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6.29선언
2. 7~9월 노동자 대투쟁
3. 6월 민주화 운동의 의의
2. 7~9월 노동자 대투쟁
3. 6월 민주화 운동의 의의
본문내용
움에서 고향싸움으로 변질되었다. 6월항쟁으로 독재정권의 사슬이 무디어지고 반공 이데올로기가 약화되면서 그 자리를 지역주의가 꿰어차고 들어와 앉아버린 것이다. 대한항공기 폭파사건이나 노태우의 부정선거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삼 김의 지역주의를 등에 업은 분열과 싸움에 노태우만이 어부지리로 다시 정권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한국의 군부정권은 그 만큼의 생명을 연장시키게 되었고 진정한 정권교체는 후일로 미루어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 3권』. 인물과 사상사. 2003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소나무. 1993
김영명. 『한국 현대 정치사』. 을유문화사. 1999
정해구 외. 『6월 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 민주화 운동 기념 사업회. 2004
<참고문헌>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 3권』. 인물과 사상사. 2003
박현채.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소나무. 1993
김영명. 『한국 현대 정치사』. 을유문화사. 1999
정해구 외. 『6월 항쟁과 한국의 민주주의』. 민주화 운동 기념 사업회.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