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OH : 0.015/2= 0.0075M
2) 0.06M NaOH : 0/0= 0M
● Ca(OH)₂ 용해도
- 〔Ca2〕×74.09g/mol×0.1
1) 증류수 : 0.02×74.09×0.1= 0.1481
2) 0.02M NaOH : 0.015×74.09×0.1= 0.1111
2) 0.04M NaOH : 0.0075×74.09×0.1= 0.05557
2) 0.06M NaOH : 0×74.09×0.1= 0
● Ksp
- Ksp=〔Ca2〕〔OH〕^2
1) 증류수 : 0.02×0.04²= 3.2×10
2) 0.02M NaOH : 0.015×0.03²= 1.4×10
2) 0.04M NaOH : 0.0075×0.015²= 1.7×10
2) 0.06M NaOH : 0×0= 0
- 르샤틀리에의 원리는 어떤 변화가 생기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는 반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므로 OH이온이 증가할수록 OH증가를 억제하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용해도가 감소한다. 그래서 용해도 증류수>0.02M NaOH>0.04M NaOH>0.06M NaOH 크기를 가진다.
- Ksp의 값도 OH 이온이 많을수록 작다. 문헌 값은 Ksp=4.68×10으로 실험과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
2) 0.06M NaOH : 0/0= 0M
● Ca(OH)₂ 용해도
- 〔Ca2〕×74.09g/mol×0.1
1) 증류수 : 0.02×74.09×0.1= 0.1481
2) 0.02M NaOH : 0.015×74.09×0.1= 0.1111
2) 0.04M NaOH : 0.0075×74.09×0.1= 0.05557
2) 0.06M NaOH : 0×74.09×0.1= 0
● Ksp
- Ksp=〔Ca2〕〔OH〕^2
1) 증류수 : 0.02×0.04²= 3.2×10
2) 0.02M NaOH : 0.015×0.03²= 1.4×10
2) 0.04M NaOH : 0.0075×0.015²= 1.7×10
2) 0.06M NaOH : 0×0= 0
- 르샤틀리에의 원리는 어떤 변화가 생기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는 반향으로 반응이 진행되므로 OH이온이 증가할수록 OH증가를 억제하려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용해도가 감소한다. 그래서 용해도 증류수>0.02M NaOH>0.04M NaOH>0.06M NaOH 크기를 가진다.
- Ksp의 값도 OH 이온이 많을수록 작다. 문헌 값은 Ksp=4.68×10으로 실험과는 오차가
발생하였다.
-
키워드
추천자료
물리 실험 - 힘과 물체의 평형 - 예비보고서
Chemical Equilibrium in solution(용액상 화학평형)
물리실험_단순조화운동_스프링상수(결과)
추출과산해리상수
용해도 및 분별결정 예비 + 결과 레포트
흡착상수 - 3.2 재생제올라이트의 암모늄 이온교환 능력
[졸업연구] (결과) 자동평형 저울 장치의 제어
헨리상수
용해도 및 분별결정
스프링 상수 실험 : 각종 스프링상수의 스프링상수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보고서] 기전력측정에 의한 용해도적 결정 (EMF measurement of Ksp) : 표준 전극전위와...
[일반화학실험] 용해도 및 분별결정 : 온도 변화에 따라 고체의 물에 대한 용해도의 차이를 ...
일반화학실험 -용해도 및 분별결정(예비, 결과)
[일반화학실험] 재결정과 거르기 : 산-염기 성질을 이용해서 용해도가 비슷한 두 물질을 분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