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와 삼국시대의 교육 & 고려시대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대사회의 교육

2. 삼국시대의 교육

3. 통일신라 교육

4. 고려 교육

본문내용

-> 12도를 중심으로 좌주문생座主門生 관계 맺어져 파당 조성.
② 서당
-지방의 사립학교
-교육내용 : 초급에서 과거준비수준까지 다양
-서민교육의 보급과 민중교화
4) 교육 사상가
①지눌
-돈오(순간적인 깨달음, 비연속적 교육가능성) 점수(점진적 개선, 연속적 교육가능성)
<수심결>에 돈오점수가 등장한다. 자신의 마음에 대한 확신과 그 실현을 이상으로 하는 수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틀은 깨달음과 닦음이다. 올바른 수도는 먼저 마음의 바탕을 분명히 깨치고 나서, 그 깨침에 의지해 점점 닦아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중생들이 어리석어 사대(四大)를 몸이라 하고 망상을 마음이라 하여, 자기 성품이 참 법신인 줄 모르고 자기의 신령스런 지혜가 진짜 부처인 줄을 모르고 있다. 그래서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아 이리저리 헤매다가 선지식의 가르침을 받고 바른 길에 들어 한 생각에 문득 마음의 빛을 돌이켜 자기 본성을 본다. 번뇌 없는 지혜가 본래부터 갖추어져 모든 부처님과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아는 이것을 돈오라 한다.'
그러므로 돈오란 마음이 곧 부처라는 자기 존재에 대한 확신이다. 그러면 한번 깨쳤으면 그만이지 어째서 닦음이 또 필요하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서 『수심결』에서는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본성이 부처와 다름이 없음을 깨닫기는 했지만, 끝없이 익혀온 버릇은 갑자기 없애기가어렵다. 그러므로 깨달음을 의지해 닦고 차츰 익혀서 공이 이루어지고 성인의 모태 기르기를 오래 하면 성(聖)을 이루게 되는 이것을 점수라 한다.'
또 이 가르침에는 바르게 알아야 바르게 행할 수 있다는 뜻도 함께 지니고 있다. 바른 행이란 우리들 일상적인 삶이다. 그렇다면 깨달음과 닦음은 별개의 것이 아니고 상호 보완하는 두 수레바퀴와 같은 것이다. 또 깨달음과 닦음의 관계는 불교의 근본 가르침인 지혜와 자비에 일치한다. 자비가 없는 지혜는 메마른 것이고, 지혜가 없는 자비 또한 맹목에 흐르기 쉽다. 깨달음과 닦음은 종교적인 주장이기에 앞서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눈을 떠야 바른 길을 갈 수 있다는 말이다.
진심직설(眞心直說)』은 실제로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친절한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물음과 대답(사실은 자문자답이다)의 형식으로 된 이 글은 스님의 방대한 독서량을 마음껏 활용하면서 진심(眞心), 곧 무심(無心)을 배우고 익히는 후학들에게 밝은 스승의 역할을 해 준다.특히 진심을 드러내기 위한 열 가지 공부는 참으로 뛰어난 법문이다. 스님은, 이 열 가지 무심 공부를 반드시 순서적으로 모두 갖추어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 특색이다.
'그 중 한 가지 길을 골라 공부를 성취하면 그릇된 마음이 사라지고 진심이 드러날 터이니, 자신의 근기와 취향에 맞추어 익혀 가라. 이 망심(妄心)을 쉬는 법문이 가장 긴요하기 때문에 말이 많아진 것이니 글이 번거롭다고 탓하지 말라.'
그것이 참다운 수행이요, 무심이요 무위이다. 무위란 먼저 번뇌의 성품이 공함을 이미 깨친 까닭에 다스려지는 습기(習氣)가 주관과 객관을 따라 지음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무위는 동시에 소득이 없다. 만일 참된 것이다, 헛된 것이다 하는 것이 모두 소득이 없음을 깨닫게 되면, 소득이 없음을 아는 자도 또한 소득이 없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면 화로 위에 놓인 한 점의 눈송이 와 같게 된다.
②안향
-교육이념 : 주자학의 터전마련
우리나라에 주자성리학을 처음 전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교육목적 : 인재양성, 인륜실현 강조
-교육적 인간상 : 공경과 성실에 충실한 인간, 도덕적·윤리적 인간
-교육방법 : 지행사상 강조, 비유사용, 표리일치 중시, 불교배척
-섬학전 제도 : 양현고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12.1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1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