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우리들에게 기억의 역할
1. 기억이란 무엇인가.
2.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공포
3. 사례들
4. 기억력 향상을 위한 방법
1. 기억이란 무엇인가.
2.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공포
3. 사례들
4. 기억력 향상을 위한 방법
본문내용
우리들에게 기억의 역할
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Memory)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하거나 도로
생각해 냄. -의식
사물이나 사상(事象)에 대한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마음속에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정신 기능. -마음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 수용하여 둠. -기계
최종 기억장치 – 뇌(Brain), Memory
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이 만들어지는 곳
해마
≪ 그 림 ≫
해마를 통해서 머리속에 저장될 수 있는 신호로 바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 단기-> 작업-> 장기)
해마를 손상입게 되면 15초전 까지만 기억할 수 있음.
술을 마셔서 필름이 끊기는건 술에 의해 해마가 손상을 입어서
단기기억의 저장을 못 이룬 결과.
기억을 통합관리하는 중심서버 .
해마가 제거되면 제거되기 전까지의 기억은 간직하게 됨.
한마디로 해마는 기억을 저장하지는 않음.
〓〓〓〓〓〓〓〓〓〓〓〓〓〓〓〓〓〓〓〓〓〓〓〓〓〓〓〓〓〓〓〓〓〓〓〓〓〓〓〓〓〓〓〓〓〓〓〓〓〓〓
해마는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마를 잘라낸 사람은 15초 전의 일까지만 기억하고 그 이후의 일은 기억하지를 못한다
해마는 대뇌 신 피질의 신경세포를 통합관리하는 중심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술을 마시고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일명 필름 끊기는 것)은 단기기억을 저장하는 해마의 손상 때문.
≪ … 중 략 … ≫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공포
╋━━━━━━━━━━─────────
-PTSD
정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전쟁, 폭행, 자연재해, 사고, 강간 등의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적인 재 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
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Memory)
이전의 인상이나 경험을 의식 속에 간직하거나 도로
생각해 냄. -의식
사물이나 사상(事象)에 대한 정보를 무의식적으로 마음속에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정신 기능. -마음
계산에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 수용하여 둠. -기계
최종 기억장치 – 뇌(Brain), Memory
1. 기억이란 무엇인가
╋━━━━━━━━━━─────────
기억이 만들어지는 곳
해마
≪ 그 림 ≫
해마를 통해서 머리속에 저장될 수 있는 신호로 바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 단기-> 작업-> 장기)
해마를 손상입게 되면 15초전 까지만 기억할 수 있음.
술을 마셔서 필름이 끊기는건 술에 의해 해마가 손상을 입어서
단기기억의 저장을 못 이룬 결과.
기억을 통합관리하는 중심서버 .
해마가 제거되면 제거되기 전까지의 기억은 간직하게 됨.
한마디로 해마는 기억을 저장하지는 않음.
〓〓〓〓〓〓〓〓〓〓〓〓〓〓〓〓〓〓〓〓〓〓〓〓〓〓〓〓〓〓〓〓〓〓〓〓〓〓〓〓〓〓〓〓〓〓〓〓〓〓〓
해마는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마를 잘라낸 사람은 15초 전의 일까지만 기억하고 그 이후의 일은 기억하지를 못한다
해마는 대뇌 신 피질의 신경세포를 통합관리하는 중심서버라고 생각하면 된다.
술을 마시고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일명 필름 끊기는 것)은 단기기억을 저장하는 해마의 손상 때문.
≪ … 중 략 … ≫
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 공포
╋━━━━━━━━━━─────────
-PTSD
정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전쟁, 폭행, 자연재해, 사고, 강간 등의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적인 재 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
추천자료
[체계][체계이론][가족 체계이론][기억 체계이론][범죄 체계이론][정당 체계이론]체계의 구조...
[체계이론][기억 체계이론][정당 체계이론][문학 체계이론][PR패러다임 체계이론]체계이론 정...
인간의 정보처리 기억시스템, 장기기억화, 보고서작성, 경력계발
효과적인 나만의 기억법을 심리학의 기억법과 비교 논의
[교육심리]단기기억(기억 · 망각 · 파지) - 내 머릿속의 지우개
[영화를 통한 리더십모형] 영화 <타이탄들을 기억해라(리멤버 타이탄/Remember The Titans)>...
미녀는석류를좋아해,기억인출마케팅,기억마케팅,소비자지각마케팅,지각마케팅
[영화 분석] 기억은 기억으로 증명되는가? - 영화 『메멘토(Memento)』
[전산학 개론]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에 대한 개념과 종류
발달심리학[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지능 및 기억발달 1] 제1장 발달심리학의 학문적 특성 ...
[유아기 주의발달 및 기억발달] 유아의 주의발달, 유아의 기억발달
[유아의 기억발달] 유아기 기억발달
[노인복지] 노년기 지적능력의 변화와 학습 및 기억 과정의 변화(학습 능률과 노화와의 관계,...
오기억이 발생되는 원인이 무엇인지 기술하고, 자신이 경험 했던 오기억이나 또는 오기억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