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환상동화란
2. 관심있는 주제(환상동화)와 관련된 그림책
1) 작가소개 - 앤서니 브라운
2) 줄거리
(1) 거울 속으로
(2) 고릴라
(3) 특별한 손님
(4) 터널
3) 서평
(1) 거울 속으로
(2) 고릴라
(3) 특별한 손님
(4) 터널
3. 그림책 중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그림책에 대한 자신의 감상평
1)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대상
2)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연령
3)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성별
4) ‘고릴라‘를 추천하고자 하는 이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환상동화란
2. 관심있는 주제(환상동화)와 관련된 그림책
1) 작가소개 - 앤서니 브라운
2) 줄거리
(1) 거울 속으로
(2) 고릴라
(3) 특별한 손님
(4) 터널
3) 서평
(1) 거울 속으로
(2) 고릴라
(3) 특별한 손님
(4) 터널
3. 그림책 중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그림책에 대한 자신의 감상평
1)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대상
2)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연령
3) ‘고릴라‘를 추천하고 싶은 사람의 성별
4) ‘고릴라‘를 추천하고자 하는 이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느끼고 다른 세계가 존재함을 깨닫게 하여 공포를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환상세계를 통한 감정의 경험이 현실세계에서 안정감의 결핍을 느끼고 이에 대한 불만이 생겨 이들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게 된다. 인간은 환상세계에서 불안함과 낯설음을 동시에 경험하고 이러한 경험에 의해 낯익음이 가능하다. 낯설음에서 시작된 낯익음은 인간을 억압된 요소로부터 자유롭게 한다. 환상을 통해 불안, 불만 등의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사고의 전환을 할 수 있는 경험은 현실 사회에서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환상세계의 심리적 자극에 대해 경험을 통해 스스로 조절가능하게 되면서 자기인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환상세계는 현실세계와 동떨어진 것이 아닌 현실세계를 재현한 공간이기 때문에 환상세계에서의 경험은 현실세계의 경험과 동일시되어 사회화의 기회를 얻게 되는데 이것이 환상동화의 자아실현의 기능이다. 환상동화의 자아실현은 억압된 현실을 초월하여 규칙과 규범이 없는 자유로운 세계에서 현실의 제약이 없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알게되는 기회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관심있는 주제(환상동화)와 관련된 그림책 3권 이상을 선정한 후, 선정한 그림책의 작가, 줄거리, 그림책과 관련된 서평 등에 대한 설명과 선정한 그림책 중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그림책에 대한 자신의 감상평을 제시해 보았다. 환상동화의 사회화 기능은 현실사회의 억압과 구속에서 발생되는 불만과 불안의 해결책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규칙과 규범을 따르는 동시에 체제를 무너지게 하는 이중적 특징 때문에 사회의 규범을 주입하면서 동시에 규범을 파괴가 가능하다. 즉, 사회화를 위해 만들어진 문학이 사회를 전복하여 사회의 문제점을 보여주어 이를 통해 사회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환상동화의 환상세계는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인간의 욕망은 역설의 긍정으로 이해 될 때 새로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욕망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자하는 인간의 의지이다. 욕망이 존재한다는 것은 주어진 환경이 있는 것을 뜻하며 현실에서의 타협이나 해결이 가능하다면 환상세계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환상세계는 현실의 모습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나 불만을 포함하고 있다. 환상세계에서는 현실의 문제와 동일한 모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실에서 불가능한 행동인 규범이나 규칙을 지키지 않아도 되는 행동으로 현실과 다른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한다. 환상세계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덕성이 어긋나는 행동은 환상세계가 현실의 도덕성의 제약을 무시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참고문헌
이성훈, 동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앤서니 브라운, 고릴라, 1998.
앤서니 브라운, 거울속으로, 2006
이유선, 판타지문학의 이해, 역락, 2005.
이재복, 판타지 동화 세계, 사계절, 2002.
이정우, 사건의 철학, 철학아카데미, 2003.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관심있는 주제(환상동화)와 관련된 그림책 3권 이상을 선정한 후, 선정한 그림책의 작가, 줄거리, 그림책과 관련된 서평 등에 대한 설명과 선정한 그림책 중에서 가장 추천하고 싶은 그림책에 대한 자신의 감상평을 제시해 보았다. 환상동화의 사회화 기능은 현실사회의 억압과 구속에서 발생되는 불만과 불안의 해결책을 포함하고 있다. 사회규칙과 규범을 따르는 동시에 체제를 무너지게 하는 이중적 특징 때문에 사회의 규범을 주입하면서 동시에 규범을 파괴가 가능하다. 즉, 사회화를 위해 만들어진 문학이 사회를 전복하여 사회의 문제점을 보여주어 이를 통해 사회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환상동화의 환상세계는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인간의 욕망은 역설의 긍정으로 이해 될 때 새로운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욕망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자하는 인간의 의지이다. 욕망이 존재한다는 것은 주어진 환경이 있는 것을 뜻하며 현실에서의 타협이나 해결이 가능하다면 환상세계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환상세계는 현실의 모습을 바탕으로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나 불만을 포함하고 있다. 환상세계에서는 현실의 문제와 동일한 모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실에서 불가능한 행동인 규범이나 규칙을 지키지 않아도 되는 행동으로 현실과 다른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한다. 환상세계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덕성이 어긋나는 행동은 환상세계가 현실의 도덕성의 제약을 무시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참고문헌
이성훈, 동화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3.
앤서니 브라운, 고릴라, 1998.
앤서니 브라운, 거울속으로, 2006
이유선, 판타지문학의 이해, 역락, 2005.
이재복, 판타지 동화 세계, 사계절, 2002.
이정우, 사건의 철학, 철학아카데미, 2003.
추천자료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중국사
한젬마의 '그림 읽어주는 여자'에 대한 서평
기미꼬 방식의 -그림을 그린다는 것을 읽고
이명옥 교수의 '그림 읽는 CEO'에 대한 독후감(A+서평)
(아동문학) 그림형제와 샤를페로
백설공주를 읽고 (그림형제)
이주은의 '그림에 마음을 놓다'를 읽고
영유아를 위한 좋은 그림책의 선정 기준을 기술하고, 5권(0-2세 2권, 3세 1권, 4-5세 2권)을 ...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주겠니
비트겐슈타인의 그림이론
치료 그림카드 요구하기 활동이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구문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 그림일기 쓰기 수업 시 발생하는 학습 효과와 문제점
평가인증 만4세 11월 프로젝트/그림과조각 보육일지 (보육실습일지)
유아문학의 장르와 그림책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