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형상수와 용해도곱 결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형상수와 용해도곱 결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aOH : 0.015/2= 0.0075M
2) 0.06M NaOH : 0/0= 0M
● Ca(OH)₂ 용해도
- 〔Ca2〕×74.09g/mol×0.1
1) 증류수 : 0.02×74.09×0.1= 0.1481
2) 0.02M NaOH : 0.015×74.09×0.1= 0.1111
2) 0.04M NaOH : 0.0075×74.09×0.1= 0.05557
2) 0.06M NaOH : 0×74.09×0.1= 0
● Ksp
- Ksp=〔Ca2〕〔OH〕^2
1) 증류수 : 0.02×0.04²= 3.2×10
2) 0.02M NaOH : 0.015×0.03²= 1.4×10
2) 0.04M NaOH : 0.0075×0.015²= 1.7×10
2) 0.06M NaOH : 0×0= 0
- 르샤틀리에의 원리는 어떤 변화가 생기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는 반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므로 OH이온이 증가할수록 OH증가를 억제하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용해도가 감소한다. 그래서 용해도 증류수>0.02M NaOH>0.04M NaOH>0.06M NaOH 크기를 가진다.
- Ksp의 값도 OH 이온이 많을수록 작다. 문헌 값은 Ksp=4.68×10으로 실험과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
  • 가격3,3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10.22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