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상업예술, 어떻게 인정할 것인가
1. 상업예술의 정의
2. 상업예술의 역사
a. 바로크 시대에 등장하는 신 시장
b. 당시 17~18세기의 대표적인 화가 - 루벤스와 호가스, 렘브란트의 상업적 면모
c.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
3. 대표 작가와 작품
a. 존 하트필드 [John Heartfield, 1891. 6. 19~1968. 4. 26]
b. 앤디 워홀 [Andy Warhol, 1928.8.6~1987.2.22]
c. 신디 셔먼 [Cindy Sherman, 1954~]
d. 강영민
4. 상업예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앤디 워홀을 중심으로 한 상업 예술에 대한 평가
⌧아서 C.단토 : 예술 종말론
5. 토론
1. 상업예술의 정의
2. 상업예술의 역사
a. 바로크 시대에 등장하는 신 시장
b. 당시 17~18세기의 대표적인 화가 - 루벤스와 호가스, 렘브란트의 상업적 면모
c.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
3. 대표 작가와 작품
a. 존 하트필드 [John Heartfield, 1891. 6. 19~1968. 4. 26]
b. 앤디 워홀 [Andy Warhol, 1928.8.6~1987.2.22]
c. 신디 셔먼 [Cindy Sherman, 1954~]
d. 강영민
4. 상업예술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앤디 워홀을 중심으로 한 상업 예술에 대한 평가
⌧아서 C.단토 : 예술 종말론
5. 토론
본문내용
<브릴로 박스>는 예술의 종말을 신호하는가? -앤디 워홀과 단토의 헤겔주의 : 이성훈
-앤디워홀을 놓고 다양한 의견들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만 그를 염두에 두고서 예술 종말의 테제를 주장한 사람은 단토가 유일하다. 아서 C.단토가 말하는 예술 종말론은 예술사의 종말이 아니라 이제까지의 예술사를 지배해왔던 거대서사와 내러티브의 종결을 말한다. 그는 예술 종말론의 지렛목을 팝아티스트 앤디워홀과 그의 조각 작품 (브릴로 박스)로 지목한다.
단토의 브릴로 박스를 통한 ‘도대체 무엇이 브릴로 박스가 다름아닌 1964년에 즉, 그것과 지각적으로 꼭 같은 사물이 이전에는 예술작품이 될 수 없었다는 것이 분명해진, 바로 그때에 가능하도록 하였는가?’라는 물음은 그에게 모더니즘 미술의 역사가 예술의 철학적 본성과 정체성이라고 하는 물음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 답변을 얻고자 하는 노력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단토는 이 브릴로 박스 작품을 통해서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이 역사적 양상에 인질로 잡혀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고 이를 통해 브릴로 박스를 예술의 종말 혹은 예술사의 종말을 말해주는 하나의 신호로 해석한다. 즉, 겉모습과 상관없이 무엇이든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탈 역사적 시기, 예술의 시기 이후의 시기가 도래하였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아서C.단토는 앤디워홀의 상업주의 예술 성향을 통해 겉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예술작품은 이렇게 보여야한다는 양식과 의무에서 벗어난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특정하게 정의할 수도 없고 특정하게 배척당할 수도 없는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는 다원주의 시대 이것이 즉 예술 종말 이후의 시대라고 정의하며 더불어 앤디워홀을 예술사에 있어 ‘훼방꾼’이 아닌‘해방꾼’이라고 평가합니다.
5. 토론
가. 상업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관상용이 아닌 판매용으로 사용한다. 이것을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가?
나. 상업예술을 하는 예술가들은 작품활동 이외에 영화나 사진 공연 등도 하고 있다. 그들은 예술가인가 생산자인가?
다. 예술가, 그들은 항상 순수한 미를 추구하며 배고파야만 하는가? 예술가가 영리를 위하여 자신의 작품을 이용하는 행위는 잘못된 것인가?
라. 예술이 상업적이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가?
<참고자료>
1) 성제환의 21세기 문화 예술 자본론 - 매경이코노미, ⓒ 매일경제 & mk.co.kr
2) <브릴로 박스>는 예술의 종말을 신호하는가? - 앤디 워홀과 단토의 헤겔주의 : 이성훈
-앤디워홀을 놓고 다양한 의견들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만 그를 염두에 두고서 예술 종말의 테제를 주장한 사람은 단토가 유일하다. 아서 C.단토가 말하는 예술 종말론은 예술사의 종말이 아니라 이제까지의 예술사를 지배해왔던 거대서사와 내러티브의 종결을 말한다. 그는 예술 종말론의 지렛목을 팝아티스트 앤디워홀과 그의 조각 작품 (브릴로 박스)로 지목한다.
단토의 브릴로 박스를 통한 ‘도대체 무엇이 브릴로 박스가 다름아닌 1964년에 즉, 그것과 지각적으로 꼭 같은 사물이 이전에는 예술작품이 될 수 없었다는 것이 분명해진, 바로 그때에 가능하도록 하였는가?’라는 물음은 그에게 모더니즘 미술의 역사가 예술의 철학적 본성과 정체성이라고 하는 물음에 대한 하나의 철학적 답변을 얻고자 하는 노력으로 보이기 시작했다.
단토는 이 브릴로 박스 작품을 통해서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이 역사적 양상에 인질로 잡혀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고 이를 통해 브릴로 박스를 예술의 종말 혹은 예술사의 종말을 말해주는 하나의 신호로 해석한다. 즉, 겉모습과 상관없이 무엇이든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탈 역사적 시기, 예술의 시기 이후의 시기가 도래하였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아서C.단토는 앤디워홀의 상업주의 예술 성향을 통해 겉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예술작품은 이렇게 보여야한다는 양식과 의무에서 벗어난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특정하게 정의할 수도 없고 특정하게 배척당할 수도 없는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는 다원주의 시대 이것이 즉 예술 종말 이후의 시대라고 정의하며 더불어 앤디워홀을 예술사에 있어 ‘훼방꾼’이 아닌‘해방꾼’이라고 평가합니다.
5. 토론
가. 상업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관상용이 아닌 판매용으로 사용한다. 이것을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가?
나. 상업예술을 하는 예술가들은 작품활동 이외에 영화나 사진 공연 등도 하고 있다. 그들은 예술가인가 생산자인가?
다. 예술가, 그들은 항상 순수한 미를 추구하며 배고파야만 하는가? 예술가가 영리를 위하여 자신의 작품을 이용하는 행위는 잘못된 것인가?
라. 예술이 상업적이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가?
<참고자료>
1) 성제환의 21세기 문화 예술 자본론 - 매경이코노미, ⓒ 매일경제 & mk.co.kr
2) <브릴로 박스>는 예술의 종말을 신호하는가? - 앤디 워홀과 단토의 헤겔주의 : 이성훈
키워드
추천자료
예술 가치 평가의 문제(예술비평)
<예술> 예술의정의
영재의 정의와 특성, 영재교육의 목표, 예술영재교육(예능영재교육)의 대상자 선발, 예술영재...
마르셀 뒤샹예술의 특성연구와 작품분석을 통한 현대예술의 고찰 - 다다이즘을 통한 의식전환...
예술종교,fine art,예술의종교화
[음악예술][시각예술][전위예술][교육예술][문화예술][구술예술][민중예술][조형예술][예술][...
과학 기술 예술로서의 ISD, CDWA 예술작품 전산화, SVGS의 예술과 인문분야, 예술로서의 건축...
[예술세계][오지호][남관][신윤복][권영우][송만갑][박록주][앤디워홀]오지호의 예술세계, 남...
[복합, 복합용도건축, 복합문화시설, 복합예술, 복합민원, 복합복지, 복합원산지, 복합불황]...
[민속예술][전통예술][예술][국제민속예술제][민속예술경연대회]민속예술(전통예술)과 문화적...
예술과 그 가치(매튜 키이란)를 읽고 예술이란 무엇이며, 예술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지에 대...
예술경영과 예술행정
[예술경영과 예술행정] 예술경영에 있어서 재원조성은 매우 중요한 활동 중에 하나이다 재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