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학과 소아 치과학 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위생학과 소아 치과학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병소가 심하여 감염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
③ 치조골 농양 및 봉와직염이 있는 경우
④ 계승 영구치의 정상 맹출에 지장을 주는 만기잔존 치아
⑤ 영구 계승치가 존재하고, 정상적으로 탈락될 수 없는 유착치아
⑥ 과잉치, 매복치
⑦ 장애가 되는 선천성 치아
⑧ 장애아동 등에서 보존치료가 곤란한 치아
2. 유치발치의 금기증
① 급성 감염성 구내염 및 포진성 구내염
② 혈액질환
③ 급성 또는 만성 류마티스성 심장질환, 선천성 심장질환, 신장질환
④ 당뇨병
⑤ 봉와직염을 동반하는 심한 급성 치조골 농양이 존재할 때
⑥ 전신적인 급성 감염
⑦ 악성종양의 의심시
⑧ 방사선 치료를 받은 부위에 존재하는 치아
* 소아의 치아외상
1. 치아외상의 분류
① 파절 : 법랑질 균열, 치관 파절, 치관-치근 파절, 치근 파절
② 탈구 : 진탕(아탈구), 정출(측방 탈구), 완전탈구, 함입
③ 진탕 : 치아동요나 이동 없이 치아 지지조직이 손상
2. 유치의 외상
① 외상의 원인
- 1~2세경 걸음마 시작 : 서툰 보행에 대한 보호자의 부주의, 악안면 손상 흔함
- 유치원, 학교에서 놀이 도중 : 안면 타박상과 치관파절, 탈구, 전위
- 2급 부정교합 : 정상치열에 비해 상악 전치의 돌출로 손상 가능성 높음(상악전돌)
- 정신지체, 미성숙, 뇌성마비와 같은 장애아동 역시 외상성 손상 가능성 높음
② 외상의 발생빈도
- 남자 > 여자 : 남자가 운동에 더 많이 노출
- 2~4세, 8~10세에 상악 중절치에 빈발
- 유치열은 지지조직 (치아의 변위, 함입), 영구치는 치관부의 파절이 많이 나타남
③ 유치가 탈구된 경우
- 10일~2주간 고정 → 치수괴사에 따른 치아변색이 없는지 관찰
3. 재식술(최대한 신속히)
- 완전 탈구된 치아를 제 자리에 다시 심어 넣는 술식
- 치근 표면이 최대한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 발리 제 자리에 심는 것이 중요
- 완전 탈구된 치아가 체외에서 건조한 상태로 방치되어 시간이 지체될수록 치근표면의 치주인대세포가 죽게 됨
- 보통 1시간 이내에 제 자리에 심는 것이 중요
* 외상에 대한 치아의 반응
① 치수충혈
- 가벼운 손상 후 치수충혈이 올 수 있으며, 손상치의 순면에 강한 빛을 비추가 치경으로 설면을 관찰시 인접치보다 더 밝은 적색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수주 후 변색되면 예후가 좋지 않음
② 내출혈
- 손상 후 치수충혈과 치수강의 압력증가로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일시적 색소침착을 일으키지만 손상 후 2~3주 안에 일어나는 색소침착은 수주 후 정상적으로 돌아오며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지속되는 변색은 치수괴사를 의미
③ 치수의 석회화 변성
- 손상 후 치수강과 치근관이 상아질의 점진적인 침착으로 인해 부분 또는 완전 폐색이 일어나는 것으로 유치의 경우 정상적인 치근흡수가 나타나고 치관은 엷은 노란색의 색조를 보임
- 발견 즉시 근관치료
④ 치근의 내흡수
- 손상 후 수주 또는 수개월 후에 방사선검사 시 치수강에서 관찰되며 수주일 내에 치관과 치근천공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즉시 근관치료
⑤ 치근의 외흡수
- 치아의 변위가 나타날 정도로 심한 손상 시 치근 주변이 흡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음
⑥ 유착
- 치주인대의 비가역적 손상에 의해 치조골과 백악질 사이에 골성 연결이 생기는 것
- 임상소견은 정상적인 인접치의 절단면 또는 교합면과 높이가 다르고, 타진 시 맑은 금속성 소리가 나며, 방사선사진에서도 유착된 치아의 치근막이 단절된 것을 관찰할 수 있음
- 유치의 경우 계승영구치의 맹출을 지연시키거나 이소맹출을 초래한다면 외과적으로 제거해야하며, 영구치는 치조골에서 느슨하도록 탈구시키거나 외과적 발거를 시행해야 함
⑦ 치수괴사
- 손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치수충혈과 치수조직을 통해 혈액이 저류되어 치수괴사가 나타나며, 변위를 일으키는 심한 손상도 종종 치수괴사를 초래
* 보격장치와 그 종류
- 유구치가 조기 상실되었을 때 인접치 또는 대합치의 정출, 이동, 경사를 막아 조기 상실한 유치의 공간을 확보
1) crown & loop, band & loop
① crown & loop : 제2유구치의 지대치를 형성하고 기성 유치관을 장착
- 법랑질형성부전 치아
- 지대치의 광범위한 치아우식증
- 저작기능 회복
- 치수치료를 시행한 치아
② band & loop : 제2유구치에 band를 장착
- 제1유구치 단독 상실의 경우 가장 흔히 사용
- 제1대구치가 맹출하기 전에 상실되었을 경우 공간 소실을 막기 위함
2) crown distal shoes 공간유지 장치
① 제1대구치가 맹출하기 전에 제2유구치가 상실되면
- 제1대구치가 근심으로 기울어져서 맹출
- 장래 소구치의 맹출공간이 감소됨
② 제1대구치가 맹출하기 전 제2유구치가 조기상실시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 맹출하기 전부터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방 연장된 distal shoe 장치를 고정성 또는 가철성으로 장착(제1대구치의 근심이동 막을 수 있음)
3) 가철식 보격장치
- 다수치아를 결손한 경우
- 특히 좌우측이 동시에 결손된 경우
- 소아의치 라고도 함
4) 설측호선장치
- 혼합치열기의 양측성 또는 2개 이상의 편측성 유치의 조기상실에 사용
- 제1대구치에 band를 장착하고 lingual arch를 제작하여 제1대구치의 근심 이동을 막음
- 양측성 유구치 상실이나 인접한 여러 개의 치아가 동시 상실된 경우 추천
5) 고정성 낸스 장치
- 특별히 상악 영구전치의 심미적 수복을 위해서라도 사용
- 혼합치열기에서 상악 유구치의 양측성 또는 편측성 조기 상실된 경우 사용
* 장애아동의 진료
① 시각장애
- 의사소통의 방법에 변화를 주어 불안, 공포를 없애도록 함
적절한 설명과 보강이 최우선(지나친 설명은 오히려 불안을 초래)
- 보조수단으로서 지각을 하기 때문에 맛, 소리, 냄새, 촉각 등의 감각이 매우 예리
② 청각장애
- 원인 : 출생 전 풍진, 선천성 매독 등의 바이러스 감염과 유전, 고막, 내이, 청신경 장애
- 반드시 환자가 직접 의사의 입의 움직임을 볼 수 있도록 마스크를 하지 않음 → 과장된 안면표정을 짓지 말고 보통 음성으로 말함
- 보청기 : 핸드피스 소리 등이 너무 크게 들리므로 빼줌
  • 가격2,8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