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의 구조 및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장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심장의 구조(1)
심장의 구조(2)

심근의 특성(1) : 형태적 특성
심근의 특성(2) : 기능적 특성

심전도 (EKG)
심장의 펌프기능
심장반사(Cardiac reflex)

본문내용

이 시기에 차게 됨.
7. 분리기(reduced ventricular filling phase)
심방의 혈액이 비워지면서 심실내 혈액이 차면서 혈액유입이 줄어드는
시기. 심방수축 시작전 까지 시기
심음(Heart sound)
1. 제1심음(S1)
방실판 폐쇄에 의한 소리
심방수축후 심실수축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순간 30-45Hz의 낮은 소리로 들림
2. 제2심음(S2)
반월판 폐쇄에 의한 소리
심실수축후 대동맥판, 폐동맥판이 닫히면서 나는 소리
60-70 Hz로 제1심음보다 높으며 지속시간이 더 짧다.
3. 제3심음(S3)
확장기 심음으로 제2심음보다 0.1-0.2초후 들림
심실의 급속충만기 끝에 심실로 유입되는 혈액이 심실을 진동시켜서 나는 소리
4. 제4심음
심방수축전 혈액이 열린 방실판을 흐르며 내는 낮고 약한 소리
*3음과 4음은 정상인에서는 듣기가 매우 힘듭니다.
3음의 경우 임산부, 소아,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혈액순환이 빨라지는 경우 정상적으로 들리기도 합니다.
심장반사(Cardiac reflex)
심장중추 : 연수에 위치, 혈압조절
1. 심장촉진중추
2. 심장억제중추
감압반사(Depressor reflex)
혈압상승 경동맥동(carotid sinus), 대동맥궁(aortic arch)에서 압력감지 경동맥동신경, 심장감압신경을 통해 심장억제중추에 전달 미주신경을 통하여 심박동수, 심박출량 감소 혈압하강
승압반사(Pressor reflex)
정맥환류 증가 우심방, 대정맥의 팽창 우심방, 대정맥의 신경총을 통해 심장촉진중추에 전달 심장촉진중추 흥분 교감신경흥분 심박동수, 심박출량 증가 혈압상승

키워드

심장,   심실,   심방,   판막,   심전도,   심장반사,   EKG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5.1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