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 대상자 교육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 대상자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재활 환자의 심리 3
2. 수동적 관절운동 4
3. 기능 증진 기구 13
4. 욕창단계, 관리 18
5. 신경인성방광 관리 22

본문내용

하면서도 박테리아나 미생물은 투과되지 못하게 한다. 이는 상처표면에 백혈구가 응집되고 상처의 표피세포 증식을 용이하게 해줄 뿐 아니라 괴사된 조직의 자가분해를 쉽게 한다. 상처가 있는 상태에서 붙이고 목욕이 가능하며, 마찰로 상처가 생길 위험성이 있는 곳에 사용하면 예방할 수 있다. (op-site, tegaderm)
3) 수성 콜로이드(hydrocolloids) 드레싱
겔을 형성하여 상처표면을 촉촉하게 하고 괴사조직을 자연분해하며 외부의 박테리아로부터 보호하는 폐쇄성 드레싱으로 방수가 되므로 목욕이 가능하다. 상처에 적절한 사이즈를 사용하고 3~7일 마다 교환한다. (듀오덤, 테가솝, 컴필)
〔그림 4〕
4) 하이드로겔(hydrogel) 드레싱
건조된 반흔 부위에 수분을 공급해서 자가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상처를 시원하고 부드럽게 하여 상처의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 효과적이지만 삼출물이 많은 경우는 적용이 어렵다. 12~24시간마다 교환해 주어야하고 2차 드레싱이 필요하다.(듀오덤겔, 인트라사이트겔, 테가겔)
〔그림 5〕
5) 칼슘알지네이트 드레싱(Calcium Alginate) 드레싱
지혈성분 함유로 출혈성 상처의 지혈을 촉진시켜주고 삼출물 흡수력이 뛰어나 삼출물이 많은 욕창의 사강을 줄이기 위해 팩킹용으로 사용한다. 2차 드레싱이 필요하고 건조한상처나검게죽은조직이덮힌상처에는부적합하다.(칼토스테트, 솝산, 테가겐)
5. 신경인성 방광 관리
(1) 신경인성 방광
1) 신경인성 방광이란?
방광과 요도괄약근을 지배하는 중추신경 및 말초신경의 손상이나 질환으로 초래되는 배뇨
기능의 장애.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할 경우 이차적으로 수신증, 만성신부전, 요도감염 등
의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사망 원인이 될 수 있다.
2) 배뇨장애의 형태
▶상부운동신경방광
- 반사나 경직성방광으로 상부운동신경 손상의 결과로 일어난다.
- 뇌에서 척수로 신호전달시 어떤 자긍에 의해 방광이 반사적으로 수축되어 배뇨가 이루어짐. 이러한 경우 방광 내 압력이 높아져 실금이 생기게 된다.
(그림6-1) 상위 운동신경인성 방광
▶하부운동신경방광
- 하부운동신경의 손상으로 무반사형 방광을 초래한다.
- 소변이 방광에 차는 것을 느끼지 못하므로 스케줄에 의한 배뇨를 하고 다량의 소변이 차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림6-2) 하위 운동신경인성 방광
3) 신경인성 방광 관리의 목적
① 배뇨 작용을 관장하는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정상적인 소변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배뇨훈련을 통해 가능한 한 정상적으로 방광기능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② 1일 배뇨량이 1400cc~1500cc정도 되게 하며 1회 소변양은 400cc~500cc
넘지 않게 하고 잔뇨량이 80cc이하가 되도록 한다.
③ 요로계의 합병증을 예방한다.
④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불편감을 해소하여 사회생활에 지장이 없고 다른 사람의 도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뇨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4) 방광기능 평가 방법
① 병력 및 신경학적 검사
배뇨의 빈도, 뇨실금 여부, 요로계 감염병력 여부 등을 파악하고 뇨의를 느낄 수 있는지,
소변이 배출될 때 느낌이 있는지 등을 검사한다.
② 방광기능 검사
▶ 소변검사:감염여부 및 세균 유무를 측정한다.
▶ 초음파 검사:방광이나 신장의 모양과 결석 유무를 검사한다.
▶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방광요관 역류, 방광용적, 방광의 모양, 소변 배출방법, 잔뇨 측정
5) 방광훈련 방법
① 무도관 방광훈련 ( time voiding )
▶ 적절한 수분 섭취:하루 세 번 식사 때마다 400cc, 식사와 식사 사이에 각 200cc씩 수분을 섭취하되 저녁 8시 이후에는 수분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하루에 섭취해야할 수분의 양은 2000cc정도이나 방광에 염증이 있을 경우에는 3000cc이상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② 배뇨 유도방법
▶ 힘주기(Valsalva method):한손으로 배를 누르면서 대변을 보는 것처럼 힘을 주는 방법으로, 힘을 주었다가 1분 정도 쉰 후 다시 시행한다.(단 고혈압 환자는 금기)
▶ 누르기(Crede method):주먹 쥔 손으로 배꼽 1인치 하방에 대고 꼬리뼈 쪽을 향해 배를 누른 뒤 다시 아래쪽으로 누르는 방법. 하부운동신경 방광관리에 효과적이다
▶ 두드리기(Percussion):손끝으로 가볍게 치골상부를 두드리는 방법으로 상부운동신경
방광이나 혼합형 방광관리에 효과적이다.
▶ 항문 자극법:배변 자극할 때처럼 손가락으로 항문을 꾹꾹 눌러서 자극한다.
▶ 기타:음모 잡아당기기, 물 흐르는 소리 들려주기 등의 배뇨방법이 있다.
③ 간헐적 도뇨 방법 (넬라톤 도뇨법)
▶ 넬라톤 도뇨의 목적
방광의 규칙적인 배뇨훈련
유치도뇨로 인한 감염, 외상, 결석 등의 방지
소변 배출이 안되는 경우 소변 배출을 목적으로 한다.
▶ 휴대용 넬라톤 사용법 (2002 벤쿠버 국제 척추손상학회: 멸균->청결도뇨법)
넬라톤 뇨관을 비누로 잘 씻어서 소독액이 담겨 있는 튜브에 넣어 두었다가 사용한다.(이때 흔히 사용하는 소독액으로는 히비클린:생리식염수를 1:10으로 희석한 소독액이 있다.)
넬라톤 사용 후에는 넬라톤을 비누로 씻어서 보관튜브에 넣는다.
소독용액 교체시기는 1주일에 1회 정도이며, 한달에 한번 넬라톤을 끓여서 사용한다.
(2) 방광관리에 사용되는 약 (방광용적 늘리기에 사용)
1) 디트로판, BUP-4, Detrusitol (Anticholenergic Drug)
① 작용:방광용적을 증가시키고 방광근육을 이완시키며 실금 감소의 효과가 있다.
② 용도:밤 동안 배뇨억제, 반사성, 신경인성 방광에 기인한 빈뇨, 절박실금 치료
③ 부작용:입이 마르고 졸림, 땀분비 억제, 흐릿한 시야, 배뇨장애, 심계항진,
안압상승, 오심, 구토
2) 하이트린(Adrenergic blocking agent)
① 작용:방광근과 괄약근에 대한 교감신경계의 영향을 억제한다.
② 용도:방광을 완전히 비우도록 돕고 자율적 이상반사를 억제한다.
③ 부작용:기립성 저혈압, 위장장애, 빈맥, 현기증, 피로
3) 발륨, 바크로펜 : 외요도 괄약근이 열리지 않을 경우 사용한다.
4) imipramine: 실금이 같이 문제될때 사용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10.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