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모습이 순식간에 마을의 여성들에게 확대되어 인기를 얻어 무늬나 매듭의 변화가 고안되어 현재의 오비의 원형이 완성되기에 이른다.
--명실상부하게 니시진오리(西陣織)로 확립
기모노에 매어 옷을 고정하는 도구에서, 겨우 장식적으로서의 기능이라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오비.
유행의 근원은 카부키 배우에서 부터 시작했지만 부유한 상인이 보다 화려한 것을 요구해 에시(繪師-궁정 혹은 막부등에 직속되어 그림제작을 담당하는 직인)에게 호화로운 의장을 그리게 하고, 직인에게 정교하게 짜게 한 것이 점차 서민에게도 패션으로서의 기모노로 뿌리를 내려 갔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다투어 유행을 추구하고, 에도와 위쪽에서부터 전국으로 유젠(비단 등에 화려한 채색으로 인물,꽃,새, 산수 따위 무늬를 선명하게 염색한 것)의 기법과 새로운 오비의 형태가 확산 되어갔다.
織기술의 최고봉,니시진오리(西陣織-쿄토시 니시진을 본거지로 제조,판매에 종사하는 개인 또는 단체가 제조하는 직물로, 기계업의 각공업조합 규정의 증지 검인이 인정된 것으로 오비, 넥타이, 약복감등의 다양한 품목이 있지만, 오랜 전통을 이은 기술과 의장의 축척, 새로운 기술,의장의 개발에 따라 수공예술성을 가미한 고급 문양 직물로서 저명하다)가 번성한 것도 이무렵부터. 원래 교토에는,조정에 수납하는 직물을 만드는 장인이 있었는데,카마쿠라(鎌倉)시대에 현재「니시진(西陣)」이라고 불리는 지역으로 이주해 살게 되었다. 여기에서 전통을 살리면서 때때로 새로운 감각을 접목시켜,사람들에게 중후하고 높은 기술을 평가받아 니시진오리(西陣織)라는 명성의 지위를 굳힌 것이다.
지금도 니시진(西陣)은 일본 제일의 산지로서,전국에서 소비되는 오비의 약 80% 을 생산하고 있다.
8. 남성기모노와 여성기모노의 구별방법
일본의 헌옷가게에 가본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상점에따라 남성기모노,여성기모노가 뒤섞여 있고,
어느 것이 어느 쪽인지 모를때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어른용 기모노만)
<남성기모노> <여성기모노> 남성의 경우,겨드랑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패인 길이가 짧고,꿰매어져 있다. 여성기모노의 경우,겨드랑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패인 길이가 깊고,또한,소매측은 남성기모노와 달리 꿰매어져 있지 않다.(미야쯔구치(身八つ口-겨드랑이에서 옆솔기 부분에 튼 아귀)라고 한다. 그밖에도 여성기모노는 깃이 남성의 것에 비해 넓다는 등의 차이가 있지만,가장 식별하기 쉬운 것은 소매일 것이다.
9. 기모노 각부 명칭과 완성본
10. 생활풍습과 기모노
◎七五三
11월 15일에 5살의 남자아이, 3살과 7살의 남여아이의 성장을 축하하고 고장 수호신에게 참배하는 풍속이다. 이 풍습은 옛부터 계속되고 있는 풍습으로 전해지지만 결코 옛 풍습은 아니다. 이 축하는 에도(江戶)시대 중기이후 행하게 됐고 七五三의 이름으로 활성화된 것은 메이지(明治)시대의 도쿄에 들어서이다.
◎七五三축하복
七五三의 수호신 참배에 입는 의복이다. 남자아이에게는 가문을 상징하는 무늬를 넣은 겉옷에 바지, 여자아이에게는 홑옷과 큰 무늬로 짠 긴옷에 여러 종류의 띠, 특유의 지갑, 부채일본짚신을 갖춘다. 성인식 20살이된 사람을 축하하는 행사이다. 매년 1월 15일에 행해지며 이 날은 정장으로 차려 입는다. 여성은 기모노, 남성은 양복을 주로 입는다. 성인식에 여성은 '후리소데' 라고 하는 소매가 긴 기모노를 입는다. 후리소데의 색은 상당히 산뜻한 것에서 차분한 색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여러가지이며 디자인도 여러가지이다. 후리소데란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 입는 것으로 결혼을 하면 소매가 짧은 '도메소데'라는 기모노를 입는다.
◎결혼식
(나라(奈良)시대 710년 - 794년) 알려진 것에 의하면 상의와 치마에 꽃을 머리에 가득 장식한 주로 흰색을 사용한 복장이었다고 한다. 헤이안(平安)시대(794년-1192년)에는 어두운 곳에서 식을 올렸기 때문에 결혼복장을 흰색으로 입을 필요가 있었다. 흰색은 여러가지로 물들여지기 때문에 그 집의 가풍을 물들이겠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결국, 흰색이라는 색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하는 순결을 나타냈던 의미가 있기에 결혼생활의 시작에 걸맞는 색으로 많은 사람에게 인상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식 때 웨딩드레스가 흰색인 의미와 거의 비슷한 것 같다. 신랑의 복장은 에도(江戶)시대까지는 흰색이었으나 메이지(明治)시대이후 그 사람의 직업의 정장을 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현재는 검은색을 입는데 무엇도 물들일 수 없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생각된다.
--명실상부하게 니시진오리(西陣織)로 확립
기모노에 매어 옷을 고정하는 도구에서, 겨우 장식적으로서의 기능이라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오비.
유행의 근원은 카부키 배우에서 부터 시작했지만 부유한 상인이 보다 화려한 것을 요구해 에시(繪師-궁정 혹은 막부등에 직속되어 그림제작을 담당하는 직인)에게 호화로운 의장을 그리게 하고, 직인에게 정교하게 짜게 한 것이 점차 서민에게도 패션으로서의 기모노로 뿌리를 내려 갔다.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다투어 유행을 추구하고, 에도와 위쪽에서부터 전국으로 유젠(비단 등에 화려한 채색으로 인물,꽃,새, 산수 따위 무늬를 선명하게 염색한 것)의 기법과 새로운 오비의 형태가 확산 되어갔다.
織기술의 최고봉,니시진오리(西陣織-쿄토시 니시진을 본거지로 제조,판매에 종사하는 개인 또는 단체가 제조하는 직물로, 기계업의 각공업조합 규정의 증지 검인이 인정된 것으로 오비, 넥타이, 약복감등의 다양한 품목이 있지만, 오랜 전통을 이은 기술과 의장의 축척, 새로운 기술,의장의 개발에 따라 수공예술성을 가미한 고급 문양 직물로서 저명하다)가 번성한 것도 이무렵부터. 원래 교토에는,조정에 수납하는 직물을 만드는 장인이 있었는데,카마쿠라(鎌倉)시대에 현재「니시진(西陣)」이라고 불리는 지역으로 이주해 살게 되었다. 여기에서 전통을 살리면서 때때로 새로운 감각을 접목시켜,사람들에게 중후하고 높은 기술을 평가받아 니시진오리(西陣織)라는 명성의 지위를 굳힌 것이다.
지금도 니시진(西陣)은 일본 제일의 산지로서,전국에서 소비되는 오비의 약 80% 을 생산하고 있다.
8. 남성기모노와 여성기모노의 구별방법
일본의 헌옷가게에 가본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상점에따라 남성기모노,여성기모노가 뒤섞여 있고,
어느 것이 어느 쪽인지 모를때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어른용 기모노만)
<남성기모노> <여성기모노> 남성의 경우,겨드랑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패인 길이가 짧고,꿰매어져 있다. 여성기모노의 경우,겨드랑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패인 길이가 깊고,또한,소매측은 남성기모노와 달리 꿰매어져 있지 않다.(미야쯔구치(身八つ口-겨드랑이에서 옆솔기 부분에 튼 아귀)라고 한다. 그밖에도 여성기모노는 깃이 남성의 것에 비해 넓다는 등의 차이가 있지만,가장 식별하기 쉬운 것은 소매일 것이다.
9. 기모노 각부 명칭과 완성본
10. 생활풍습과 기모노
◎七五三
11월 15일에 5살의 남자아이, 3살과 7살의 남여아이의 성장을 축하하고 고장 수호신에게 참배하는 풍속이다. 이 풍습은 옛부터 계속되고 있는 풍습으로 전해지지만 결코 옛 풍습은 아니다. 이 축하는 에도(江戶)시대 중기이후 행하게 됐고 七五三의 이름으로 활성화된 것은 메이지(明治)시대의 도쿄에 들어서이다.
◎七五三축하복
七五三의 수호신 참배에 입는 의복이다. 남자아이에게는 가문을 상징하는 무늬를 넣은 겉옷에 바지, 여자아이에게는 홑옷과 큰 무늬로 짠 긴옷에 여러 종류의 띠, 특유의 지갑, 부채일본짚신을 갖춘다. 성인식 20살이된 사람을 축하하는 행사이다. 매년 1월 15일에 행해지며 이 날은 정장으로 차려 입는다. 여성은 기모노, 남성은 양복을 주로 입는다. 성인식에 여성은 '후리소데' 라고 하는 소매가 긴 기모노를 입는다. 후리소데의 색은 상당히 산뜻한 것에서 차분한 색에 이르기까지 종류가 여러가지이며 디자인도 여러가지이다. 후리소데란 결혼하지 않은 여성이 입는 것으로 결혼을 하면 소매가 짧은 '도메소데'라는 기모노를 입는다.
◎결혼식
(나라(奈良)시대 710년 - 794년) 알려진 것에 의하면 상의와 치마에 꽃을 머리에 가득 장식한 주로 흰색을 사용한 복장이었다고 한다. 헤이안(平安)시대(794년-1192년)에는 어두운 곳에서 식을 올렸기 때문에 결혼복장을 흰색으로 입을 필요가 있었다. 흰색은 여러가지로 물들여지기 때문에 그 집의 가풍을 물들이겠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결국, 흰색이라는 색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하는 순결을 나타냈던 의미가 있기에 결혼생활의 시작에 걸맞는 색으로 많은 사람에게 인상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혼식 때 웨딩드레스가 흰색인 의미와 거의 비슷한 것 같다. 신랑의 복장은 에도(江戶)시대까지는 흰색이었으나 메이지(明治)시대이후 그 사람의 직업의 정장을 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현재는 검은색을 입는데 무엇도 물들일 수 없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21세기와 일본문화 -와쓰지 데쓰로(和 哲郞)의 일본문화론을 중심으로-
[소방행정][미국 소방행정][네덜란드 소방행정][스웨덴 소방행정][일본 소방행정][한국 소방...
[라면][라면 어원][라면 장단점][라면이 꼬불꼬불한 이유][라면과 건강][일본 3대라면]라면의...
[일본문화]일본미디어
초등학교 3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도덕과(도덕교육), 사회과(사회과교육), 초등학교 3학년 ...
[미국 환경교육][중국 환경교육][일본 환경교육][호주 환경교육][독일 환경교육][태국 환경교...
[세력][향촌지배세력][지방세력][해양세력][호족세력][여성정치세력][일본정치세력][교육세력...
[사회조사, 사회조사 종류, 사회조사 목적, 기초정보수집, 조사지점선정]사회조사의 개념, 사...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미국][일본][북한][안보]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와 미국, ...
[라면][라면 유래][라면 제조과정][라면 영양관계][라면 일본 사례][라면 건강하게 먹는 방법...
스포츠와 일본문화 = 야구를 통해 본 일본성 =
[스포츠과학] 스포츠 과학의 개념과 모형
[네이버의 일본진출] 네이버(Naver)의 SWOT 및 4P 분석과 일본 진출 실패사례와 향후 전략.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