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간을 통해 바라본 고향의 의미 -도시공간과 고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공간을 통해 바라본 고향의 의미 -도시공간과 고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운 고향을 갖고 있지 못하다. 그러나 마음이 고달플 때 마음을 가져갈 고향의 기억으로 친척의 별장인 창랑정에 얽힌 추억을 회상한다. 주인공이 고향을 그리워하는 것은 고향을 사람들의 최후의 도착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4. 도시공간을 통해 바라본 고향의 의미
고향은 익명화되고 비인간화되고 물화되어 소외된 현존으로부터 동심의 세계인 과거에로 도피하므로써 자유 의식의 향유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찾고 자기 동질성을 확인하는 의식 작업인 것이다. 고향과 동심의 세계는 현존의 소외성을 일깨워주면서 그것을 치유하는 의식의 처방일 수도 있다. 대체로 농촌이나 어촌 또는 산촌에서 아늑하고 협소한 군집을 이루고 살던 사람들은 개인과 가정의 삶과 생활 환경을 이 근대화 과정에 낙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탈고향하여 도시로 모여든다. 도시는 실향인들의 주거지이다. 본래적 의미에서의 공동체란 관심과 사랑, 그리고 인격적 책임을 지닌 공존과 공생의 영역인데, 도시는 폐쇄적인 개별자가 있을 뿐이다. 그 개별자는 누구든 타향 의식을 지니고 있으므로 서로간에 소외되어 있음은 물론 이 개별자들이 모인 곳은 더 이상 공동체가 아니다.
『대지의 아들』에서 하얼빈의 기생인 계향의 신세타령을 듣던 건오가불현 듯 자기의 가난했던 어린 시절이 회상되어지는 장면은 도시공간을 통해 고향의 의미를 새겨보는 것이다. 또 건오가 만주에서 저녁 황혼을 바라보면서 향수에 저즌 안타까운 정서를 자아내는 심정을 드러내고 있는 부분은 피폐한 고향이지만 언젠가는 돌아가야할 친숙한 장소의 고향인 것이다.『 대지의 아들』에서의 인물들인 건오, 덕성, 석룡이 등은 음식을 할 때나 농사를 잘 지었을 때나 항상 고향을 떠올린다. 도시속에서 고향 의식을 갖지 못한다면 그것은 곧 자기 정체성과 동질성을 상실하고 있음을 말하고 그 가운데서 행복감을 느낀다면 그것은 정체성 상실에의 무지와 망각에서 비롯된 맹목적이고 우둔한 자기 도취에 불과하다. 도시화가 고향의 모습을 잃게 하는 것은 그런 변화 속에는 역시 고향의 본질에 해당하는 아늑함과 작음, 그리고 협소함과 친숙함의 이미지 공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시 공간에서의 자기 삶의 조건을 반추하면서 고향공간이 지니는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창랑정기』에서 주인공이 도시공간에 서 창랑정에 얽힌 어린 날의 추억은 몸과 마음이 고달플 때 우리의 몸을 달게 만드는 고향에 대한 아련한 감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기영의 『고향』에서 나타나는 현실은 춘궁을 겪는 빈농민들의 고달픈 삶이 드러나고 있으며 고리대와 장릿벼 등으로 소작인을 수탈하는 안승학은 농민들의 척박한 삶을 비유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근대적인 공간으로 변모해가는 고향은 현재는 피폐하지만 청년회를 통한 소시민성의 극복, 두레를 통한 농민대중과의 유대로 인해 농민과 김희준과의 관계는 확고한 상호 신뢰관계가 세워지는 곳으로 변모된다. 고향은 과거의 내 삶의 공간으로서 친밀한 장소이다. 그러나 고향의 삶이 피폐할 때 이향을 통해 도시공간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시공간을 통해 고향을 반추할 수 있다고 본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3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