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전도의 정의
2. 심장의 전기적 생리
Ⅰ. 심장의 심전도계
Ⅱ. 심장의 전기활동
Ⅲ. 심전도의 기본파형과 의미
3. 심전도 유도
4. 심전도 해석
- 문헌고찰
2. 심장의 전기적 생리
Ⅰ. 심장의 심전도계
Ⅱ. 심장의 전기활동
Ⅲ. 심전도의 기본파형과 의미
3. 심전도 유도
4. 심전도 해석
- 문헌고찰
본문내용
운 부위에서 심전도를 기록하는 장점이 있으며 흉부유도는 전극을 정확한 위치에 부착해야하는 주의가 있다.
4. 심전도 해석
심박동수의 측정
심전도 그래프상의 RR간격이나 PP간격을 파악함으로써 심박동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RR=PP 이며, 이 간격은 심박동의 1주기에 해당된다. 쉬운 계산 방법으로는 300을 PP사이 혹은 RR사이의 큰 네모칸의 수로 나눈 것과 같다. 심박동수가 불규칙할 때는 심전도 용지에 3초마다 표시되어 있는 선을 중심으로 6초 동안의 QRS군을 센 후 10을 곱하면 계산 할 수 있다.
심장리듬
심전도 상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이 리듬의 변화를 관찰 하는 것이다. P파나 R파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나타날 때는 심실의 리듬은 규칙적이며, 불규칙한 리듬에서는 RR간격의 연속이 불규칙하거나 파형의 변화가 순서대로 출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 파형 및 진폭의 이상상태를 파악함이 중요하다.
①파형의 출현: 심전도에서 정상적으로 P파는 QRS군 앞에 나타나며 외형이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동방결절에서의 자극 형성과 전도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는 P파와 QRS군의 모양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비정상적으로 자극이 심방이나 방실 접합부, 심실 등에서 일어나는 이소성박동에서는 P파가 QRS군에 가려서 나타나지 않거나 변형 혹은 거꾸로 나타난다. QRS군은 동방결절이나 심방 혹은 방실 접합부에서 장애가 일어나도 심실 수축이 정상인 부정맥에서는 규칙적으로 나타나나 심실성 부정맥의 경우에는 변형되어 나타난다.
②심전도 간격: 심전도 파형 간의 간격이 지연되어 있으면 심방에서 심실로의 자극전도에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고 단축되면 심방에서 심실로의 자극 전도가 비정상적인 경로로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③ST 분절의 변화: 심전도 그래프 선상의 기저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승과 저하는 mm로 측정된다. ST분절의 상승과 저하는 심근손상, 전해질 불균형, 디기탈리스 중독 등을 의미한다.
심장비대
①심방 비대: P파는 심방의 흥분과정을 나타내고 심방의 수축과 관계가 있어 심방에 문제가 생기면 P파의 모양이나 폭이 변한다.
- 우심방 비대: P파의 폭은 넓어지지 않지만 높이가 증대되며 모양이 뾰족해진다.
- 좌심방 비대: 좌심방의 흥분이 연장되므로 정상보다 P파의 폭이 넓어진다. 특히, 유도Ⅰ,Ⅱ에서 P파의 폭이 증대되고 P파가 분열된다.
②심실 비대: 심실이 비대해지면 심실벽이 흥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심전도상에서 QRS군의 높이가 증대되고 QRS군과 심실 흥분시간이 연장되며 ST분절과 T파가 변한다.
- 좌심실 비대: 특징적 소견은 V5, V6에서 QRS군의 파가 높아지고 폭이 넓어지며 ST분절이 하강되고 T파가 이봉성 내지 역전 된다.
- 우심실 비대: V1, V2에서 QRS군의 R파의 높이가 커지고 폭이 넓어진다. V5, V6에서는 깊은 S파를 볼 수 있으며 ST분절과 T파의 변화는 좌심실 비대때 보다는 뚜렷하지 않으며 V1, V2에서는 ST분절과 T파가 QRS군의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심근경색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장으로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심근조직에 괴사가 오는 상태이며 심전도 상에서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심근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심근경색 부위의 조직학적인 변화는 제일 가운데 부분이 괴사층, 중간 부분은 상해층, 외측의 허혈층 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문헌 고찰
- 네이버 지식 백과
- http://ceoyangsj.blog.me/100161559488
- http://ceoyangsj.blog.me/100161811086
- 성인간호학 (수문사)
4. 심전도 해석
심박동수의 측정
심전도 그래프상의 RR간격이나 PP간격을 파악함으로써 심박동수를 측정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RR=PP 이며, 이 간격은 심박동의 1주기에 해당된다. 쉬운 계산 방법으로는 300을 PP사이 혹은 RR사이의 큰 네모칸의 수로 나눈 것과 같다. 심박동수가 불규칙할 때는 심전도 용지에 3초마다 표시되어 있는 선을 중심으로 6초 동안의 QRS군을 센 후 10을 곱하면 계산 할 수 있다.
심장리듬
심전도 상에서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이 리듬의 변화를 관찰 하는 것이다. P파나 R파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나타날 때는 심실의 리듬은 규칙적이며, 불규칙한 리듬에서는 RR간격의 연속이 불규칙하거나 파형의 변화가 순서대로 출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 파형 및 진폭의 이상상태를 파악함이 중요하다.
①파형의 출현: 심전도에서 정상적으로 P파는 QRS군 앞에 나타나며 외형이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동방결절에서의 자극 형성과 전도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는 P파와 QRS군의 모양이 변형되어 나타난다.
비정상적으로 자극이 심방이나 방실 접합부, 심실 등에서 일어나는 이소성박동에서는 P파가 QRS군에 가려서 나타나지 않거나 변형 혹은 거꾸로 나타난다. QRS군은 동방결절이나 심방 혹은 방실 접합부에서 장애가 일어나도 심실 수축이 정상인 부정맥에서는 규칙적으로 나타나나 심실성 부정맥의 경우에는 변형되어 나타난다.
②심전도 간격: 심전도 파형 간의 간격이 지연되어 있으면 심방에서 심실로의 자극전도에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고 단축되면 심방에서 심실로의 자극 전도가 비정상적인 경로로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③ST 분절의 변화: 심전도 그래프 선상의 기저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승과 저하는 mm로 측정된다. ST분절의 상승과 저하는 심근손상, 전해질 불균형, 디기탈리스 중독 등을 의미한다.
심장비대
①심방 비대: P파는 심방의 흥분과정을 나타내고 심방의 수축과 관계가 있어 심방에 문제가 생기면 P파의 모양이나 폭이 변한다.
- 우심방 비대: P파의 폭은 넓어지지 않지만 높이가 증대되며 모양이 뾰족해진다.
- 좌심방 비대: 좌심방의 흥분이 연장되므로 정상보다 P파의 폭이 넓어진다. 특히, 유도Ⅰ,Ⅱ에서 P파의 폭이 증대되고 P파가 분열된다.
②심실 비대: 심실이 비대해지면 심실벽이 흥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심전도상에서 QRS군의 높이가 증대되고 QRS군과 심실 흥분시간이 연장되며 ST분절과 T파가 변한다.
- 좌심실 비대: 특징적 소견은 V5, V6에서 QRS군의 파가 높아지고 폭이 넓어지며 ST분절이 하강되고 T파가 이봉성 내지 역전 된다.
- 우심실 비대: V1, V2에서 QRS군의 R파의 높이가 커지고 폭이 넓어진다. V5, V6에서는 깊은 S파를 볼 수 있으며 ST분절과 T파의 변화는 좌심실 비대때 보다는 뚜렷하지 않으며 V1, V2에서는 ST분절과 T파가 QRS군의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심근경색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장으로의 혈류가 완전히 차단되기 때문에 심근조직에 괴사가 오는 상태이며 심전도 상에서 QRS군, ST분절, T파의 현저한 변화가 심근 허혈과 경색의 시간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심근경색 부위의 조직학적인 변화는 제일 가운데 부분이 괴사층, 중간 부분은 상해층, 외측의 허혈층 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문헌 고찰
- 네이버 지식 백과
- http://ceoyangsj.blog.me/100161559488
- http://ceoyangsj.blog.me/100161811086
- 성인간호학 (수문사)
추천자료
중환자 간호의 이해
심장의 구조 및 기능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근경색(심근경색증)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원인, 심근경색(심...
[심근경색][심근경색증][심장][심장질환]심근경색(심근경색증)의 정의, 심근경색(심근경색증)...
운동부하검사
검사와 간호
심장의 구조
심폐뇌소생술
SICU질환명, 주요검사, 약, 의학용어 ( 승모판 협착증,폐색전증,담낭염)
부정맥(arrhythmia) 및 치료
[Dankook Sports Medicine] 07. Abnormalities of the EKG.ppt
심근경색 & 허혈성질환.pptx
기능검사의 이해
[노인복지론]노인에 적합한 운동부하검사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여 주십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