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생각 중 하나가 지금의 생활과 별반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옛날에도 교육이란 것이 굉장히 중요시되어서 부모님이 공부를 시키기도 하고, 다른 나라의 학생과 공부를 하며 외국어 공부에 힘쓰는 점에서 큰 동질감을 느꼈다. 또한 지금의 고등학교 생활처럼 아침에 일찍 일어나 학교를 가서 자습을 하고 수업을 들으며 또 자습을 한다는 점이다. 물론 배우는 방식에서 차이가 날 수도 있지만 맞으면서 배우는 점 등이 크게 와 닿았다. 놀란 점은 역시나 밥을 얻어먹고 잠자리를 구걸하는 장면이다. 물론 집주인이 고려 상인과 중국 상인을 불신하여 처음에는 부탁을 거절하지만 결국에는 부탁을 들어준다. 현대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보여 굉장히 놀라웠다. 옛날의 인심이 후하긴 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추천자료
세계의 체제변화와 재외동포 (조선족,고려인,한인,탈북자)
푸른 옥에 핀 꽃, 고려청자
本貫制와 田丁連立을 중심으로 해석한 고려 전기 사회의 편제와 운영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의 남북관계 인식과 통일관에 대한 조사
14세기 성리학 수용 고려사회 변화
레포트_농업(고려시대와의 비교)
몽고의 침입과 고려의 대응
[과제중심모델]과제중심(클라이언트중심)모델의 기본적인 정의와 특성 조사, 과제중심 모델의...
러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고려인의 자치주 건설에 대하여 - 연해주 중심
과제중심학습(과업중심학습, TBL)의 정의와 특성, 과제중심학습(과업중심학습, TBL)의 설계와...
10~11세기 동아시아 국제체제에서의 고려 위상 분석(高麗 位相 分析)
[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 남북한토지제도, 통일]통일 후 북한토지소유권의 경제성, 통일 후 ...
주거문화와 주거의 기능 및 시대별 주거사(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
[한국중세사] 고려시대의 정치기구 및 지방제도와 과거제도
소개글