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대학국어 수업의 현황
1-2. 주제 선정 이유
1-3. 논의 범위 제시
1-4. 조사 방법론
1-5.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
2. 본론
2-1. 학생들에게 대학국어 수업이 갖는 의미
2-2. 교과 과정의 분석
2-2-1. 강의 계획서의 분석
2-2-2. 교과서의 분석
2-2-3. 선생님의 의견
2-3. 타 학교의 국어 수업 조사
2-3-1. 국내 타 대학교 국어 수업의 소개
2-4. 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
2-5. 대안 제시
2-6. 외국 대학교의 사례
3. 결론
3-1. 요약
3-2. 논문의 한계점
1-1. 대학국어 수업의 현황
1-2. 주제 선정 이유
1-3. 논의 범위 제시
1-4. 조사 방법론
1-5.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
2. 본론
2-1. 학생들에게 대학국어 수업이 갖는 의미
2-2. 교과 과정의 분석
2-2-1. 강의 계획서의 분석
2-2-2. 교과서의 분석
2-2-3. 선생님의 의견
2-3. 타 학교의 국어 수업 조사
2-3-1. 국내 타 대학교 국어 수업의 소개
2-4. 분석을 통한 문제점과 개선 방향
2-5. 대안 제시
2-6. 외국 대학교의 사례
3. 결론
3-1. 요약
3-2. 논문의 한계점
본문내용
있으며, 창립 이래 3세기동안 전문교육을 무시하고 교양교육만을 실시하고 있는 학교이다. 세인트존스는 전공과목, 전공교수, 전공학과를 인정하지 않는 점에서 교양과목이 따로 있지 않고 대학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교양학과라고 불릴 수 있다. 그들은 교양교육의 목적을 근본적으로 통일된 지식(knowledge in its fundamental unity)을 추구하고, 공동의 문화적 유산을 감상할 수 있고, 사회적 및 도덕적 의무감을 인식할 수 있는 자유로우면서도 합리적인 인간(free and rational man)에 두고 있다. 또한 이러한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무엇보다도 선현들이 남긴 고전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기 때문에, 보통 고전(Great Books) 프로그램이라고 불리고 있다. 세인트존스의 「대학안내서」는 이러한 입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고전은 시간을 초월하면서도 그 당시에 알맞은 적시(both timeless and timely)의 교훈을 줄 수 있다. 고전은 인간존재 자체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제기하면서도 모든 인간의 실존적인 특수성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다. 고전은 고전으로서 동떨어져 있지 않고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들어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고전은 우리들에게 언제나 새로운 해답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고전은 우리들에게 한 가지 해결책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르면서도 보충적인’(independent and yet complementary) 여러 가지 해결책을 던져주고, 우리들의 합리적인 선택을 요구한다. 고전은 우리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우리들의 가슴을 감동시키고, 우리들의 영혼을 정화시킨다. 고전은 위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은 고전의 이야기를 되풀이(to repeat what they have to say)할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들의 고전과의 대화는 일방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일방적인 대화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대화적 방법(conversational method)이다. John’s College, St. John’s College, Bulletin, 1979-1981, p. 6
이렇게 대화와 토론을 위주로 하는 세인트존스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은 5개의 조직으로 대표된다.
첫째, 고전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세미나(seminar)가 있다. 17-21명의 학생과 ‘교사’(tutor)로 불리는 두 사람의 지도자가 참석하는 이 모임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오후 8시부터 10시에 열리는데 (실제로는 두 시간을 초과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미리 주어진 고전을 잃고 자유롭게 토론한다.
둘째, 3-4학년 학생들은 그 학년이 끝나는 약 9주간을 선택학습(preceptorial)으로 보낸다. 고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든지 혹은 하나의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이 모임은 7-8명의 학생과 1명의 지도자로 구성된다. 세미나보다 여유 있게 토의하고, 연말에는 각자의 논문을 발표해서 다른 학생들과 지도자의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셋째, 모든 학생은 졸업하기 이전에 하나의 외국어, 수학의 한 분야, 음악의 한 분야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개별학습(tutorial)을 받는다. 대개 13-15명으로 구성된 이 그룹은 세미나나 선택학습과 동일하지 않다.
넷째, 자연과학의 학습은 실험실(laboratory)에서 실시되는데, 그 실습내용이 고전과 유기적인 관력을 맺고 있다. 17-21명의 학생과 1명의 지도자 및 약간 명의 조교로 구성되며, 매주 2회의 모임을 갖는다.
다섯째, 매주 금요일 저녁에는 교내외 권위자에 의한 공개강좌가 열린다. 주제는 자유롭게 선택하되, 강좌가 끝나면 열띤 토론이 뒤따르는 것이 상례다. 이 강좌는 음악회나 전시회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세인트존스 프로그램의 중점은 세미나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에 있다. 일단 지도자가 문제를 제기하면 학생들은 아무 때나 손을 들지 않고 자기의 의견을 제시한다. 세미나의 법칙은 첫째로 남의 의견이 아무리 나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주의 깊게 경청하고(Every opinion must be heard and explored), 둘째로 모든 의견에는 논리적 설명이 뒤따라야 된다(Every opinion must be supported by argument; An unsupported opinion does not count)는 것이다. 「대학 안내서」는 이 법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성만이 유일한 권위(the only recognized authority)다. 모든 의견은 합리적으로 변호되어야 하며, 다수의 동의에 의해서만 한 가지 의견을 받아들인다. 세미나의 목적은 학생에게 이성과 이해의 능력을 기르고 합리적인 견해를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세미나의 목적은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3. 결론
3-1. 요약
본론에서 살펴봤듯이, 현재 대학국어 수업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수업의 개선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의 개선 방향이 있겠지만, 그 중 ‘고전을 읽고 그 고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본 후 그에 대해 여러 사람과 토론하는 수업’위주의 대학 국어 수업도 하나의 훌륭한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 강사뿐만 아니라 정책 관련자들의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3-2. 논문의 한계점
대학 국어 수업을 조사하는 데에 있어서 교내의 다른 수업을 수강하지 못하여 실제로 수업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 조사하지 못한 점과 본교와 타 대학교 설문 조사 시, 소수의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하여 많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가령 강사료 인상 시 그 비용 마련 등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이 논문의 한계점이라 생각한다. 다음 연구에는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 더 나은 대안이 제시되어 대학 국어 수업이 수강생에게 매우 의미 있는 수업이 되길 바란다.
고전은 시간을 초월하면서도 그 당시에 알맞은 적시(both timeless and timely)의 교훈을 줄 수 있다. 고전은 인간존재 자체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제기하면서도 모든 인간의 실존적인 특수성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다. 고전은 고전으로서 동떨어져 있지 않고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들어오는 힘을 가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고전은 우리들에게 언제나 새로운 해답을 줄 수 있다. 더 나아가서 고전은 우리들에게 한 가지 해결책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기 다르면서도 보충적인’(independent and yet complementary) 여러 가지 해결책을 던져주고, 우리들의 합리적인 선택을 요구한다. 고전은 우리들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우리들의 가슴을 감동시키고, 우리들의 영혼을 정화시킨다. 고전은 위대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은 고전의 이야기를 되풀이(to repeat what they have to say)할 뿐이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들의 고전과의 대화는 일방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일방적인 대화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대화적 방법(conversational method)이다. John’s College, St. John’s College, Bulletin, 1979-1981, p. 6
이렇게 대화와 토론을 위주로 하는 세인트존스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은 5개의 조직으로 대표된다.
첫째, 고전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세미나(seminar)가 있다. 17-21명의 학생과 ‘교사’(tutor)로 불리는 두 사람의 지도자가 참석하는 이 모임은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오후 8시부터 10시에 열리는데 (실제로는 두 시간을 초과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미리 주어진 고전을 잃고 자유롭게 토론한다.
둘째, 3-4학년 학생들은 그 학년이 끝나는 약 9주간을 선택학습(preceptorial)으로 보낸다. 고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든지 혹은 하나의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이 모임은 7-8명의 학생과 1명의 지도자로 구성된다. 세미나보다 여유 있게 토의하고, 연말에는 각자의 논문을 발표해서 다른 학생들과 지도자의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셋째, 모든 학생은 졸업하기 이전에 하나의 외국어, 수학의 한 분야, 음악의 한 분야에 대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개별학습(tutorial)을 받는다. 대개 13-15명으로 구성된 이 그룹은 세미나나 선택학습과 동일하지 않다.
넷째, 자연과학의 학습은 실험실(laboratory)에서 실시되는데, 그 실습내용이 고전과 유기적인 관력을 맺고 있다. 17-21명의 학생과 1명의 지도자 및 약간 명의 조교로 구성되며, 매주 2회의 모임을 갖는다.
다섯째, 매주 금요일 저녁에는 교내외 권위자에 의한 공개강좌가 열린다. 주제는 자유롭게 선택하되, 강좌가 끝나면 열띤 토론이 뒤따르는 것이 상례다. 이 강좌는 음악회나 전시회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 마디로 세인트존스 프로그램의 중점은 세미나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에 있다. 일단 지도자가 문제를 제기하면 학생들은 아무 때나 손을 들지 않고 자기의 의견을 제시한다. 세미나의 법칙은 첫째로 남의 의견이 아무리 나의 의견과 다르더라도 주의 깊게 경청하고(Every opinion must be heard and explored), 둘째로 모든 의견에는 논리적 설명이 뒤따라야 된다(Every opinion must be supported by argument; An unsupported opinion does not count)는 것이다. 「대학 안내서」는 이 법칙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성만이 유일한 권위(the only recognized authority)다. 모든 의견은 합리적으로 변호되어야 하며, 다수의 동의에 의해서만 한 가지 의견을 받아들인다. 세미나의 목적은 학생에게 이성과 이해의 능력을 기르고 합리적인 견해를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세미나의 목적은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3. 결론
3-1. 요약
본론에서 살펴봤듯이, 현재 대학국어 수업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수업의 개선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의 개선 방향이 있겠지만, 그 중 ‘고전을 읽고 그 고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글로 써본 후 그에 대해 여러 사람과 토론하는 수업’위주의 대학 국어 수업도 하나의 훌륭한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 강사뿐만 아니라 정책 관련자들의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3-2. 논문의 한계점
대학 국어 수업을 조사하는 데에 있어서 교내의 다른 수업을 수강하지 못하여 실제로 수업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 조사하지 못한 점과 본교와 타 대학교 설문 조사 시, 소수의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하여 많은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또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가령 강사료 인상 시 그 비용 마련 등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이 논문의 한계점이라 생각한다. 다음 연구에는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 더 나은 대안이 제시되어 대학 국어 수업이 수강생에게 매우 의미 있는 수업이 되길 바란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건강보험][국민건강보험]건강보험 환경 변화에 따른 국민건강보험의 관리, 재정현황과 문제...
[미혼모복지제도][미혼모복지정책][미혼모복지][미혼모정책]우리나라와 외국의 미혼모복지제...
[경영수익사업][지방자치]경영수익사업의 필요성, 경영수익사업의 성격, 경영수익사업의 특징...
헌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주택재개발사업][주택재개발][재개발사업][재개발][주택정책][주택문제]주택재개발사업의 종...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유형과 필요성, 수준별수업(수준별교육과정, 학습) 쟁점, ...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ICT(정보통신기술)활용개별화수업의 이론...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 수준별학습(수업)의 중요성, ICT활용교육 수준별학습(수업)의 모...
사범대(사대, 사범대학교) 전공과목, 사범대(사대, 사범대학교)와 정보소양, 사범대(사대, 사...
체육과교육(체육수업)의 성격, 체육과교육(체육수업)의 기본 방향, 체육과교육(체육수업)의 ...
[항만][항만의 투자현황][항만의 기능][항만의 물류거점화][항만의 민영화][항만의 개선방향]...
청소년자원봉사의 개념과 특성,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및 문제점, 생태체계이...
국민연금법문제점과 개선방향(국민연금제도, 국민연금법특성, 사회보험, 국민연금법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