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공산당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공산당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선공산당에 대해서..



1. 1920년대 사회주의운동의 외연과 내포

2. 사회주의이념의 수용과 확산 
 1) 사회주의이념 수용·확산의 여러 계기 
 2) 해외 한인들의 사회주의이념 수용
 3) 사회주의이념의 국내 확산

3. 조선공산당의 활동 
 1) 제 1,2 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2) 제 3,4차 조선공산당 조직과 활동

4.조선 공산당을 바라보는 관점
 1) 유관순
 2) 김구
 3) 1920년대 국민들
 4) 1950년대 국민들(남한)
 5) 1920년대 일본
 6) 조선시대 초 신진사대부
 7) 미국
 8) 소련

5. 나의견해

본문내용

국민들의 궁핍한 생활에 한줄기 빛과 같던 내용들이였기에 국민들에게는 좋게 받아들여 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4) 1950년대 국민들(남한)- 이 시기의 국민들은 막 끝나버린 한국전쟁으로 인한 폐해와 남북간의 분단으로 인하여 충격이 상당히 컷을 것이다. 분명 남한의 정부도 그렇게 신뢰하는 편은 아니겠지만, 정치적이나 전략적인 측면에서 갈등을 빚게 만든 것은 조선노동당이므로 이 세력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조금이라도 평화롭고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국민들은 조선노동당을 바라볼 때에 부정적인 시각이 강할 것이다.
5) 1920년대 일본- 이 시기 한국을 점령하고 있었던 일본은 각 지방에서 집회나 운동을 통하여 독립을 추구하는 조선노동당에 대하여 좋은 시각으로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일본은 공산주의를 택한 국가도 아니고 국민들을 강하게 결속 시키는 것을 추구 하였기에 일본의 입장으로써는 좋게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다.
6) 조선시대 초 신진사대부- 신진사대부들은 고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라를 새로이 창설하고자하는 세력들 이었다. 그 당시 신진사대부들은 고려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며 가장 중요한 토지제도를 먼저 개혁하고 기타 여러 가지 제도들의 개혁을 통하여 새로운 나라 조선을 건국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은 조선노동당이 주장하는 유산계급타파와 많이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재산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한쪽에 치우치면 그 세력이 강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챈 신진사대부로써는 그 세력의 재산을 축소시킴으로써 세력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였다는 것과 조선노동당이 주장하는 유산계급타파의 의미와 부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진사대부들은 조선노동당의 취지를 지지하며 옹호할 것이다.
7) 미국- 사회주의와 민주주의라는 큰 이념적 갈등을 겪은 미국으로써는 조선공산당을 좋게 볼 수 없을 것이다. 민주주의의 입장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던 미국은 전 세계 각국의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배타적인 입장을 보였던 것으로 보아 조선공산당을 볼 때 처음부터 커지지 않게 조취를 취하여 불씨가 번지지 않도록 조장할 것이다.
8) 소련- 사회주의 입장에서 가장 큰 역할을 했던 소련은 조선공산당을 통하여 한반도 지배를 이루고자 하였을 것이다. 한국 전쟁이 종결한 후에도 그 움직임은 계속 존재하였을 것이다. 소련에게 있어서 조선공산당은 세계적으로 보았을 때 자신들의 입지를 좀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소련은 조선공산당을 대함에 있어서 보다 세력을 확장시켜주고 지원을 해줄 것이다.
5. 나의견해
나는 조선공산당을 조사하고 정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조선공산당이 정말 좋은 일들을 많이 한 것 같았다. 결국 이념적인 갈등으로 인하여 서로 갈등을 빚음으로써 갈라지기는 하였지만, 우리나라가 좀더 이러한 조선공산당을 감싸주고, 의견의 존중과 포용을 통해 이들과 힘을 합쳤다면, 지금의 우리나라가 좀더 부강하고 평화로운 나라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념적인 갈등으로 인하여 한국전쟁이 일어나 우리나라와 적대적인 입장을 설 수밖에 없었던 그들이지만, 나는 그들을 바라보는 것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물론 공산주의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1920년에 활동한 내용으로 봤을 때 다른 어떤 세력보다도 국민들을 규합하고 도와주었다는 것은 국민들을 사랑하고 우리나라를 진정으로 생각하였던 것으로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역사연구소 지음, 『함께 보는 한국 근현대사』, 서해문집, 2004.
한국역사연구회엮음, 『한국역사입문③』, 풀빛, 1996.
『한국사15』, 한길사, 1995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