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우수자료★, 고려의 토지제도] 토지 국유제론과 토지 사유제론에 대한 논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우수자료★, 고려의 토지제도] 토지 국유제론과 토지 사유제론에 대한 논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1 p

Ⅱ.주제선정 이유…2 p

Ⅲ.토지 국유제론…3 p
 1.토지 국유제론의 의의…3 p
 2.토지 국유제론의 근거…3 p
 3.사료를 통해 본 지배관료의 토지관념…5 p

Ⅲ.토지 사유제론…6 p
 1.토지 사유제론의 의의…6 p
 2.토지 사유제론의 대두배경…6 p
 3.근거 및 내용…6 p
 4.고려시대 시전의 종류…7 p
 5.사유제론에 입각한 고려후기 농장의 성격…9 p

Ⅳ.결론…10 p

본문내용

. 토지사유제론은 통일신라기에 경문왕이 부왕의 장지를 마련하기 위해 절의 땅을 사들이면서 “비록 王土이기는 하나 公田이 아니므로 좋은 값을 쳐서 사 들인다”고 하는 기록을 남기고 있는 비문과 고려시대의 공전과 구분되는 사전과 민전이 있었다는 점, 또 고려시대 토지제도인 전시과제도에서 개인에게 세습되는 공음전과 같은 개인소유지의 토지들을 있었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토지사유제론에 대한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토지사유제론은 국유제론을 비판하면서 생성된 이론이므로 사유제론 자체에 대한 이론적 내용들에 살짝 소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토지국유제론과 토지사유제론에 대해 조사해봤지만 고려시대의 토지의 성격을 둘 중 어떤 것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한지 결론을 내리는 건 쉽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리포트를 통해 앞으로 중세시대의 토지성격을 규정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위에서 지적한 토지 국유제론과 사유제론 각각의 입장이 가지는 한계점들을 보완하고 좀 더 객관적이고 명확한 사료와 자료들을 통해 지금보다 한 층 더 발전된 연구를 진행시키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참고문헌
李佑成,『韓國 中世 社會 硏究』,(一潮閣,1994), p.3
朴龍雲,『高麗 時代史(上)』,(一志社, 1996), pp.177~8
박용운, 『고려사회의 여러 역사상』,(신서원, 2002), pp.280~1
강만길 等著,『한국사5』,(한길사, 1995), pp.294~5
『고려사』권78,「식화지」전제 녹과전조
박시형 ,『한국사와 토지(上)』,(신서원, 1998), pp.309
박시형 ,『한국사와 토지(上)』,(신서원, 1998), pp.309~10
이우성, 1965, 「신라의 왕토사상과 공전」
박용운, 「귀족사회의 경제구조」『고려시대사 (상)』, 일지사, 1985, p.206
박시형, 「고려왕조전기의 봉건적 토지제도」『한국사와 토지 (상)』, 신서원, 1998, p.255
『고려사』제 78권 식화지(食貨地)1 전제(田制) 공음전시(功蔭田柴) 문종(文宗) 3년
-전자도서관 KRpia '고려사 본문 내용‘
박용운,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p.278~280
느낀 점
솔직히 지금까지는 고려시대의 토지가 국유지인지, 사유지인지 별 관심이 없었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조사를 하면서 역사에 다시 한 번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토지가 한 사회의 근간인만큼 그 토지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이고 의미 있는 일인지 깨달을 수 있었다. 나는 처음에 주제를 선정했을 때부터 막연히 토지사유제론 입장이었는데 조사를 하면서 국유제론의 내용과 근거들을 보면서 어느 입장이 타당한 지 선택하기 어려워졌다. 이번 과제를 통해서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 정비되어 가는 과정에서 사회 경제적으로나 국가체제유지 측면에서 토지가 갖는 위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었고 토지의 성격을 규정하는 일이 얼마나 큰 의미를 갖고 있는 것인지 느낄 수 있었다.
아예 다 처음 보는 조원들과 팀플을 하게 돼서 처음에는 모이기도 어렵고 의견을 말하고 통일시키기 어려워 난감하기도 했지만 서로 다른 생각들을 들어보며 맞춰나가다 보니 팀플을 통해 여러 가지 배울 수 있었고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
토지국유제설을 조사하면서 각각의 주장들이 그 시대 상황에 맞추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대한 같은 역사적 주제도 전제왕권시절, 일제강점기 시절, 사회주의가 득세하던 시절 모두 그 시대 상황에 발맞춰 내용이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역사는 그 시대 상황에 유리하게 작용되기 위하여 해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 토지제도에 대해 조사하면서서 각 주장의 근거나 기반이 된 사료들이 대부분 왕이나 지배층들의 의견을 담은 것 들이여서, 당시 일반 농민들이 토지를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보았는지에 대한 사료가 불충분했습니다. 실제 고려농민들의 생각을 담은 사료가 남아 있지 않기에 조사하기 어렵겠지만, 중국등 인접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그 당시 농민들의 생활상을 파악하고 조사하는 것도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공이 경제학과라서 대학에 온 후 역사는 경제사, 경제학설사 밖에는 들어본 적이 없다. 그래서 '역사'라고 하면 중학교, 고등학교 때 시험 보던 식으로 무조건적인 암기가 역사공부의 전반인줄 알았다. 암기력이 약한 나에게 역사란, 두렵고 재미없고 지루한 과목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학교를 3년간 다니면서 교양을 역사보다는 철학을 철학보다는 문학 및 사회과학을 찾아 들었다. 그런데 이번 학기 '한번 들어볼까?' 라는 마음으로 수강신청을 해서 수업을 들으며 조금이나마 역사공부에 대한 편견을 버릴 수 있었다. 또한 이번 리포트를 준비하며 역사가들 사이에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학과 공부를 하며 케인즈 주의자와 시장경제 주의자 더러는 사회주의자 까지 학파별 논란이 있는 분야가 있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그런데, 과거를 연구하는 역사는 의견 통일이 용이 할 줄 알았는데 우리가 과거에 살아보지 않은 만큼 더욱 큰 논란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따라서 리포트 작성을 하면서 다른 의견이 많다는 것과 논쟁에 있어서 꼭 한사람이 옳고 다른 사람이 그르다 가 아닌 둘 다 일리가 있기 때문에 논란이 벌어진다는 점을 알았다.
이번 리포트를 준비하면서 다른 역사에 비해서 약간은 관심을 덜 기울였던 고려사에 대해서 좀 더 알아 갈수 있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른 강의에서 교수님이 “역사는 승자에 의해서 쓰인다.”라는 말처럼 오늘날까지 남겨진 고려시대의 역사는 조선시대에 살았던 학자들에 의해서 쓰인 역사서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려시대의 역사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교육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사료를 사용한 교육을 하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역사사료를 많이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심하게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고려시대의 역사를 부정적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고려시대에 관련된 사료를 조사를 하면서 고려가 체제 내에서 가지고 있던 부정적인 시스템을 나름대로 고치려고 노력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