 전통적 형이상학의 명제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정신만의 영역을 사물의 영역에도 확장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인식에서 주체와 대상을 실체화시키면서도 그 뒤의 배경으로 신을 끌어들일 수밖에 없었듯이, 인간의 스스로 주체가 되게 하려는 의도는 시대적 한계에 머물 수밖에 없었다. 인간이 오성을 통하여 사물 또는 물체에 대해 자율권을 행사할 수 있듯이, 인간이 자유의지를 통하여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 자유롭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인간 주체가 사물에 대한 자율성 강조만큼이나 자신 이외의 타자의 자율성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주체와 다른 주체인 타인과의 관계의 문제까지는 다룰 수 없었다. 데카르트의 이성이 세계의 주인으로서 자리잡은 근세철학은 세계내의 인간의 지위를 잘 부여하였지만, 현대에서 제기되는 생명 문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문제에 대한 부분은 다음 시대의 문제로 남게된다. 나아가 학문의 단일성 또는 통일성도 재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20세기 프랑스 철학은 데카르트의 근대성을 넘어서면서, 인간 본성에 대한 탐색으로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가 등장하게 된다.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8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2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